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꿈돌이-짱구 만남에 대전 들썩…대전 팝업전시 연일 북새통

  • 정치/행정
  • 대전

[현장] 꿈돌이-짱구 만남에 대전 들썩…대전 팝업전시 연일 북새통

26일까지 아트사이트 소제에서 'Yellow Dream' 콜라보 전시
누적 관람객 3만 명 육박…주말에는 1000여명 다녀가
떡잎마을 불시착해 짱구 친구들 만난 꿈돌이 스토리 상영도

  • 승인 2025-07-17 16:53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SE-ace721d8-a1cd-4ab6-86c7-b4f9beecede3
꿈돌이 팝업 전시 'Yellow Dream'에 방문한 시민들이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이승찬 기자
대전의 상징 캐릭터 '꿈돌이'가 인기 캐릭터 '짱구'와 손잡고 MZ세대의 감성을 두드리고 있다.

최근 SNS에서 인증샷 명소로 입소문이 퍼지면서 대전 소제동의 전시장에 젊은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17일 오전 11시 대전 동구 아트사이트 소제 앞. 빗줄기 속에서도 2025 꿈돌이 팝업전시 'Yellow Dream'을 관람하려는 시민 20여 명이 줄지어 서 있었다. 우산을 접고 입장하는 이들의 손에는 포토카메라와 스마트폰이 먼저 들려 있었다.

지난 6월 9일 개막한 이 전시는 오픈 5주차인 7월 13일 기준, 누적 관람객 약 2만 9000명을 기록했다. 하루 평균 평일 500여 명, 주말에는 1000여 명이 다녀가는 인기 전시로 자리잡았다.



전시는 총 다섯 구역으로 구성돼 있다. 입구를 지나면 꿈돌이의 상징색인 노란색으로 꾸며진 전시장이 관람객을 맞는다. ▲꿈돌이 및 꿈씨패밀리 포토존 ▲미디어아트존 ▲굿즈존 ▲엽서 꾸미기 체험 공간 등 다채로운 콘텐츠가 준비돼 있다.

그 중 가장 많은 관람객이 몰리는 곳은 미디어아트존. '꿈돌이: Journey to Earth'라는 제목의 몰입형 영상이 3면 스크린을 통해 상영되고 있다. 꿈돌이가 우주선을 타고 우주를 돌아 대전으로 향하는 여정을 시네마틱하게 담아냈으며, 영상 속에는 한빛탑과 엑스포다리 등 대전의 상징물도 등장한다.

전시가 더욱 특별한 이유는 짱구와의 콜라보다.

스토리에 따르면, 꿈돌이는 우주 여행 중 짱구가 사는 떡잎마을에 불시착해 짱구 친구들과 만나게 된다. 전시장 곳곳에는 짱구 탈을 쓴 꿈돌이, 꿈돌이 복장을 한 떡잎마을 친구들이 등장하는 포토존이 마련돼 있고, 이 설정을 기반으로 한 굿즈도 함께 전시·판매되고 있다.

실제로 현장에서는 콜라보 굿즈를 구매하려는 손길이 줄을 이었다. 현재까지 꿈돌이-짱구 굿즈 6000여 개가 판매됐으며, 꿈돌이라면·냄비받침 세트 등도 500세트 이상 소진됐다. 일부 품목은 조기 품절되기도 했다.

KakaoTalk_20250717_161217832
2025 꿈돌이 팝업전시 'Yellow Dream' 포토존./사진=이승찬 기자
이날 경주에서 전시를 방문하러 대전을 찾은 이유정(24·여) 씨는 "최근 SNS에서 대전 성심당과 꿈돌이가 크게 인기가 있어 직접 경험해보고자 대전을 들렀다"며 "전시도 귀엽고 굿즈도 만족스럽다. 대전역 근처에서 본 꿈돌이 라면도 꼭 먹어볼 생각"이라며 웃었다.

