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부동산 '불패'?… 집값 전망 최고치로

  • 경제/과학
  • 금융/증권

결국 부동산 '불패'?… 집값 전망 최고치로

대전세종충남 소비자심리지수 낙관적 전망으로 전환
주택가격전망 2021년 이후 최고치…지역도 지속 상승

  • 승인 2024-07-24 17:17
  • 신문게재 2024-07-25 1면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소비자심리지수 추이
(자료=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제공)
금리 인하 기대감과 주택가격 상승 전망이 최고치를 찍으면서 충청권 경제 상황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주택가격 전망은 과거 2021년 부동산 시장 과열 시기와 비슷한 수준이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7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7월 중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3.6으로 전월 대비 2.7포인트 상승했다. 지난달까지 비관적 전망을 유지하던 대전·세종·충남지역도 낙관적 전망으로 돌아섰다. 이들 지역 소비자심리지수는 100.2로 전월(99.4)보다 0.8포인트 올랐다. 다만 전국과 비교해서는 여전히 3.4포인트 낮았다.



소비자심리지수는 100을 넘기면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에 대한 심리가 긍정적이며, 100보다 낮으면 부정적임을 의미한다. 충청권은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CCSI 100을 밑도는 수준이었지만, 이달엔 100을 넘어서면서 올해 처음으로 낙관적 전망으로 전환했다.

대전세종충남의 소비자심리지수를 견인한 건 현재생활형편CSI(91)와 현재경기판단CSI(76) 등이다. 현재생활형편CSI가 전월보다 1포인트 상승하고, 현재경기판단도 4포인트나 오르면서다. 이와 함께 생활형편전망CSI(93), 가계수입전망CSI(98), 소비지출전망CSI(108), 금리수준전망CSI(98) 등도 지난달과 같은 수준에 머무르면서 경제 인식을 긍정적으로 끌어올렸다.



전국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9%로, 전월보다 0.1%포인트 떨어지면서 2년 4개월 만에 2%대로 떨어졌다. 충청권 물가수준전망CSI도 전월 대비 1포인트 하락한 138로 집계됐다. 이처럼 물가는 잡힐 것이란 전망이 늘었지만,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전국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가 115로 집계되면서다. 이는 6월(108)보다 7포인트 증가한 수준으로, 과거 부동산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였던 2021년 11월(116) 이후 최고치다. 대전세종충남의 주택가격전망CSI도 전월보다 2포인트 오른 112에 도달하면서,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지역민들의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황희진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장은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시행 연기 등으로 수도권 주택 가격 상승 기대가 높아졌다"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우려도 있어 이러한 흐름이 이어질지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국립한밭대 RISE 사업단 '지역사회상생협의체' 간담회
  1. 충남대, 충청권역 장애 대학생 기업 탐방 프로그램 개최
  2.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3.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4.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5.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