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대학 진학률 향상...두 얼굴의 현주소는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대학 진학률 향상...두 얼굴의 현주소는

[교육 특집 2편] 2025년 세종시 고3의 대학 진학률 지표 성과 눈길
사교육 참여율 전국 2위, 비용은 전국 4위...여전히 가정 부담 높아
인서울 경향 갈수록 심화, 현실과 이상의 괴리...지역 대학 경쟁력은?

  • 승인 2025-03-16 12:08
  • 수정 2025-03-16 12:37
  • 신문게재 2025-03-17 7면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전국 사교육비
전국 17개 시·도별 월평균 사교육비 참여학생과 참여율. 사진=통계청 자료 갈무리.
세종시 학생들의 대학 진학률 향상 지표 이면의 숙제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사교육비와 참여율이 매년 증가 속에 전국 상위에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 과제이고 세종시 소재 대학들의 경쟁력 강화도 중요하다.

무엇보다 사교육비가 늘고 있다는 건 가정 경제에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학교 교육의 정상화에도 역행하는 지표다.

통계청이 공표한 자료를 보면 2024년 세종시의 사교육 참여율은 83.5%로 전년의 83.9%보다 소폭 줄었다. 전국 17개 시·도 기준으로는 서울시(86.1%) 다음으로 높은 현주소를 나타냈다. 3위는 경기도(82.7%)이며 전국 평균은 80%다.



학교급별로는 초등이 90%, 고등이 73.7%로 전국 상위권 지표를 이끌었다. 중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78.7%(5위)로 파악됐다. 대학 진학을 앞둔 고 3 학생들의 참여율은 65.4%로 전국 5번째 순위에 올랐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세종이 47만 8000원으로 대구와 같았다.이는 서울(67만 3000원)과 경기(51만 3000원), 부산(48만 3000원) 다음인 공동 4위 수준이다. 학교급별고등은 56만 5000원으로 전국 3위에 랭크돼 대학 진학률 지표와 연계성을 갖게 했다. 초등은 44만 7000원으로 5위, 중등은 46만 6000원으로 7위로 집계됐다.

국내 사교육비 총액이 전년보다 2조 1000억 원 늘어난 29조 2000억 원에 달한 점을 감안하면 세종시의 증가세도 자연스럽지만 전국 상위권에 속한 상황은 상향 평준화 교육의 양면성을 비췄다. 전국적으로 사교육 수강 목적의 대부분은 학교 수업 보충과 선행 학습, 진학 준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정부 차원의 사교육 경감 대책이 주효하지 않은 탓도 있다.

이 통계 자료는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에서 확인 가능하다. 주제별 통계 항목의 교육·훈련-초중고 사교육비 조사에 담겨 있다. 교육부와 공동으로 전국 초중고 약 3000여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2025012101001544900061551
세종시 집현동 공동캠퍼스 기능 배치도. 사진=중도일보 DB.
세종시 소재 대학들의 경쟁력도 미래 과제 중 하나다. 정부 차원으로 특단의 대책이 뒤따라야 할 분이다. 그동안 '서울대의 전격 이전', '국립대학 신설', '세종시립대 설립' 등의 제언이 쏟아진 배경이다.

분교 성격의 조치원 소재 고려대와 홍익대 세종캠퍼스, 장군면 한국영상대, 지난해 9월 집현동 공동캠퍼스에 문을 연 ▲서울대 국가정책행정 전공 석·박사 ▲KDI 국가정책학 석·박사 및 공공정책데이터사이언스 석사 ▲한밭대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학사와 빅데이터 융합 전공 학사, 인공지능학 석사 ▲충북대 수의학 학·석사 과정 ▲2025년 충남대 의예·의학과와 의과학 석·박사 과정 ▲2027년 충남대 AI·ICT 등의 대학·대학원, 공주대 AI·ICT 등의 대학·대학원 ▲2028년 고려대 세종캠퍼스 행정전문대학원과 IT·AI 관련 대학으론 '인서울'의 발길을 잡아 끌기 어렵다.

향후 남겨진 분양형 4개 필지에다 금강과 만나는 집현동 미래캠퍼스(복합캠퍼스)로 대학 기능 강화가 절실하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2025021001000722400028521
집현동 세종 공동캠퍼스 전경. 사진=중도일보 DB.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KAIST 장영재 교수 1조 원 규모 '피지컬 AI' 국책사업 연구 총괄 맡아
  3. [사이언스칼럼] 우주에서 만나는 두 가지 혁신: 디스럽션을 넘어 확장으로
  4. 건양대, 'K-국방산업 선도' 글로컬 대학 비전선포식
  5. 자신이 돌보던 장애인 수당 빼돌린 요양보호사 실형
  1.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2. [2026 수시특집-목원대] 대전 최초의 명문사학… '71년 전통' 기반 과감한 교육혁신 선도
  3.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4. [교단만필] 나는 호구다
  5. [홍석환의 3분 경영] 정도 경영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충청권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반면, 학업중단율은 증가세를 보이며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저출생 여파에, 대입 전략을 위해 스스로 자퇴를 택하는 고등학생들이 늘면서 등교하는 학생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8일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2025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충청권 시도별 유·초·중등 학생 수는 대전 16만 4591명, 세종 6만 8091명, 충남 24만 9281명, 충북 17만 3809명으로 집계됐다. 학생 수는 전년보다 대전은 2.7%, 충남 2.1%, 충북 2%가 감소했고 세종만 유일하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정부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세를 더 감면해 주기로 해 충청권 지자체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또 전국 13만4000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고자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도 깎아주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물류·관광단지 등 지역별 중점산업 조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순으로 지방세 감면율을 높게 적용키로 했다.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수..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멀리뛰기 국가대표를 꿈꾸는 윤여훈(용천초 6)은 교실보다 학교 밖 운동장이 더 친숙하고 즐거웠다. 축구를 가장 좋아했지만, 달리는 운동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았다. 또래 아이들보다 몸이 유연하고 날렵했던 아이를 본 체육담당 교사가 운동을 권유했고 그렇게 육상선수 윤여훈의 꿈이 시작됐다. "처음에는 멀리뛰기라는 운동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달리기는 원래 잘했으니까 선생님이 지도해주신 그대로 뛰니까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윤여훈의 100m 기록은 12초 중반에 이른다. 전국대회 단거리 상위권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윤여훈은 멀리뛰기와 단거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