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일보 여론조사] 충청 민심 '국회·청와대 처음부터 완전이전'에 쏠렸다

  • 정치/행정

[중도일보 여론조사] 충청 민심 '국회·청와대 처음부터 완전이전'에 쏠렸다

대전·세종·충남·충북 '처음부터 국회·청와대 완전이전' 응답
충청권 전역서 절반 이상 넘는 지역민 완전이전 필요 꼽아

  • 승인 2020-09-01 00:05
  • 신문게재 2020-09-01 6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인쇄
충청권 주민들은 행정수도 완성과 관련 처음부터 국회와 청와대를 세종으로 완전히 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세종의사당을 우선 설치하고 추후 개헌 등으로 완성하자는 소위 '투트랙 전략'을 택한 비율보다 높게 나온 것이다. 국회와 청와대 완전 이전은 개헌이 전제돼야 한다는 여론이 많아 정치권 논의가 길어질 가능성은 있다. 그럼에도 이같은 선택의 배경엔 세종시를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완성하기 위해선 국회와 청와대 완전 이전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인식이 깔린 것으로 봐야 한다는 해석이다.

중도일보는 창간 69주년을 맞아 여론조사 전문기관 제이비플러스에 의뢰해 지난달 12일부터 15일까지 각각 대전 807명, 세종 809명, 충남 806명, 충북 818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이에 따르면 '행정수도 이전으로 가는 과정이 어떻게 진행돼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4개 시·도 모두 '처음부터 국회 및 청와대 완전 이전'이라는 응답이 '세종의사당 우선 설치 뒤 추후 개헌'이라고 답한 비율을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전은 54.4%가 '완전이전'을, 45.6%는 '세종의사당 우선 설치'를 꼽았다. 연령대별로는 19~29세가 완전이전이 6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60세 이상(56.7%), 50대(52.8%), 30대(52.5%) 순이다. 40대는 유일하게 세종의사당 우선 설치 뒤 추후 개헌이 51.3%로 처음부터 국회 및 청와대 완전이전(48.7%)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세종도 '완전이전'이 56.8%, '세종의사당 우선 설치'가 43.2%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18~29세를 제외한 나머지 연령층이 완전이전을 꼽았다. 60세 이상에서 국회·청와대 완전이전이 64%로 가장 높았으며, 30대(57.5%), 50대(57.1%), 40대(56.4%) 순이다. 18~29세는 세종의사당 우선 설치 뒤 추후 개헌이 52.2%로 국회·청와대 완전이전은 47.8%였다.

충남도 마찬가지다. 충남은 국회·청와대 완전이전에 57.8%가 응답했으며, 42.2%는 세종의사당 우선 설치를 꼽았다. 충청권에선 유일하게 모든 연령층이 국회·청와대 이전을 선택한 비율이 높았다. 18~29세가 64%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60세 이상(62.5%), 50대(54.5%), 30대(50.4%), 40대(54.2%) 등의 순으로 전 연령층이 국회·청와대 완전이전을 선택했다.

충북은 53.8%가 국회·청와대 완전이전을, 46.2%가 세종의사당 우선 설치를 선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63.4%로 국회·청와대 완전이전을 가장 높게 응답했으며, 50대(54.4%), 60세 이상(52.9%), 18~29세(51%) 순이다. 반면, 30대에서 유일하게 세종의사당 우선 설치가 54%로 높았다.

한편,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대전 세종 충남 95% 신뢰수준에 ± 3.45%p, 충북의 경우 95% 신뢰수준에 ± 3.43%p이며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방원기 기자 bang@

캡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5.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1.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사설] 서해 어민 위협할 중국 불법 구조물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