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인칼럼]대전지역문제해결플랫폼

  • 오피니언
  • 전문인칼럼

[전문인칼럼]대전지역문제해결플랫폼

이상호 대전사회혁신센터장

  • 승인 2024-11-17 10:39
  • 수정 2024-11-17 11:40
  • 신문게재 2024-11-18 18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이상호 대전사회혁신센터장
이상호 대전사회혁신센터장
공공기관과 공기업의 지방 이전은 단순한 물리적 이동을 넘어, 지역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중요한 정책이다. 특히 대전은 다양한 공공기관과 공기업이 소재해 과학 도시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있지만, 지역사회와 공공기관 사이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지역 문제 해결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전사회혁신센터의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은 지역의 다양한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기 위해 공공기관과 협업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은 지역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간, 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참여해 지역 단위의 협업체계를 구성하고 운영하는 협업 플랫폼이다. 기존 관 주도, 중앙정부 중심의 문제 해결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주민의 주도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민·관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 특징이다. 과거의 지역 문제 해결 방식은 지역 주민의 참여가 부족하고 문제 해결의 지속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고 지역 문제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에 한 주체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따라서 지역 문제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은 지역 주민으로서 지역 주민의 주도적인 참여를 통해 문제 해결의 효과를 높이고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기에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이 필요하다.

2024년 대전사회혁신센터는 다양한 기관과 함께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총 8개의 실행 의제를 선정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각 기관은 자원을 연계하고 협력해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 지역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해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지역 사회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정부, 지자체, 민간의 협력을 통해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 발전을 도모하며, 지역 주민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한다.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의제는 8개다.

첫 번째로 어린이 안전길 만들기 의제로 6개 초등학교 12곳 중 24개 지역 스쿨존에 노란발자국을 설치했다. 두 번째,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살리기(전통시장 환경개선사업)의제로 태평전통시장 상인 103명 대상 캐리커처를 제작했다. 세 번째, 대전의 명소탐방과 환경정화 의제로 보문산 외 4곳에 시민 병충해 모니터링단 교육 및 환경정화를 했다. 네 번째. 타슈 이용 활성화와 자전거 출퇴근 챌린지 의제로 자전거 출퇴근 챌린지 캠페인 행사 및 타슈 모니터링단 운영을 했다. 다섯 번째. 원도심 소극장 활성화 의제로 동구, 대덕구 취약계층 및 0시 축제 자원봉사자 대상으로 연극티켓 550매를 기탁했다. 여섯 번째. 취약계층 문화. 예술. 생활지원사업 의제로 장애인 대상으로 이미용 봉사나눔 및 쪽방 주민 대상 경주나들이를 실시했다. 일곱 번째,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사업 의제로 독거노인(2가구) 및 쪽방거주민(2가구)대상으로 주거환경개선(도배, 장판교체, 청소, 전기시설 점검 등)을 했다. 여덟 번째로 시민에게 찾아가는 생활밀착형 교육 운영 의제로 찾아가는 어르신 디지털 격차 해소 및 찾아가는 보이스피싱 범죄예방과 어르신 자서전 쓰기 교실을 운영했다.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은 단순히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새로운 모델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더욱 확대하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플랫폼 운영 결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해 더욱 효과적인 문제 해결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플랫폼 사업 참여 기관은 대전시를 비롯한 16개 공공기관, 대전관광공사 등 5개 지방공기업, 대전대학교LINC3.0사업단 등 3개 대학교, 대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등 7개의 민간단체와 기타 3곳이 있다.

대전사회혁신센터의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은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첫걸음이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지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다 하겠다. /이상호 대전사회혁신센터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5.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1.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사설] 서해 어민 위협할 중국 불법 구조물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