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교사 발언·풋살장 사망' 파장...세종교육청의 대응은

  • 정치/행정
  • 세종

'역사 교사 발언·풋살장 사망' 파장...세종교육청의 대응은

중학교 교사 A 씨의 '윤 대통령 비하 발언' 논란...감사관실 사전 조사 착수
최 교육감, "공식 감사 대신 학교장 중심으로 문제 해결 바람직" 견해
14일 초등생 B 군 조문 이후 학교 밖 시설 안전관리, 시와 공동 노력 약속

  • 승인 2025-03-17 11:21
  • 수정 2025-03-17 15:02
  • 신문게재 2025-03-18 3면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2025031401001066700042181
3월 14일 사고 현장에 동료 학생들이 모여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가운데가 손가락만 넣으면 열 수 있는 버튼 시스템. 사진=이희택 기자.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이 '중학교 교사 A 씨의 역사 수업 도중 거친 발언 논란'과 '풋살장 내 초등학생 B 군 사망 사고' 현안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2025년 3월 17일 청렴 정책 추진 관련 기자회견을 통해 "해당 중학교 교사의 수업 내용과 문제 제기 사항 사이에 큰 편차가 있다. 앞으로 감사관실을 중심으로 교장 선생님과 아이들에게 확인 절차를 가질 예정"이라며 "아이들도, 학교 수업권도 중요하다. 학생과 분리 등 징계를 전제로 한 조사는 맞지 않다. 아이들은 사회 쟁점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하고 선택할 수 있다. 그것이 민주시민 교육"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12월 3일 비상 계엄 이후 정치 상황에 대해선 수업 시간에 충분히 다룰 수 있고, 아이들이 다양한 의견을 낼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도 이어갔다. 최 교육감은 "수업 진행 과정에 적절하지 않은 발언이 있었다 하더라도, 굳이 감사반이 갈 정도는 아니다. 교장 선생님 중심으로 문제 해결을 하는 게 정상적"이란 의견도 내놨다.

앞서 세종시의회 윤지성(국민의힘, 해밀동·연기·연동·연서면) 교육안전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A 교사의 수업 시간 'XX' 등 비속어 발언을 문제 삼고, 감사를 촉구한 것에 대해 다른 시각을 내보인 셈이다.



KakaoTalk_20250317_104101776_01
최교진 세종교육감과 최호열 세종교육청 감사관이 17일 브리핑을 통해 교육청 현안에 대한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이와 관련, 최호열 감사관은 "학교 선생님 발언과 관련, 설문조사 등을 통해 정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면서 "사실이 맞다면 학생 보호와 선생님 수업 배제 등에 대한 검토를 하겠다. 의혹이 있다면, 본 감사에도 착수하겠다"고 했다. 그는 "사실관계가 확정된 이후로는 교육기본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특정 정당 지지나 편향 교육 등이 있었는지에 대한 법률 판단이 필요하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빠른 시일 내 결론을 내겠다"고 밝혔다.

최 교육감은 3월 13일 오후 신도시 한 공공풋살장에서 발생한 초등학생 B 군의 사망 사고에 대해서도 안타까운 마음을 전했다.

그는 "B 군은 친구관계도 좋고, 축구도 잘했다. 부상은 몰라도 그런 상황에서 상상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 너무 안타깝고 죄송스럽다. (14일) 빈소 조문을 하면서, 부모님께 죄송한 마음만 전했다"라며 "학교 안이냐, 밖이냐를 따지지 않고 우리 아이들이기에 무한 책임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학교 밖 시설에 대해서도 안전사고 예방 및 시설 이용 등에 관한 안전교육을 강화하겠다는 입장도 더했다.

