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바나나-대전·세종 주간뉴스 브리핑] 충청대망론 한걸음 내디뎠다

[뉴스바나나-대전·세종 주간뉴스 브리핑] 충청대망론 한걸음 내디뎠다

  • 승인 2021-10-09 01:35
  • 이건우 기자이건우 기자
뉴스바나나(헤드 수정본)
뉴스바나나가 준비한 이번 주 이슈는?
1. 충청대망론 한 걸음-윤석열 국민의힘 본경선 진출
2. 대전 인구, 1년 반 만에 처음으로 전월 대비 증가
3. 세종남부경찰서 5일 업무 돌입
4. 대전 시내버스 파업 끝났지만

기사구분선-수정
1. 충청대망론 한 걸음-윤석열 국민의힘 본경선 진출
기사구분선-수정
2021100801000442200013201
왼쪽부터 윤석열 전 총장 홍준표 의원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전 의원  연합뉴스
충청민의 오랜 염원인 충청대망론이 한 걸음 더 내디뎠다. 부친의 고향이 충남 공주로 충청대망론 주자에 포함되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국민의힘 본경선에 진출한 것. 윤 전 총장은 앞으로 홍준표 의원,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전 의원과 11일부터 모두 7차례 지역 순회 토론회와 1대 1 맞수토론 등을 펼친다. 이후 11월 5일 전당대회에서 승리한다면 대선주자로 확정, 2022년 3월 9일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에 나서게 됩니다. 좀 성급한 감이 있지만 여기서 당선이 된다면 충청대망론의 실현입니다. 동향인 충청인으로서 단순 응원할 뿐이지 지지를 요구하는 것은 아닙니다. 투표는 인물 됨됨이,공약을 꼼꼼히 살펴보고 하셔야겠죠.

인쇄
충청대망론 윤석열 국민의힘 본경선 진출
http://www.joongdo.co.kr/web/view.php?lcode=&series=&key=20211008010001313



기사구분선-수정
2. 대전 인구, 1년 반 만에 처음으로 전월 대비 증가
기사구분선-수정
11111111111
 대전시 제공
대전시 인구가 증가했다는 반가운 소식입니다. 지난 6일 대전시에 따르면 9월 기준 대전의 인구는 출생 588명, 사망 643명, 전·출입 434명 등 총 145만 5058명으로 8월 대비 379명의 인구가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다름 아닌 9월 대학 개강시즌에 맞춰 학생들 전입 인구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입니다. 또 이웃 세종으로는 9월까지 4551명이 유출됐습니다. 대전시 관계자는 "장기간 계속되던 인구감소에 변화가 있는 만큼, 10월 인구 변동 추세를 자세히 살펴 다양한 인구 정책 효과가 지속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인쇄
대전 인구, 1년 반 만에 처음으로 전월 대비 증가
http://www.joongdo.co.kr/web/view.php?lcode=&series=&key=20211006010000936
기사구분선-수정
3. 세종남부경찰서 5일 업무 돌입
기사구분선-수정
ccccccccccc
세종남부경찰서 청사 전경.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세종 남부지역 치안을 책임지는 세종남부경찰서가 생겼습니다. 지난 5일부터 공식 업무에 시작했다고 합니다. 세종남부경찰서는 행복도시 1~4, 6 생활권(17개 동), 금남·장군·연기면을 관할구역으로 두는 250여 명이 근무합니다. 세종남부경찰서는 담당 지역의 치안 수요 증가와 중요성을 고려, 1급서로 지정됐으며, 3개의 지구대와 파출소 1곳으로 구성됐습니다. 그동안 세종 치안을 전담해왔던 세종경찰서는 세종북부경찰서로 명칭이 바뀌면서 신도시 일부와 조치원을 중심으로 한 북부 생활권의 치안을 맡는 것으로 업무가 조정됐습니다. 세종시 치안이 업그레이드되는 좋은 소식입니다.



