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세계로 향하는 대전시립무용단, 0時의 북을 울리다

  • 오피니언
  • 사외칼럼

[기고] 세계로 향하는 대전시립무용단, 0時의 북을 울리다

김예림 무용평론가

  • 승인 2023-10-06 16:40
  • 수정 2024-02-06 10:41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김예림
김예림 평론가
대전시립무용단의 제74회 정기공연이자 미국 투어 프리뷰 무대인 '0시의 제단- 그 시원으로부터의 시작'이 9월 15일부터 16일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에서 공연됐다. 이번 공연은 2023 외교부 해외 파견 문화예술공연단으로 선정된 대전시립무용단이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해 미국 시애틀과 포틀랜드에서 열리는 초청공연을 대전시민에게 미리 선보인 무대다.

'0시의 제단- 그 시원으로부터의 시작'은 제목부터 거대 담론을 내포하고 있다. 한글 시대, 한류 문화 시대, 경제 강국의 시대, 국방 강국 시대로 국운(國運)을 반석에 올려놓은 현재, 대전은 그 출발점을 '대전 0시'로 브랜드화해 대전시민 축제의 주로 삼고 있으니 이에 '0시의 제단'에 우리의 결기와 축의와 희망의 춤사위를 바친다는 의미다. 미국 관객에게 한국의 춤 예술을 선보이며 그 안에 대전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기획의도가 담겼다고 할 수 있다.

시조 시인이자 문인화가인 박헌오의 대본과 내레이션으로 진행된 이번 공연은 1부 '춘몽(春夢)'과 2부 '천몽(天夢)'으로 나뉘어 전통과 창작 두 편의 공연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1부는 춘몽(春夢)을 주제로 누구에게나 그리움의 대상이 되는 고향을 그린 창작 작품 '고향의 봄, 낙원의 산촌'을 시작으로 장구춤, 대전 선비춤, 부채춤, 소고춤으로 이어지는 新전통춤의 모둠공연이다.



'고향의 봄, 낙원의 산촌'은 꽃장식이 드리워진 무대에 색색의 의상을 입은 무용수들이 등장해 따듯하고 화사한 고향의 봄 풍경을 그려냈다. 아리따운 청춘 남녀와 꽃바구니를 든 여성들, 서커스 저먼 휠(German Wheel두 겹의 철제 원형구조물)을 타고 노는 청년들을 다채로운 색감만큼 여러 캐릭터의 조화를 보여줬다. 홀춤으로 추어진 '향, 장구춤'은 군무를 넘어서는 존재감으로 무대를 압도했고, 대전 선비춤인 '장한가'는 국수호류 한량무의 묵직한 멋을 남성 군무로 표현했다.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준 '부채춤'은 점차 단순화되는 최근 부채춤의 아쉬움을 단번에 날리듯 다이내믹한 대형변화와 속도감으로 관객을 압도했고, 1부의 대미를 장식한 '향, 풍류 소고춤'은 타악에 능한 무용가인 김평호 예술감독의 멋스럽고 감칠맛 나는 장단놀이를 한껏 드러냈다. 新전통이라 부를 수 있는 1부의 전통춤들은 현대화라는 이름으로 단조로워지는 최근의 경향을 극복하고 70∼80년대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며 한국춤의 신명이 무엇인지 그 정수를 보여줬다.

2부는 단재 신채호 선생의 이야기를 담은 창작 무용극 '단재의 꿈- 천몽(天夢)'(이하 천몽(天夢))이 공연됐다. '천몽(天夢)'은 독립운동가이자 역사학자였던 단재 신채호의 중편소설 '꿈하늘(天夢)'을 소재로 그의 사상과 인간적 고뇌, 일대기를 반추상(半抽象)의 춤언어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반추상이라 말한 것은 서사에 충실한 극무용이 아니라 주요 사건을 이미지화 한 추상적 관점으로 창작된 극무용이기 때문이다.

'천몽(天夢)'은 김평호 예술감독 겸 상임안무자의 취임 후 첫 작품으로 2021년 제70회 정기공연에서 초연됐으며 대전시립연정국악원 큰마당 무대에서 공연된 것을 이번에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에 맞게 재단장한 것이다. 초연 때부터 간결한 무대장치로 디자인된 작품이기에 대작임에도 투어에 적합한 몸집을 하고 있으며, 서사의 전달은 입체영상이 돕고 있다. 이로 인해 '천몽'의 무대는 시대 배경과 달리 현대적 인상이다.

판타지 성격을 띤 소설 '꿈하늘'의 내용은 주인공 '한놈'이 한국사의 영웅들을 만나며 역사의식이 고취되는 이야기다. 예술감독 김평호는 신채호의 인간적 고뇌와 소설 속 인물 '천관'을 결합해 단재의 자주독립 의지를 조명하고자 했는데, 이는 현실과 환상, 역사와 소설의 중첩으로 또 다른 이야기를 창조하게 했다.

