[중도시평] 남북관계 개선, 누가 먼저 악수(握手)를 청할 것인가?

  • 오피니언
  • 중도시평

[중도시평] 남북관계 개선, 누가 먼저 악수(握手)를 청할 것인가?

  • 승인 2020-01-07 14:12
  • 신문게재 2020-01-08 22면
  • 김유진 기자김유진 기자
새해에 들어선 지금, 남북관계에서는 한랭전선이 빠르게 요동을 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일 신년인사 말씀에 이어 7일 신년사 발표에서도 평화번영의 남북관계 발전을 재천명했다. 하지만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새해 들어와 현재까지 전혀 그럴 생각이 없어 보인다.



북한은 지난 1일 김 위원장의 신년사를 생략한 채 그 대신 당 전원회의 발표문을 발표했다. 이 발표문에서 북한은 남북관계 개선보다도 정면돌파, 자력갱생의 기조를 강조했을 뿐이다. 이런 강조는 8일 김정은 생일을 앞둔 현재까지 연일 북한의 언론보도매체와 대규모 군중궐기대회를 통해 반복되고 있다.

북한은 새해들어와 언론보도매체들을 동원해 우리 지도자와 정부를 원색적으로 비난하고 있다. 예를 들자면 북한 대외선전매체의 6일자 <우리민족끼리>의 "진실은 가리울 수 없는 법", 그리고 <메아리>의 "혹 과대망상증에 걸린 것은 아닌지"란 보도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남북관계의 외생적 변수로서 북미관계가 대결의 긴장도를 높여가고 있는 상황이다. 새해들어와 북한은 정면돌파와 자력갱생을 선포한 이후 연일 미국의 대북적대정책에 대응해 군사력 강화의 대미강경노선을 천명하고 있다. 이에 미국도 북한이 다탄두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신형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 등과 같은 도발 감행에 대비해 대북감시활동을 강화해오고 있다. 김정은 생일에 즈음해 미공군 정찰기들이 한반도 상공에 출동하고 있는 것도 같은 배경이다.

지금 북미관계 긴장도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것은 바로, 지난 3일 드론을 이용해 이란군 핵심수뇌부인 거셈 솔레이마니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을 제거하는 미국의 참수(斬首)작전이란 사실이다. 이에 북한은 미국의 이란참수작전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왜냐하면 이란과 북한이 미국의 '악의 축'으로 지명된 반미적 핵협상국이란 점과 관련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도 위협을 줄 수 있는 대사건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북미관계 긴장도는 더 높아지고 이에 연동해 남북관계도 경색국면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경색된 남북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이 해답은 누가 먼저 손을 내밀고 악수(握手)를 청할 것인가라는 점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 점에서 우리가 먼저 북한에게 손을 내밀고 악수를 청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내가 먼저 상대에게 화해의 손을 내밀고 악수를 청하는 것이 곧 진정한 포용의 시작이기 때문이다.

성경에서도 우리가 예배를 드리기 전에 먼저 형제와 '화해'하라(마 5:23,24)고 설파하고 있지 않는가. 한비자(韓非子)의 리더십 요결에서도 좋은 리더는 원수와도 웃으며 악수를 나눌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지 않았는가. 그렇다. 남과 북이 한민족이기에 우리가 북한에게 망설이지 말고 먼저 화해의 손을 내밀자. 북한이 우리의 손을 잡아줄지 말지는 나중의 문제다. 우리가 먼저 다가서자. 손을 내밀고 악수를 청하자. 남북관계 중단의 악순환 고리를 그대로 계속 두고 말 것인가. 이 고리를 끊어내지 못한다면 남북관계는 끝을 모르는 대립의 평행선만 그어질 뿐이다.

2018년과 2019년에 남과 북이 1월부터 남북대화와 회담에 적극 나섰듯이, 2020년 새해 1월부터 남과 북은 남북관계 개선의 길로 들어가자. 이를 위해 우선 남과 북은 꽉 움켜쥔 주먹을 활짝 펴자. 그리고 우리가 먼저 손을 과감하게 내밀고 북한에 악수를 청하자. 인디라 간디(Indira Gandhi)의 명언처럼, "주먹을 쥐고 있다면 악수(握手)를 나눌 수 없기 때문이다!"
윤황 충남연구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