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웹툰작가" 특별전에서 대전 웹툰의 현재와 미래 만나다

  • 문화
  • 공연/전시

"나는 웹툰작가" 특별전에서 대전 웹툰의 현재와 미래 만나다

대전 웹툰작가 특별전 '나는 웹툰작가' 전시 현장을 가다
대전 한밭도서관서 예비 작가 포함 14명 작품 전시
원로 작가부터 예비 작가까지 다양한 세대 참여
체험 공간 및 굿즈 전시로 확장된 웹툰 문화

  • 승인 2025-03-19 08:36
  • 수정 2025-03-19 09:31
  • 신문게재 2025-03-19 9면
  • 김주혜 기자김주혜 기자
애정으로 하는 웹툰을 화면으로만 보는 게 아쉬웠다면, 놓칠 수 없는 기회가 있다. 바로 한밭도서관 1층 전시실에서 다양한 웹툰을 포스터와 굿즈로 직접 만나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보는 대전 웹툰 작가 9인과 예비 작가 5인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나는 웹툰 작가' 특별전이 열리는 현장을 생생히 담아봤다.<편집자 주>
clip20250312141237
대전 웹툰작가 특별전 입구/사진=김주혜 기자
오는 30일까지 열리는 대전 웹툰작가 특별전 '나는 웹툰작가'는 네이버, 카카오 등 메이저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프로 작가 9명과 데뷔를 준비 중인 예비작가 5명이 참여했다. 이번 전시는 '봄이와'와 '스추라익 1932'를 연재 중인 소만(천정연·43) 작가의 기획으로 지난 3월 2일부터 진행됐다. 온라인에서만 볼 수 있었던 웹툰 작품을 오프라인에서 직접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가들의 작업 과정과 굿즈까지 함께 전시해 웹툰의 A부터 Z까지 보여주고 있다.
clip20250312141701
소만 작가의 '스추라익 1932' 작품 가운데 작품 설명의 QR코드가 배치돼 있다./사진=김주혜 기자
전시장 입구 문턱을 넘어서는 순간, 작품들로 가득 찬 공간에서 어디서부터 봐야 할지 모르겠다면 우선, 바로 앞에 있는 팜플렛을 챙기면 된다. 고개를 들었을 땐, 관람 방향을 알려주는 문구가 있을 것이다. 안내에 따라 작품과 QR코드를 스캔해 직접 웹툰을 보며 한 바퀴를 돌면, 작가들의 스케치에 내 마음대로 색을 칠할 수 있는 체험 공간도 마련돼 있다.

전시 기획자이자 참여자인 소만 작가는 "한밭도서관에서 웹툰 강의를 진행하다 담당자의 제안으로 전시를 기획하게 됐다"며 "개인전보다는 웹툰 캠퍼스 동료 작가들과 함께하는 단체전이 더 의미 있을 것 같았다"고 전시 기획 배경을 설명했다.
clip20250312141218
예비 작가 '사카'의 '독서모임'/사진=김주혜 기자
주목할만한 이번 전시의 특별한 점은 40년 이상 만화계에서 활동해온 원로 작가부터 데뷔를 준비 중인 예비작가까지 다양한 세대의 작품을 함께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대전 웹툰의 현재와 미래를 같은 공간에서 만나볼 수 있는 셈이다.



1982년 데뷔한 탁영호 작가는 한국 역사의 중요한 사건과 인물을 만화로 그려왔으며, 2014년 위안부 할머니 이야기를 담은 '꽃반지'로 부천만화대상 어린이만화상을 받은 바 있다. 1985년 데뷔한 손진효 작가는 출판만화계에서 왕성히 활동하다 현재 버프툰에서 '타임아웃'을 연재 중이다.

네이버웹툰의 신여름(풋내기들), 만두인(파운더) 작가와 카카오페이지의 단거땡(고개를 들어 달을 보라), 루홍(구조 조정에서 살아남는 법) 작가 등 현역 인기 작가들도 대거 참여해 전시의 무게를 더했다.



