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최저임금 못 받은 근로자 301만여 명 달해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지난해 최저임금 못 받은 근로자 301만여 명 달해

경총, 2023년 최저임금 통계청 자료 분석
25만여 명 증가... 2년만에 300만명대 복귀
최저임금 미만율도 13.7% 전년比 1%p ↑

  • 승인 2024-05-16 16:12
  • 신문게재 2024-05-17 5면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최저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가 2년 만에 300만 명대로 올라섰다. 이는 그동안 가파르게 오른 최저임금을 노동시장에서 수용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경총1
한국경영자총협회가 16일 발표한 '2023년 최저임금 미만율 분석 보고서'.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16일 통계청 원자료를 분석한 '2023년 최저임금 미만율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법정 최저임금인 시급 9620원을 받지 못하는 근로자 수는 301만1000명으로 나타났다. 전년 (275만6000)대비 25만5000명 증가한 수치다. 임금 근로자 중 최저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 비율을 뜻하는 최저임금 미만율은 13.7%로 2022년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최저임금액 미만 근로자 수는 2018~2019년 2년간 29.1%에 달하는 인상률 속에 2019년 338만6000명까지 치솟았다. 이후 2020년과 2021년 각각 319만 명, 321만5000명을 기록하다 2022년 275만6000명으로 300만 명을 밑돌았다.



최저임금 미만율도 2019년 16.5%로 고점을 찍고 나서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증가세로 돌아섰다.

경총2
경총은 최저임금 미만율이 상승한 원인에 대해, 어려운 경제 상황과 급격히 오른 최저임금을 노동시장에서 받아들이기에 한계가 있다고 지목한다. 2001년보다 소비자물가지수와 명목임금은 각각 69.8%, 159.2% 상승한 반면, 최저임금은 무려 415.8% 인상됐기 때문이다.

경총3
한국경영자총협회가 16일 발표한 '2023년 최저임금 미만율 분석 보고서'.
이와 함께 지난해 최저임금 미만율은 업종별과 규모별로도 큰 차이를 보였다.

농림어업(43.1%)과 숙박·음식점업(37.3%) 등 일부 업종의 최저임금 미만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도·하수·폐기업(1.9%)은 가장 적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5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의 근로자 중 32.7%에 해당하는 125만3000명이 최저임금액 미만 근로자로 나타났다. 소규모 사업장들이 최저임금을 수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경총 관계자는 "지난해 최저임금 미만율은 13.7%로 매우 높은 수준이지만, 법정 유급 주휴시간까지 반영했을 때 24.3%까지 치솟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이어 "일부 업종과 소규모 사업장의 높은 최저임금 미만율은 현재의 최저임금을 감내하기 힘들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최저임금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선 앞으로 상당 기간 최저임금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흥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힘 VS 민주당' 2026 세종시 리턴매치, 총성 울린다
  2.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원인 밝혀지지 않았는데 증축 공사?… 행감서 질타
  3. 대전대 사물인터넷 혁신융합대학, 12개 기업과 인재 양성 업무 협약
  4. 세종 '빛축제' 민간 주도 한계...공공 참여 가능할까?
  5.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1. "100만 도시 만든다"… 충남도, 국가산단 조성·치의학연 유치 등 천안 발전 견인
  2. 한화그룹, 2025 한빛대상 시상식... 숨은 공로자 찾아 시상
  3.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4.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5. 충남 태안에 '해양치유센터' 문 연다

헤드라인 뉴스


[2026 수능 현장] "푸는대로 다 맞으리다" 교사·후배들의 따뜻한 응원

[2026 수능 현장] "푸는대로 다 맞으리다" 교사·후배들의 따뜻한 응원

"잘 보고 와요~" "선배님들 화이팅" 2026학년도 수학능력시험 당일인 13일 오전 7시 20분 홍성고(충남교육청 제65지구 제1시험장) 앞은 후배들의 열띤 응원과 따뜻한 말 한마디가 오갔다. 수능 한파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춥지 않은 날씨 덕에 수험생들은 옷차림을 가벼웠지만 긴장한 탓인지 표정은 굳어있었다. 배웅에 나선 가족들은 자녀가 시험장에 들어가는 것을 끝까지 지켜보면서 한동안 발을 떼지 못했다. 자녀를 수험장에 들여보낸 한 학부모는 "왜 제가 긴장되는지 모르겠다. 아이가 그동안 열심히 공부한 만큼 후회 없는 성과가 나왔..

황운하·한창민 의원 “대법원 행정수도 세종 이전은 사법개혁”
황운하·한창민 의원 “대법원 행정수도 세종 이전은 사법개혁”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대법원을 세종시로 옮기는 내용의 법원조직법 개정안이 국회에 발의된다.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위원장인 황운하 의원과 사회민주당 한창민 대표는 13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행정수도 세종시는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도시가 돼야 한다”며 법원조직법 개정안을 발의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행정도시에 다수 정부 부처가 이전했지만, 수도권 집중 완화에 도움이 됐는지 의문이다. 상징성은 약하고 비전은 더욱 애매하다”며 “수도권은 과밀로 고통받고 비수도권은 고사하는 현실을 끊어야 한다. 행정수도 완성은 균형발..

`임대아파트 사업권 대가` 뇌물 주고받은 대전 조합장·임대사업자 2명 덜미
'임대아파트 사업권 대가' 뇌물 주고받은 대전 조합장·임대사업자 2명 덜미

임대아파트 사업권을 대가로 뇌물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 대전지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조합장이 경찰에 붙잡혔다. 뇌물을 건넨 임대사업자도 함께 구속됐다. 전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최근 대전지역의 한 주택재개발조합에서 사업권 낙찰 편의 제공 대가로 금품을 수수한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등)로 조합장 A(70대)씨와 임대 사업체 대표 B(50대)씨 등 2명을 구속하고, 브로커 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이들은 대전지역 주택 재개발 조합의 임대아파트 사업권 낙찰을 위해 뇌물을 수수하거나 알선한 혐의를 받고 있다. 임대사업자 A씨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

  • ‘나눌수록 맛있다’…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 ‘나눌수록 맛있다’…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