부산에서 가족과 함께 대전을 찾은 서희정(59·여) 씨는 "20대 시절 대전엑스포에서 꿈돌이를 만났던 기억이 있다"며 "이번에 스무 살 된 아들에게 그 시절 꿈돌이를 보여주고 싶어 대전에 여행을 왔다"고 말했다.

이처럼 전시는 어른에게는 추억을, 아이와 젊은 세대에게는 새롭고 친근한 경험을 제공하며 세대를 아우르는 공감대를 만들어가고 있다.

대전 시민인 남소현(27·여) 씨는 "오래전부터 꿈돌이를 알고지냈지만 잊혀오래전부터 꿈돌이를 알고 있었지만 잊혀져 있었는데, 최근 '꿈씨패밀리'로 캐릭터가 확장되고 굿즈가 다양해지면서 다시 주목하게 됐다"며 "짱구와의 콜라보라는 재미있는 설정 덕에 전시 자체는 만족스럽지만, 공간이 다소 협소하고 인기 굿즈 물량이 부족한 점은 아쉽다"고 말했다.

한편 해당 전시는 오는 7월 26일까지 계속된다. 일~목요일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8시까지, 금·토요일은 오후 9시까지 운영된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셔츠에 흰 운동화차림' 천태산 실종 열흘째 '위기감'…구조까지 시간이
  2. 노노갈등 논란에 항우연 1노조도 "우주항공청, 성과급 체계 개편 추진해야"
  3.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홍성공업고, 산학 결합 실무중심 교육 '현장형 스마트 기술인' 양성
  4. 대전 중구, 국공립어린이집 위·수탁 협약식 개최
  5. 충청권 국립대·부속병원·시도교육청 23일 국정감사
  1. '충남 1호 영업사원' 김태흠 충남지사, 23일부터 일본 출장
  2.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3. 대전관평초 '학교도서관 운영 유공' 국무총리 표창
  4.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5. 대전권 대학 산학협의체, ‘한국-베트남 글로벌 청년 경진대회 행사 개최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착수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착수

국내 최대 규모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이하 개방형 양자팹) 구축에 대전시와 KAIST가 나섰다. 대전시와 KAIST는 23일 이장우 대전시장과 KAIST 이광형 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KAIST 본원에서 '개방형 양자팹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양자 산업화 시대를 대비한 필수 기반 시설인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마련됐다. KAIST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건립과 양자 인프라 시설 및 장비 구축을 포함한 사업으로, 2031년까지 국비 2..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대전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목줄을 끊고 탈출해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한 사건에서 견주가 동물보호법을 지키지 않은 정황이 여럿 확인됐다. 담장도 없는 열린 마당에 목줄만 채웠고, 탈출 사실을 파악하고도 최소 6시간 지나서야 신고했다. 맹견사육을 유성구에 허가받고 실제로는 대덕구에서 사육됐는데, 허가 주소지와 실제 사육 장소가 다를 때 지자체의 맹견 안전점검에 공백이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도 드러났다. 22일 오후 6시께 대전 대덕구 삼정동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사육 장소를 탈출해 행방을 찾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재난..

[2025 국감] 적자에 차입금 부담만 커져… 충남대병원 재정문제 도마 위
[2025 국감] 적자에 차입금 부담만 커져… 충남대병원 재정문제 도마 위

차입금 부담만 수천억 원에 달하는 충남대병원의 누적 적자액이 1300억 원이 넘고 재원 환자도 줄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국회 교육위원회가 23일 충북대에서 연 충남대·충북대·부속 병원 국정감사에서다. 이날 오전 피감기관 대표로 조강희 충남대병원장과 김원섭 충북대병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문정복(더불어민주당·경기 시흥갑) 의원은 "누적적자가 충남대병원은 1374억 원, 충북대병원은 1173억 원"이라며 "독립 재산제로 운영되는 국립대병원에서 차입금 상환은 어떻게 할 것이냐"며 따져 물었다. 최근 3년간 두..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