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광장] 어느 살인 사건의 기억

  • 오피니언
  • 목요광장

[목요광장] 어느 살인 사건의 기억

법무법인 윈 신기용 대표변호사

  • 승인 2021-11-03 10:00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신기용
법무법인 윈 신기용 대표변호사
문득 떠오르는 사건이 있어 이야기를 꺼내 보고자 한다. 누구도 주목하지 않았던 스쳐 지나간 사건이며 미스테리한 사건도 아니다. 그저 검사로서 처음으로 맡았던 살인 사건의 기억이다.

여느 평범한 날이었다. 저녁 시간에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는 소식이 들어왔다. 직접 현장에 나가 사건을 챙기라는 지시가 이어졌다. 살인이라는 무게감과 처음 경험이라는 긴장감이 묘하게 어깨를 짓눌렀던 것 같다.

오래된 집들이 질서 없이 늘어선 동네였다. 해 질 무렵의 고요함 사이로 마을 사람들의 걱정스러운 웅성거림이 배회하는 모습이 이질적이었다. 소리 없이 돌아가는 경찰차의 사이렌 불빛과 부산한 경찰들의 움직임이 사건 현장을 가리키고 있었다.

노령의 여인은 일곱 군데나 칼에 찔린 흔적을 남기고 숨을 거두었다. 하지만 현장의 모습은 왠지 끔찍하다고 표현하기에는 어려웠다. 그저 자신의 집 방안에서 혼자 숨을 거둔 피해자의 모습이 무척 쓸쓸하게 느껴졌던 기억이다. 아무런 침입 흔적도 없었고 물건을 훔친 흔적도 없었다. 원한 관계가 있는 지인의 범행일까. 하지만 눈으로 보기에도 칼에 찔린 상처가 그리 깊어 보이지 않았다. 선혈이 그렇게 낭자한 것도 아니었다. 평온해 보이기까지 하는 시신의 모습과 수차례 칼에 찔린 흔적은 도무지 어울리지 않았다.



경찰은 피해자의 유족으로 갓 마흔을 넘은 아들이 유일한데 연락이 닿지 않는다고 했다. 아들은 조현병을 오래 앓고 있었다고 했다. 그가 범인일 것이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마을 사람들은 아들이 정신병자인데 어머니에게는 효심이 지극했다고 했다. 어머니도 아들을 끔찍하게 보살폈다고 했다. 어딘가 계속 아귀가 들어맞지 않는 것 같다는 불편함이 떠나지 않았다.

다행히 사건은 빠르게 해결되어 간다는 소식이었다. 하루도 지나지 않아 아들의 소재가 파악됐고 이윽고 범행을 모두 자백했다는 보고도 이어졌다. 하지만 무언가 석연치 않았다. 잔인하기보다는 쓸쓸하게 느껴졌던 사건 현장의 진실은 그저 자백만으로 다가갈 수 있을 것 같지 않았다.

곧 피해자 시신의 부검이 있었다. 부검을 마치고 부검의가 다가왔다. 정밀하게 살펴봐야겠지만 피해자가 칼에 찔리기 전에 이미 사망했을 수 있다고 말해왔다. 적어도 이 사건이 아니었더라도 오래 생존하기는 어려웠을 건강상태라고 했다.

머리가 지끈 아파왔다. 효심이 지극했다는 아들은 곧 숨을 거두어도 이상하지 않았을 노모에게 굳이 칼을 들었다. 정신병이 있는 아들을 평생 끔찍하게 보살펴 온 어머니는 마지막 순간에 자신에게 다가오는 아들의 모습을 보았을까. 그들이 함께한 세월과 그 마지막에 느꼈을 감정들은 짐작조차 하기 어려웠다. 긴장감으로 시작되었던 살인사건은 점점 슬픈 가족의 이야기로 바뀌어 갔다.

사람을 죽인 사람의 눈은 어떨까. 자기 어머니를 죽인 사람의 눈은 어떨까. 사람의 행동과 눈을 보고 진실을 알아낼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순진한 생각도 있었던 초임 검사 시절이다. 하지만 구속된 피의자를 처음 대면했을 때, 너무도 선량하고 맑은 그의 눈빛을 마주했을 때, 많은 것들이 무너져 내리는 기분이었다. 마치 어린아이 같은 눈으로 바라보며 담담하게 그날의 일을 이야기하는 모습은 도저히 살인자의 모습이라고는 느껴지지 않았다.

그는 몇 년 전부터 목소리가 들려왔다고 했다. 집을 떠나 멀리 여행을 가야 한다고. 하지만 거동이 불편한 어머니를 홀로 두고 떠날 수가 없었다. 그럴수록 목소리는 크고 거칠어져 갔고 마침내 어머니를 죽여야 한다는 목소리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되었다. 자기도 모르게 칼을 들었다. 하지만 어떻게 어머니를 찔렀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했다.