인쇄
세종남부경찰서 5일 업무 돌입
http://www.joongdo.co.kr/web/view.php?lcode=&series=&key=20211004010000323
기사구분선-수정
4. 대전 시내버스 파업 끝났지만
기사구분선-수정
bbbbbbbbbbbbbbbbbbbbb
지난달 30일 시내버스 파업으로 대덕구 차고지에 멈춰선 버스들.  사진=이성희 기자
대전 시민들의 발, 시내버스 파업이 봉합됐습니다. 자칫 했으면 교통대란으로 이어질 참사가 대화로 수습됐으니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죠. 하지만 이면에는 혈세 투입이라는 씁쓸한 사실이 존재합니다. 대전시가 노사 협상 타결로 수용해야 하는 인건비(수당)가 100억 원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추가로 투입하는 비용입니다. 이로 인해 버스운영에 투입할 올해 재정지원금은 지난해보다 증가한 1100억 원 수준에 달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이는 모두 시민의 세금에서 각출하는 것이므로 시민의 부담이 커진다는 의미죠. 다행스러운 점은 일부에서 제기된 버스요금 인상 우려에 대해 대전시가 단호하게 "인상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라고 밝혔다는 것입니다.

인쇄
시내버스 파업 끝났지만… 협상 타결 수용하면 올해 재정지원금 1100억 원 규모
http://www.joongdo.co.kr/web/view.php?lcode=&series=&key=20211004010000289

점선라인
바나나한줄뉴스-1

[한글날 575돌] 줄임말과 신조어 꼭 써야 하나?… 올바른 언어사용 필요
http://www.joongdo.co.kr/web/view.php?lcode=&series=&key=20211007010001224 

 

대전 경찰, 대전역 앞 성매매업소 몰수·20여 명 입건도
http://www.joongdo.co.kr/web/view.php?lcode=&series=&key=20211005010000679
 

워킹맘 울리는 녹색어머니회 교통안전 봉사. 반강제 성격에 불만 팽배
http://www.joongdo.co.kr/web/view.php?lcode=&series=&key=20211005010000612

제19회 이동훈 미술상 시상식 개최
http://www.joongdo.co.kr/web/view.php?lcode=&series=&key=2021100501000065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3. 영천, '신성일기념관 개관 기념' 고향사랑기부 이벤트
  4. "아산페이 안 쓰면 손해"-연말까지 18% 할인 연장, 법인 10% 연장 할인
  5. 아산소방서, 전통사찰 화재 예방훈련
  1. 천안시, 청소년유해환경 개선 합동점검·단속 및 캠페인
  2. 삼성디스플레이, 취약가정에 1억5천만원 후원
  3.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시선 너머의 이야기' 전시
  4. 천안법원, 음주 측정 거부한 50대에 '징역형'
  5. 천안법원, 지인 간 법적소송에서 위증한 혐의 50대 남성 무죄

헤드라인 뉴스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사상 초유의 국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정부는 신속한 시스템 복구에 나서 최악의 상황은 막았지만, 이번 사태가 대전 등 충청권에 가져온 과제는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지역 공공 자산인 국정자원 이전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온다. 공공기관이 특정 지역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달갑지 않다. 갈수록 심화되는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국가균형발전을 견인하기 위해선 지역의 공공기관을 지키고 새로운 인프라를 유치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중도일보는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시리즈를 통해..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 관세율을 포함한 한미 간의 무역 협상이 최종 마무리됐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 양국의 안보 협상도 문서 형태로 공식화됐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14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했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직후 나올 예정이던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되면서 세부 내용에서 이견을 보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이날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지난 정상회담 당시 발표된 내용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교도소 이전사업이 8년째 진척을 보지 못하면서 대전시의 명확한 추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교도소 과밀화와 시설 노후 문제는 이미 한계를 넘었지만, 이전 사업이 장기간 답보 상태에 놓이며 후적지 개발 계획 역시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열린 대전시의회 제291회 정례회 도시주택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방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유성구2)은 "대전교도소는 수용률이 142.9%에 달해 전국 평균(122.1%)을 크게 웃돌고, 노후 시설로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까지 받..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