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리포트] 22대 총선 D-1, 560만 충청인의 선택에 '충청발전' 달렸다

  • 정치/행정
  • 2024 총선_대전

[총선리포트] 22대 총선 D-1, 560만 충청인의 선택에 '충청발전' 달렸다

지역발전 견인할 국회의원과 기초지자체장 등 선택
갈수록 치열한 무한경쟁 시대, 충청경쟁력 강화 절실
메가시티 실현, 세종의사당 건립 등 지역현안은 즐비
"본격적 '충청시대' 만들어갈 충청발전 전기로 삼아야"

  • 승인 2024-04-08 17:17
  • 수정 2024-12-08 18:32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202404040100049130001736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사전투표를 하루 앞둔 4일 대전시청 전시실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김용덕 대전시 선관위원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불법 카메라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충청의 미래가 달린 4·10 국회의원 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선거의 중요성은 어느 때보다 높다. 현재 충청은 중대 변곡점에 서 있다. 당장 수도권 일극 체제가 여전히 공고해 인구 절벽과 지방소멸의 위기가 눈앞에 다가왔고 지자체 간 무한경쟁시대가 도래해 충청만의 경쟁력과 차별화된 특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560만 충청인의 선택으로 선출되는 이들이 충청발전의 사명과 책임을 지고 이 일을 앞장서 수행해야 한다.



이번에 선출하는 충청권의 지역구 국회의원은 모두 28명(대전 7명, 세종 2명, 충남 11명, 충북 8명)이다.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현역 의원들과 이들에게 출사표를 낸 도전자들은 13일간의 공식 선거운동 기간 지역발전 적임자를 자처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여야 정당도 충청발전을 선도할 지역공약들을 내놓고 지역민들의 표심을 공략했다.

판세는 안갯속이다. 여야 모두 금강벨트에선 절대적 우세를 점치지 않고 있다. 대부분 지역을 박빙 또는 경합우세·열세로 분류하며 마지막까지 총력전을 벌인다는 목표다. 역대 선거마다 '캐스팅보트' 지역으로서 승부를 결정지은 충청의 표심이 그만큼 중요하단 얘기다. 실제 충청은 견제와 지원의 절묘한 균형을 맞추며 선거 이후 정국의 향방을 결정지었다.



정치적 의미를 떠나서도 충청인들의 한 표는 소중하다. 이번 선거에서 선출된 국회의원들은 국회를 포함한 중앙 정치무대에서 각종 지역 현안을 뒷받침하고 충청의 경쟁력 강화에 앞장설 대표선수들이다. 이들을 뽑는 일은 560만 충청인들의 손에 달렸다. 때마침 지자체 간 무한경쟁시대에 접어들고 수도권 일극 체제에 따른 지방의 위기도 눈앞으로 다가와 충청은 중대 변곡점에 처해있다.

aaaaa
제22대 총선을 앞둔 3일 대전 중구 용두동의 한 경로당에서 노인들이 국회의원 및 중구청장 후보자를 비롯해 비례대표 선거 공보물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전체적으론 수도권 일극 체제에 맞설 '충청시대'를 준비하는 일이 시급하다. 4개 시·도를 단일 행정권역으로 통합하는 충청권 메가시티를 추진하곤 있지만 중앙 정부로부터 주요 권한을 이양받는 것부터 시·도별 재정 문제와 행정권 조율, 지역민들의 공감대 형성까지 풀어야 할 숙제가 산적하다. 국회 세종 완전 이전과 대통령 제2집무실 설치도 본격적인 충청시대 개막을 위한 전제 조건이다.

지역별로도 공공기관 2차 이전을 비롯한 도심융합특구 완성, 기회발전특구와 교육특구 유치 등이 필요하다. 호남고속도로 지선 확장·지하화,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제2대덕연구단지 조성, UAM 도입, 중부내륙지원특별법 개정, 청주국제공항 거점공항 육성, 충남 국립의대·대학병원 설립, 충청권 순환 고속도로 추진, 서해선-경부고속철도 직접 연결 등 지역별 현안이 즐비하다.

여야 후보들은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의 마음으로 마지막까지 뛰겠다는 각오다. 국민의힘 대전시당은 선거 하루 전인 9일 '대전발전 지금 합니다'라는 주제로 후보들의 합동 기자회견을 연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도 같은 날 후보들이 모여 '대전시민에게 드리는 호소문'을 읽고 지지를 호소할 예정이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3.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4.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5. 당진읍성광장, 주민 손으로 활짝 펴다!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 보령에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2조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해당 센터를 통해 전력 절감, 일자리 창출 등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용호 웅천에이아이캠퍼스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웅천에이아이캠퍼스(이하 캠퍼스)는 보령 웅천산업단지 내 10만 3109㎡의 부지에 AI 특화 최첨단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캠퍼스 측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데이터..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