조사를 마치고 나서 그가 말했다. "저 사형시켜 주시면 안 돼요?" 그 맑은 눈으로 눈물을 뚝뚝 흘리며 바라보던 눈빛을 잊을 수 없다. 그는 진심으로 사형을 바라고 있었다. 지금까지도 고통받았고 앞으로도 살아있는 내내 고통받을 것이 분명했다.

국과수에서는 피해자의 사인을 결국 살인으로 결론지어 감정서를 보냈다. 결국, 칼에 찔린 것이 원인이 되어 심장마비로 이어졌다는 결론이었던 것 같다. 차라리 사실이 아니었으면 싶었다. 차라리 고인이 먼저 눈을 감았더라면 아들이 느낄 고통도 덜했을 텐데.

수사기록을 보며 얕은 피해자의 상처가 다시 눈에 들어왔다. 어쩌면 그는 어머니를 찌르라는 목소리에 맞서서 끝까지 싸웠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이미 사건의 결론은 정해졌다. 존속살인. 그에게 정해진 죄명이었다. 밤을 지새우도록 구형란을 채우지 못했던 기억이 선하다.
/신기용 변호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연수구, 지역 대표 얼굴 ‘홍보대사 6인’ 위촉
  2. 행정수도와 거리 먼 '세종경찰' 현주소...산적한 과제 확인
  3. 호수돈총동문회, 김종태 호수돈 이사장에게 명예동문 위촉패 수여
  4. 대전 방공호와 금수탈 현장 일제전쟁유적 첫 보고…"반전평화에 기여할 장소"
  5. [경찰의날] 대전 뇌파분석 1호 수사관 김성욱 경장 "과학수사 발전 밑거름될 것"
  1. 초등생 살해 교사 명재완 무기징역 "비인간적 범죄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2.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3. "일본에서 전쟁 기억은 사람에서 유적으로, 한국은 어떤가요?"
  4. KAIST 대학원생 2명중 1명 "수입 부족 경험" 노동환경 실태조사
  5. 즐거운 대학축제…충남대 백마대동제 개막

헤드라인 뉴스


[경찰의날] 대전 뇌파분석 1호 수사관 "과학수사 발전 밑거름될 것"

[경찰의날] 대전 뇌파분석 1호 수사관 "과학수사 발전 밑거름될 것"

미지의 세계로 남은 인간의 뇌, 그중에서 뇌파는 치매와 뇌전증, 알츠하이머 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열쇠로 여겨진다. 활동하는 뇌에서 발산하는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고 무수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뇌과학이 발전해 뇌의 기능적 장애를 뇌파로 조기에 파악하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러한 뇌파와 뇌과학에 주목하는 이는 의료계뿐만이 아니다. 경찰은 지문과 유전자 감식 등의 과학수사 기법을 첨단화해 뇌파 분석을 시작한다. 20일 중도일보가 만난 대전경찰청 과학수사계 김성욱 경장은 우리 지역 뇌파 분석 특채 1호 수사관이다. 뇌파 분석이란 대상..

"편의점도 줄어든다"... 인건비 부담에 하락으로 전환
"편의점도 줄어든다"... 인건비 부담에 하락으로 전환

편리함의 대명사로 불리는 편의점 수가 대전에서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어려운 경기 상황 속에서도 꾸준히 늘던 편의점 수가 줄어든 것은, 과포화 시장 구조와 24시간 운영되는 시스템상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며 폐점을 선택하는 이들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20일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8월 현재 대전의 편의점 수는 1463곳으로, 1년 전(1470곳)보다 7곳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1년 새 7곳이 감소한 건 눈에 띄는 변화는 아니지만, 매년 단 한 곳도 빠짐없이 줄곧 늘던 편의점이 감소로 돌아서며 하락 국면을 맞는..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 선임 논란… 국감서 3라운드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 선임 논란… 국감서 3라운드

직원 3명의 징계 처분으로 이어진 세종시 '문화관광재단 대표이사' 선임 논란이 2025 국정감사에서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해 2월 임명 초기 시의회와 1라운드 논쟁을 겪은 뒤, 올해 2월 감사원의 징계 처분 상황으로 2라운드를 맞이한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서울 구로 을) 국회의원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세종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작된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공론화했다. 공교롭게도 첫 질의의 화살이 박영국 대표이사 선임과 최민호 시장의 책임론으로 불거졌다. 앞서 감사원은 지난 2월 12일 이에 대한 감사 결과 보고서를 공..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즐거운 대학축제…충남대 백마대동제 개막 즐거운 대학축제…충남대 백마대동제 개막

  •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두꺼운 외투 챙기세요’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두꺼운 외투 챙기세요’

  •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