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생의 시네레터] 태풍 그리고 학교 안에서의 일탈

  • 오피니언
  • 김선생의 시네레터

[김선생의 시네레터] 태풍 그리고 학교 안에서의 일탈

영화 '태풍클럽'

  • 승인 2024-08-01 16:58
  • 신문게재 2024-08-02 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ㅇㅇ
영화 '태풍클럽' 포스터.
<태풍클럽>은 1985년 작품을 4K UHD로 복원한 영화입니다. 일본 대중문화 개방이 이루어진 시점이 1998년이니 발표 당시 우리는 이런 영화가 있는지 알지도 못했습니다. 감독인 소마이 신지(1948-2001)는 오즈 야스지로, 구로사와 아키라, 이마무라 쇼헤이 등 스튜디오 시스템의 거장들과 차별화된 새로운 흐름을 이끈 감독이었습니다. 그러나 불행히 일찍 세상을 떠나는 바람에 뛰어난 능력에도 불구하고 많이 알려지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일본 영화의 젊은 거장 하마구치 류스케가 이 작품에 대해 극찬하는 등 영향이 적지 않습니다.

영화는 40년 전 일본의 시골 중학교를 배경으로 합니다. 토요일에도 수업을 하던 시절 대형 태풍이 밀려오고 학교는 학생들을 서둘러 귀가시킵니다. 그런데 어찌 된 일인지 예닐곱의 학생들이 귀가하지 못한 채 학교에 갇혀 버립니다. 비바람에 거세어 누구도 와서 이들을 꺼내주지 못합니다. 중3 남녀 학생들은 가지각색입니다. 공부를 잘해 수도인 도쿄로 고등학교를 가려는 미카미를 비롯해 여학생 둘이 서로를 사랑하는 사이, 공부도 잘하고 얼굴도 예쁜데 미카미를 두고 삼각관계인 리에와 미치코, 미치코를 좋아하지만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채 상처를 입히는 켄, 공부도 생활도 그저그런 평범한 남학생 아키라가 그들입니다.



태풍 속 토요일 밤 학교에 남은 그들은 놀라운 일을 벌입니다. 학교의 기물들을 제멋대로 옮겨 놓거나, 교무실, 교장실, 복도 등을 질주하며 추격전을 벌입니다. 체육관에서 마이크를 켜 노래를 부르며 옷을 벗어 던지고, 빗속으로 들어가 마침내 나체가 됩니다. 원래부터 그런 학생들이어서가 아닙니다. 학교 제도 속에, 교복 속에, 어른들의 훈육 아래 눌리고 감춰진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일시에 분출됩니다. 그날 밤 학교는 일종의 해방구가 됩니다. 그러나 그들도 그들이 어디로 향해야 하는지 알지 못합니다. 그들도 그들 안에 그런 욕망이 잠재돼 있는지 알지 못했을 겁니다.

영화는 이런 그들의 행동을 롱테이크와 롱숏으로 보여줍니다. 2차대전 후 이탈리아의 피폐한 현실을 보여준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이른바 롱테이크 앤드 딥포커스와는 결이 다릅니다. 관객들로 하여금 현실을 직시하도록 오랜 시간 여실히 보여주는 것과 달리 소마이 신지 감독은 프레임 속 인물들이 누구의 시선이나 지시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욕망을 따라 마음껏 행동하도록 기다려 줍니다. 개입하지 않고 바라보는 장면 속에서 우리는 위험하고 위태로운 질풍노도기 청춘의 분출과 발산을 핍진하게 목도합니다. 모든 걸작은 막 어제 만든 것 같다는 말처럼 이 영화는 대단히 뛰어납니다.



김대중 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4.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5. ‘수능 끝, 해방이다’
  1. 국외 입양인들, 세종서 모국 문화 체험 "색다른 감동"
  2.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3.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4.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5.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헤드라인 뉴스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끝났다. 수험생들은 이제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정시 지원전략을 세우고 12월 5일 발표되는 성적에 맞춰 대학·학과 선택을 최종 확정해야 한다. 특히 올해 정시는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이 높고 수도권 주요 대학의 학생부 반영 방식 변화 등 변수가 있어 영역별 점수 활용 전략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제일학원에 따르면 수능 직후부터 성적 발표 전까지의 '가채점 기반 전략 설정'이 대입성공의 핵심 단계다. 수험생은 영역별 예상 등급을 기준으로 모집군별 지원 가능 대학을 먼저 판단해야..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