신채호와 천관의 캐릭터를 소개하는 프롤로그에 이어 제1장 괴로울 고(苦), 2장 옳을 의(義), 3장 싸울 전(戰), 4장 푸를 청(靑), 5장은 가둘 옥(獄), 6장은 꿈 몽(夢) 그리고 에필로그로 구성된 '천몽'은 일제 치하에서 고통받는 백성들의 모습과 신채호의 고뇌, 흰옷과 검은 옷의 대립, 신성한 칼의 춤, 아내와의 애절한 사랑, 옥중 단재의 슬픔과 죽음을 장면별로 표현했다.

신채호의 등에 업힌 천관의 모습으로 단재의 심적 무게를 표현한 장면이 인상적이고, 전통검무로 안무된 동족 간의 싸움과 무궁화를 의인화한 여성 군무가 춤의 볼거리로 다가온다. 그림자로 표현된 일본군의 모습이나 겹겹이 드리워진 액자가 감옥을 상징하는 무대미술은 서사를 돕는 현대적 해석이었다. 다만 한국의 근현대사나 신채호라는 인물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해외관객을 위해 텍스트 제공은 필수적일 것 같다. 작품 '천몽'은 역사 속 인물을 다루면서 생애의 나열이 아닌 인간 내면에 집중했다는 점에서 그 창의적 시도가 돋보였다.

대전시립무용단의 '0시의 제단- 그 시원으로부터의 시작'은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해 미국에 초청된 공연이지만 단순한 해외공연을 넘어 공공무용단의 바람직한 성장과 예술적 확산, 교류의 좋은 예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K-컬처의 놀라운 성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문화외교의 힘은 크다. 그 가운데 지역 예술단체가 국가를 대표해 세계무대에서 활동하는 것은 한국 문화예술의 깊고 다양한 측면을 소개한다는 점에서 지향돼야 할 일이다. 두 편의 대작을 들고 성공적인 미국 공연을 마친 대전시립무용단에 큰 박수를 보낸다./ 김예림 무용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3. 차기 대전교육감 선거 진보 단일화 시작? 5명 한 자리에
  4.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5. [춘하추동] 문화유산 회복 운동에 있어 재외동포의 역할
  1. [2025 대전교육청 학력신장] 창의융합형 수업으로 미래 역량 씨앗 키우는 대전태평중
  2. 충남대병원, 중증질환 소아청소년에게 완화의료 알리기 캠페인
  3.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4. [홍석환의 3분 경영] 지금 그리고 변화
  5. "거점 국립대만 키우나…" 비수도권 사립대 불안감 심화

헤드라인 뉴스


육사 지방이전 또 불붙나…충청 유치 선제대응 시급

육사 지방이전 또 불붙나…충청 유치 선제대응 시급

한 동안 불붙었다가 사그라들었던 육군사관학교 지방 이전 주장이 올 국정감사에서 또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여권 일각에서 국가균형발전 등 차원에서 당위성을 재차 설파한 것인데 이를 지렛대로 '국방수도' 충청권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지역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더불어민주당 이상식 의원(용인갑)에 따르면 전날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내란청산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서울 노원구에 있는 육군사관학교의 지방이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육사는 61년의 박정희 쿠데타, 80년의 전두환 쿠데타 12·3..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미중 무역갈등 재격화 우려 속에서도 상승 출발, 3600선을 재탈환하며 장중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코스피가 종가 기준 최고가마저 경신했다. 15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95.47포인트(2.68%) 오른 3657.28로 거래를 종료했다. 지수는 18.83포인트(0.53%) 오른 3580.64로 개장한 이후 꾸준히 고점을 높여갔고, 장 막판 한때 3659.91까지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는 전날에도 장 중 한때 3646.77까지 상승, 직전 장중 최고치(3617.86·10월 10일)를 갈아치웠으나 이후 급락해 3561.81로 장을..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이 15일 별세했다. 향년 67세. 고인은 1958년 대전에서 태어나 대전중, 충남고, 충남대를 졸업했다. 제34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사법연수원(24기)를 수료한 뒤 변호사로 활동하다 현실 정치에 뛰어들었다. 17대 총선에서 대전 유성에 출마해 국회에 입성한 후 21대까지 내리 5선을 지냈다. 유성은 물론 대전, 나아가 충청발전을 위해 힘썼고, '법의 정의'를 지키고 소외계층과 사회적약자를 위한 지원에도 앞장섰다. 2023년 12월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뒤 이듬해 1월 국민의힘에 입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