최교진 교육감은 "주변에 들어보니, 당시 풋살장은 잠겨 있었으나 우리 아이들이 쉽게 들어갈 수 있는 취약성을 가졌다. 이곳에서 (예약 없이) 자주 뛰어노는 아이들을 봤다는 얘기도 들었다"라며 "시와 긴밀히 협의해 시건 장치 강화 등의 후속 노력을 전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민사회에서 논란이 된 '세종시교육청 헌법 교육 활성화 지원 조례'에 대해선 "헌법 교육은 과거에도 늘 해왔으나, 지난해 12월 비상 계엄과 방학 돌입 등의 특수 상황에서 중 3과 고 3 전체 학생에게 손바닥 헌법책 1권씩 나눠주고 같이 읽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져왔다"라며 "현재 헌법 교육 수업은 선생님들 간 자체 논의로 진행하고 있다. 효과 등의 평가와 점검까지 자율적으로 정해 하고 있다. 대부분 학교에서 일상적인 헌법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윤지성
중학교 교사의 문제 발언에 대해 감사를 요구한 세종시의회 윤지성 위원장. 사진=시의회 제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몽골대법원 연수단 17명, 대전과 청주법원에서 전자소송 등 교류
  2. 소방안전체험 하는 외국인 주민들
  3. [현장취재]2025 재전부여군민회 대전현충원 보훈둘레길 탐방
  4. '대전형 라이즈' 13개대학 643억 투입 83개 과제별 사업 수행
  5. [편집국에서]거짓말에 무게가 있을까?
  1. 급식 갈등 대전교육청, 조리원 배치기준 완화로 근본적 문제 해결 나선다
  2.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3. 이재명, 사법 리스크 극복하고 세 번째 대권 도전 성공할까
  4. 대전 기간제 교사 5년간 400여명 늘었다… 정교사는 감소세
  5. 하모니합창단 후원금 2300만원 기탁식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 확정…경선압승 본선직행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 확정…경선압승 본선직행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27일 당내 경선에서 압승을 거두며 대선 후보로 확정됐다. 2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마지막 순회경선 결과, 이 후보는 최종 89.77% 득표율을 기록하며 결선 투표 없이 과반 승리로 본선 직행이 확정됐다. 이 후보는 수도권과 충청권, 호남권 등 주요 지역에서 모두 90% 가량의 고른 지지를 받았다. 그의 압승은 본선에서 승리할 후보를 강력히 밀어준 정권교체 열망이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경쟁 주자였던 김동연 후보는 6.87%, 김경수 후보는 3.36%에 그쳤다. 이 후보는 초반부터 대세론을 형성했..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6·3 조기대선 정국에서 대전 도심을 단절해 성장을 저해하는 도로나 철도시설에 대한 입체화를 반드시 관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전시는 최근 6월 치러질 제21대 대선을 앞두고 대한민국 미래 도약을 선도하기 위해 4대 분야 42개 발전 과제를 발굴했는데 이중 호남고속도로 지선 확장 및 지하화, 도심철도구간 입체화 통합개발(대전조차장, 대전역) 등 도심 입체화 사업이 12개 핵심 사업에 들어가 각 후보에게 적극 전달된다. 호남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은 이장우 대전시장의 민선8기 대표 공약 사업 중 하나다. 호남고속도로는 1970년..

대전 농산물 소매가 전반적 안정세... 배추·대파·당근 등 저렴해졌다
대전 농산물 소매가 전반적 안정세... 배추·대파·당근 등 저렴해졌다

봄철 출하량이 늘고 작황이 양호해지면서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대전 배추와 당근, 대파 등 집밥 필수품인 채소 등은 최근 한 달 사이 가격이 하락하며 지난해보다 저렴해졌고, 5월부터 본격적으로 출하하는 참외와 수박 시세도 작년보다 가격이 인하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채소류 중 대전 배추(상품) 1포기 소매가는 25일 기준 4827원으로, 한 달 전(5599원)보다 13.79% 내렸다. 이달 중순까지만 하더라도 6380원까지 가격이 높게 형성되며 강세를 보여왔다. 이후 봄배추가 본격적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

  • 자연과 함께하는 차분한 주말 자연과 함께하는 차분한 주말

  • 소방안전체험 하는 외국인 주민들 소방안전체험 하는 외국인 주민들

  • 유류세 인하 폭 축소에 5월부터 기름값 오름세 유류세 인하 폭 축소에 5월부터 기름값 오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