더불어 만두인 작가가 설립하고 뽀송 작가가 멘토링을 지원하는 '성덕코믹스' 소속 예비작가 5명(젝키춘, 써니, 사카, 웅2, 큰코)도 참여해 신선한 시각과 열정을 보여주고 있다.
흰색 개 낮잠 가로 동물 밈 (4)
아이들이 체험존에서 열심히 그림을 색칠하고 있다/사진=김주혜 기자
전시가 시작된 지 보름이 넘은 현재, 관람객들의 반응은 뜨겁다. 취재 날, 체험공간에서 열심히 그림을 색칠하고 있던 오희연(10) 양은 "6살 때부터 소만 작가의 '봄이와'를 좋아했다. 봄이가 재밌는 말을 하는 게 특히 재밌었다"고 말했다. 오 양은 "7살 때 다른 지역에서 한 번 전시회에 방문한 적 있었는데, 이번 특별전에서는 색칠하기가 가장 재밌다"고 소감을 말했다.
clip20250312141402
신여름 작가 '풋내기들' 굿즈/사진=김주혜 기자
가족과 함께 방문한 박태준(52) 씨는 "아내가 웹툰 작가라 아들과 함께 전시를 보러 왔다"고 말했다. 그는 진열된 굿즈에 대해 "예전부터 굿즈에 관심이 많았는데, 과거에는 그 퀄리티가 많이 떨어졌었다"며 "이제는 상품으로 판매해도 손색없을 정도로 발전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소만 작가는 "현재는 전시용으로만 제작돼 판매용은 아니지만, 많은 관람객이 구매 의사를 표현해줘 감사한 마음이다"라며 "전시회를 통해 관람객들의 반응을 살펴본 후, 향후 상품화 가능성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웹툰 팬이라면 놓치지 말고 한밭도서관을 찾아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 세계에 직접 빠져보길 추천한다.
clip20250312142838
대전 웹툰작가 특별전 포스터
■ 특별전 참여 작가 9인 한줄 소개

▲'고개를 들어 달을 보라'의 단거땡 작가=카카오페이지에서 '고개를 들어 달을 보라'를 연재 중이다. 대전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에서 청소년들에게 웹툰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구조 조정에서 살아남는 법'의 루홍 작가=카카오페이지에서 '구조 조정에서 살아남는 법'을 연재하고 있다.

▲'파운더'의 만두인 작가=네이버웹툰에서 '파운더'를 연재하고 있으며, 대전의 마스코트 '꿈돌이'가 주인공인 웹툰 '꿈드림 어드벤처'도 제작했다. '성덕코믹스'를 설립해 신인 작가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백억세계'의 뽀송 작가=일본 교토세이카 대학에서 만화를 전공하고 리디에서 동서양을 오가는 판타지 '백억세계'를 연재했으며, 곧 시즌2를 런칭할 예정이다. '성덕코믹스'에서 신인 작가 멘토링을 지원하고 있다.

▲'스추라익 1932'의 소만 작가=대전에서 딸 '봄'이를 키우며 그린 육아웹툰 '봄이와' 시리즈를 출판했고, 2021년 양성평등 문화상을 수상했다. 현재 일제강점기 대전 파업 사건을 다룬 '스추라익 1932'를 매일노동뉴스에서 연재 중이다.

▲'타임아웃'의 손진효 작가=1985년에 데뷔해 출판만화계에서 왕성하게 활동해온 베테랑 작가다. 현재 '버프툰'에서 '타임아웃'을 연재 중이며, 40년 가까운 경력을 바탕으로 한 작품세계를 선보인다.

▲'풋내기들'의 신여름 작가=네이버웹툰에서 '풋내기들'을 완결하고 차기작을 준비하고 있는 대전 출신 웹툰 작가다.

▲'침묵의 봄 희망의 봄 혁명의 봄'의 탁영호 작가=1982년 데뷔하여 40년 이상 활동해온 만화계 원로 작가다. 2014년 위안부 할머니의 이야기를 그린 '꽃반지'로 부천만화대상 어린이만화상을 수상했다.

▲'굴레에 담아'의 HYUN 작가=미스터블루에서 '덫', '악연의 나비효과' 등을 연재했으며, 현재 차기작 '굴레에 담아'를 제작 중이다. 목원대학교와 배재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김주혜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4.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5.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1.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2.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3. ‘수능 끝, 해방이다’
  4. 국외 입양인들, 세종서 모국 문화 체험 "색다른 감동"
  5.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헤드라인 뉴스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끝났다. 수험생들은 이제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정시 지원전략을 세우고 12월 5일 발표되는 성적에 맞춰 대학·학과 선택을 최종 확정해야 한다. 특히 올해 정시는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이 높고 수도권 주요 대학의 학생부 반영 방식 변화 등 변수가 있어 영역별 점수 활용 전략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제일학원에 따르면 수능 직후부터 성적 발표 전까지의 '가채점 기반 전략 설정'이 대입성공의 핵심 단계다. 수험생은 영역별 예상 등급을 기준으로 모집군별 지원 가능 대학을 먼저 판단해야..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