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찜했슈-부여] 천만송이 연꽃 핀 궁남지, 서동과 선화공주의 국경 초월 사랑 '애틋'

  • 전국
  • 부여군

[여기 찜했슈-부여] 천만송이 연꽃 핀 궁남지, 서동과 선화공주의 국경 초월 사랑 '애틋'

  • 승인 2021-08-04 14:28
  • 수정 2021-08-18 23:16
  • 신문게재 2021-08-05 13면
  • 김기태 기자김기태 기자

컷-찜했슈

 

 

 

 

 

 

우리나라 1호 '인공정원'... 느릿느릿 걸어도 반나절 '아담'

국내 야간관광 100선 선정... 계절별 다른느낌 생태공원 등 볼거리

 

 

계절별로 보는 맛이 다르다는 궁남지. 아무 때나 가도 눈이 바쁠 정도로 볼거리가 많다. 이곳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조성된 인공정원으로 신라의 선화공주와 무왕이 국경을 초월해 사랑을 나눈 전설이 깃든 곳이다. 1000만 송이 연꽃이 피는 부여의 대표적인 자연경관형 문화재로 사적 제135호로 지정됐다. 코로나19로 지친 몸을 풀 수 있는 힐링 공간이라는 소문에 8월 가마솥 같은 더위에도 몸과 마음을 충전하기 위해 그 곳으로 향했다.

 

궁남지 1

느림을 위해 오후 늦게 버스터미널에 내리자 8월 가마솥 더위에 온 몸은 바로 땀 방울이 맺혔다. 한 눈에 들어오는 시골장 풍경에 궁남지로 가는 발걸음이 한결 가벼웠다. 장을 지날 때마다 들려오는 사투리와 흥정에 눈은 바빠졌고, 집 앞 마트에서 물건을 사듯 나도 모르게 과일을 몇 개 집어 산 다음 궁남지로 향했다.

 

궁남지6
10여분 만에 도착한 궁남지는 마치 한 폭의 수채화 같았다. 멀리서 보이는 연못에 선명하게 드러낸 포룡정과 다리는 마치 경복궁처럼 웅장했다. 포룡정은 서동의 어머니가 궁남지에서 용을 본 뒤에 잉태를 했기 때문에 생겨난 이름이다. 우리 역사는 깊이 들어가면 애틋하면서 신비로운 스토리가 많다. 삼국사기에 보면 무왕 35년(634) 3월에 궁 남쪽에 못을 파고 20 여리나 먼 곳에서 물을 끌어들이고 못 언덕에는 수양버들을 심고 못 가운데에는 섬을 만들었는데 방장선산(方丈仙山)을 모방했다. 무왕39년(638) 3월에 왕은 비빈과 더불어 큰 연못에 배를 띄우고 놀았다는 기록이 있다.

궁남지3
입구에서부터 펼쳐지는 연꽃을 보니 첫 사랑 같이 설렜다. 궁남지에는 다양한 종류의 연꽃이 심어져 있지만 빅토리아 연꽃은 사연이 깊다. 3일 동안 밤에만 피는데, 처음 하얀색으로 개화하지만 점점 빨간색으로 변한 뒤 꽃이 지면서 가라앉는다. 3일째 생을 마감하고 가라앉는 꽃의 모양이 꼭 왕관처럼 생겼다고 해서 '여왕의 대관식'이라는 별명까지 붙었다. 빅토리아연을 포함한 소위 '전설의 연꽃'이라 불리는 세계 최고 오래된 연꽃인 대하연 등을 주제로 해마다 부여서동연꽃축제가 7월에 열린다. 하지만 올해는 코로나19로 취소돼 아쉬움을 주고 있다.



궁남지4
해가 저물고 난 뒤 궁남지의 야경은 홍콩의 야경 못지않은 모습이었다. 2020년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한 야간경관 100선에 선정된 것을 알 수 있을 정도였다. 궁남지는 주·야간 모두 아름다운 관광지다.

부여=김기태 기자 kkt05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국립한밭대 RISE 사업단 '지역사회상생협의체' 간담회
  1. 충남대, 충청권역 장애 대학생 기업 탐방 프로그램 개최
  2.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3.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4.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5.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