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통합 '평생교육·정책·연구원' 설립...당위성 4가지는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통합 '평생교육·정책·연구원' 설립...당위성 4가지는

남궁 영 인재평생교육진흥원장, 2월 24일 기자 간담회서 다시금 호소
"38년 관료 출신으로서 정치적 접근 아니다" 강조...4가지 근거 제시
시정 비전의 체계적 수립, 양 기관 간 시너지, 의회의 견제 강화, 연구원 조기 독립에 유리

  • 승인 2025-02-24 16:04
  • 수정 2025-02-24 16:39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2025022001001644800066442
통합 시도가 이뤄지고 있는 양 기관 로고. 사진=각 기관 누리집 갈무리.
세종시 평생교육·정책·연구원 설립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다시금 제기됐다. 시가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대전·세종연구원 소속 '세종연구실'과 시 산하 '인재평생교육진흥원' 간 통합안에 대해 시의회가 제동을 걸면서다.

남궁 영 세종인재평생교육진흥원장은 2025년 2월 24일 기자 간담회를 열어 이와 관련한 당위성을 설명하고 나섰다. 그는 우선 통합 과정에서 자신이 초대 원장으로 가려는 뜻이 아니란 점을 분명히 했다. 남궁 원장은 "아직 자격 요건이 제시된 일도 없고, '누가 원장이 된다' 이런 사항은 전혀 알 수 없는 부분이다. 채용 절차를 공식적으로 밟아야 할 부분"이라며 "만에 하나 제가 통합 연구원에서 일을 하게 된다면, 연구 인력도 확충하고 이를 교육으로 재활용하는 등의 시너지 효과를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희정 전 지사 시절 충남도 행정부지사 근무 사실도 언급하며, 결코 정치나 정파적 접근이 아니라 어진동 시민이자 직업 관료 출신 기관장으로서 합리적 상식에 근거한 접근임을 또한 강조했다.

KakaoTalk_20250224_161227174_03
남궁 영 원장이 2월 24일 기자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중도일보 DB.
그러면서 당위성은 모두 4가지 측면에서 찾았다.



무엇보다 행정수도 도약 과정에서 다양한 대응 논리 개발과 시정 및 도시 발전 비전 제시의 중요성 측면에서 통합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대전연구원의 한 부서인 세종연구실로는 한계가 명확하고, 그렇다고 연구원 13명과 지원 인력 5명 규모로 독립적 연구원 설립 자체가 불가능한 현주소도 확인했다. 이 때문에 시 산하 출연기관인 인재평생교육진흥원과 통합이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처방전이란 설명이다.

이와 연결된 또 다른 근거는 업무 효율화와 통합 시너지 효과로 들었다.

실제 진흥원은 현재 사업 인력 17명과 지원인력 6명 등 모두 23명인데, 연구실의 지원 인력 간 업무 비효율을 줄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여기서 절약한 예산은 연구원 충원에 쓸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나 교육 기능이 약화될 것'이란 우려는 기우에 불과하다고 봤다.

연구나 교육사업은 각각 시정연구실과 평생교육실로 독립 설치되는 만큼, 연구자는 교육에 나설 여유를 찾아 수요자들의 현장 의견을 얻어 다시 연구에 반영하는 선순환 효과도 내다봤다. 이는 전국 어느 지역에서도 해 보지 못한 민주시민의 참여 교육 모델이 될 것이란 얘기다.

시의회의 견제·관리·통제 기능이 더욱 강화될 것이란 이점도 내세웠다. 세종연구실은 현재 대전연구원 소속이다 보니, 기획조정실장에 의한 관리에 그치고 있다. 오히려 시의회가 이 같은 문제점을 바로 잡아야 할 시급한 사안이란 점도 역설했다.

끝으로 소담동 연구실 공간으로 인재평생교육진흥원이 이전함으로써 어진동 박연문화관 공간의 교육장 확대 가능성도 열었다. 시민 대상의 교육 장소인 대평동과 한솔동, 어진동, 조치원 학당은 그대로 유지된다는 사실도 적시했다.

남궁 영 원장은 "저는 (충남도를 중심으로) 38년의 행정 경험에 따라 말씀드리고 있다. 의회는 행부가 일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춰 시민의 행정수요에 더 가까이 가고자 하는 사안이라면, 적극 허락해 열심히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며 "그 이후에 칭찬과 격려나 질책을 하는 과정이 올바른 처사가 아닌가 생각한다. 통합 연구원 설립은 세종시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고 시급하다"라고 밝혔다.

이어 "연구원 독립은 현재 13명에서 최소 20~30명 정도로 늘어났을 때,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지금처럼 한 연구원이 3~4개 이상의 과제를 수행하는 현실이 되풀이되면, 세종시에게도 마이너스"라고 덧붙였다.

한편, 시의회가 이 같은 남궁 영 원장의 의견에 어떤 반응과 평가를 내릴지 주목된다. 벌써부터 민주당 일각에선 내부적으로 함께 논의해도 될 사안을 기자 간담회로 공론화하는 데 대해 곱잖은 시선을 내보이고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2.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3.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4.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5.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1.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2.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3. 대전 학생들의 HYO(효)와 함께하는 특별한 하루
  4. 세종시 '조치원~청주공항' 연결 버스 운행 재개
  5. 세종충남대병원, 개인정보 보호 캠페인 시작

헤드라인 뉴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원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했다. 이에 따라 이 후보는 서울고법에서 다시 재판받아야 한다. 서울고법은 대법원의 판단 취지에 기속되므로 유죄를 선고해야 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박영재 대법관)는 5월 1일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대법원은 지난 3월 28일 사건을 접수한 뒤 국민의 관심이 지대하고 유력 대권 주자인 이 후보의 피선거권 여부가 달려있다는 점을..

한덕수 대행 “직면한 위기, 제가 해야하는 일 하고자”… 총리 사퇴
한덕수 대행 “직면한 위기, 제가 해야하는 일 하고자”… 총리 사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1일 "우리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제가 할 수 있는 일, 제가 해야 하는 일을 하고자 직을 내려놓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 대행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통해 "깊이 고민해 온 문제에 대해 최종적으로 내린 결정을 말씀드리고자 이 자리에 섰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법원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 한 직후다. 또 "엄중한 시기 제가 짊어진 책임의 무게를 생각할 때, 이러한 결정이 과연 옳고 또 불가피한 것인가 오랫동..

세종시 베어트리파크, 어린이날 특별한 추억 선사
세종시 베어트리파크, 어린이날 특별한 추억 선사

세종시 베어트리파크가 어린이날 연휴를 맞아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5월 5일 아기 반달곰의 백일잔치를 포함해 다양한 어린이날 행사를 진행한다. 국내 유일의 행사로, 어린이와 가족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예정이다. 베어트리파크는 5월 1일부터 6일까지 무료 체험과 나눔, 마술쇼, 버블쇼 등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했다. 5월 5일에는 아기 반달곰의 백일잔치가 열리며, 관람객들은 마술과 버블쇼를 즐기며 아기 반달곰의 새로운 이름을 짓고 축하 노래를 부르는 시간을 갖는다. 이 외에도 5월 1일과 6일에는 입장객에게 선착순으로 새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