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대응댐 리포트] 되풀이되는 水魔 … 지천댐 건설 시급

  • 정치/행정
  • 충남/내포

[기후대응댐 리포트] 되풀이되는 水魔 … 지천댐 건설 시급

작년 청양·부여 669억원 피해… 특단의 치수정책 필요
지천댐 만들면 1900만t '물 그릇' 확보 홍수위협 덜어
年4200만t 공급 가뭄예방 인프라 확충 주민편익 증진

  • 승인 2024-08-12 16:43
  • 수정 2024-11-12 09:59
  • 신문게재 2024-08-13 1면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기후대응댐 리포트] 1. 왜 필요한가



정부가 14개 기후대응댐 건설 계획을 발표한 이후 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먼저 이번 계획이 해마다 되풀이되는 홍수, 가뭄 피해 예방과 지역 발전을 위한 게임 중대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물론 수몰 등으로 인해 일부 지역 주민 삶의 터전이 사라지고 환경파괴 우려로 인한 반대가 없는 건 아니다.



중도일보는 이에 수면 위로 떠오른 기후대응댐 건설 배경과 효과, 주민반응, 갈등해법 등을 집중 보도함으로써 독자들의 알 권리 충족에 나서기로 했다. <편집자 주>



clip20240812155721
연합뉴스/대청댐
윤석열 정부가 충청권 등 전국에 14개 기후대응댐 후보지를 발표한 가운데 충남 지천댐 건설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다.

잊을 만하면 되풀이되는 막대한 수해피해를 미리 막고 지역 숙원 사업 해결을 위한 모멘텀 마련 등 긍정적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한국수자원공사와 충남도 등에 따르면 얼마 전 정부가 발표한 기후대응댐 후보지는 한강권역 4곳, 낙동강권역 6곳, 금강권역 1곳, 영산.섬진강권역 3곳 등이다.

이 가운데 금강권역에 유일하게 조성하는 댐이 바로 지천댐이다.

지천은 충남 청양군에 있는 금강 수계의 하천이다. 지천댐은 신규 다목적댐으로 총저수량 5900만㎥, 용수공급용량 5500만㎥/연, 홍수조절용량 1900만㎥ 규모로 건설이 추진될 전망이다.

정부는 지천댐 등 조성 이유에 대해 홍수와 가뭄은 물론 장래에 신규로 창출되는 신규 물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물그릇' 확충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특히 지천댐 건설은 집중호우에 따른 피해가 끊이지 않으면서 특단의 치수(治水) 정책이 필요하다는 데 일차적인 명분이 있다.

건설 예정지인 청양과 인근 부여군은 2023년 1일 335㎜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인해 지천 범람 및 둑이 무너지는 피해가 발생했다. 정부가 집계한 재산피해는 청양 312억 원, 부여 357억 원 등 모두 669억 원에 달한다.

2022년에도 시간당 95㎜ 비가 내리면서 지천 제방이 유실되면서 청양 251억 원, 부여 264억 원 등 모두 515억 원의 재산피해를 입었다.

뿐만 아니다.

10여 년 전인 2012년에도 3시간에 177㎜의 비가 내려 지천이 범람했고 청양에 52억 원의 피해가 났으며 올해에도 지천 인근 부여에 809㎜의 집중호우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기도 했다.

정부는 지천이 건설되면 한꺼번에 최대 220㎜ 수준의 집중호우가 오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홍수 방어 능력 확보가 가능, 댐 하류를 홍수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지천댐을 만들면 약 1900만t에 달하는 홍수조절용량으로 상습적 홍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이수(利水) 효과도 톡톡히 누릴 수 있을 전망이다.

지천 수계일대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가뭄 피해가 반복되며 제한급수 대비 등으로 매년 지역 주민의 고통이 가중돼 왔다.

이런 가운데 지천댐 건설로 '물 그릇'을 새롭게 확보할 경우 이 같은 점이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지천댐으로 4200만t 용수를 청양과 부여를 포함한 충남 서부지역으로 안정적 공급이 가능할 것이라는 것이 정부 판단이다.

지천댐 건설은 충남 서북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청양 및 인근 지역 발전 견인차 역할로도 작용할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정부는 댐 건설 때 공공 및 생산기반, 복지문화 시설 등 건립을 함께 추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댐 주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인프라 확충을 병행하는 것이다.

댐 규모에 따라 이같은 인프라 확충은 300~400억 원 규모로 추산되는 데 대폭 확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댐 건설 이후에도 인근 주민들은 매년 캠핑장, 둘레길 등 여가·레저시설 조성, 통신비·전기료·난방비 지원 등 주민소득 및 복리증진을 위한 사업 수혜를 입을 수 있다. 올해 이런 정부 예산은 모두 907억 원 규모로 댐별로는 6~125억 원에 달한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대입+] 종로학원 2026 수능 가채점 정시 분석… 서연고 경영 280점대, 의대는 290점 안팎
  3. 세종시 어린이들의 '가족 사랑' 그림...최종 수상자는
  4. 초록우산 박미애 본부장, '시낭송 상금' 100만 원 기부 귀감
  5. 한남대, 2025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1. 건보공단, 미혼 한부모가정 위한 따뜻한 지원 눈길
  2. 충남대, 중국약과대학과 협약…바이오 재료·약학 분야 공동 연구 추진
  3. 세종충남대병원, '당뇨병 예방과 공연' 이벤트..건강한 삶 이끈다
  4. 세종도시교통공사, 저출산·지방소멸 해결 위한 시민 소통 강화
  5. 세종테크노파크, 네트워킹데이 개최...입주기업 성장 돕는다

헤드라인 뉴스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한 정시 합격선 예측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영·의학계열 합격선이 280~290점대에서 형성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문과 지원확대와 의대 정원 원복, 탐구영역 선택 변화 등으로 인해 정시 지원전략에서 문·이과 모두 경쟁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종로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2) 원점수 합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284점, 연세대·고려대 경영이 280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이 279점,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 한양대 정책학과..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활약에 힘입어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에서 2-0으로 승리했다. 홍명보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꺼내 들었다. 9월과 10월 A매치에서는 스리백을 시험했지만, 이날은 포백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했다. 손흥민을 원톱에 세운 뒤 2선에 황희찬과 이재성, 이강인을 배치해 공격 라인을 꾸렸다. 중원조합은 김진규와 원두재를 내보냈고, 포백라인은 이명재, 김태현, 김민재, 김..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