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꿈돌이-짱구 만남에 대전 들썩…대전 팝업전시 연일 북새통

  • 정치/행정
  • 대전

[현장] 꿈돌이-짱구 만남에 대전 들썩…대전 팝업전시 연일 북새통

26일까지 아트사이트 소제에서 'Yellow Dream' 콜라보 전시
누적 관람객 3만 명 육박…주말에는 1000여명 다녀가
떡잎마을 불시착해 짱구 친구들 만난 꿈돌이 스토리 상영도

  • 승인 2025-07-17 16:53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SE-ace721d8-a1cd-4ab6-86c7-b4f9beecede3
꿈돌이 팝업 전시 'Yellow Dream'에 방문한 시민들이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이승찬 기자
대전의 상징 캐릭터 '꿈돌이'가 인기 캐릭터 '짱구'와 손잡고 MZ세대의 감성을 두드리고 있다.

최근 SNS에서 인증샷 명소로 입소문이 퍼지면서 대전 소제동의 전시장에 젊은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17일 오전 11시 대전 동구 아트사이트 소제 앞. 빗줄기 속에서도 2025 꿈돌이 팝업전시 'Yellow Dream'을 관람하려는 시민 20여 명이 줄지어 서 있었다. 우산을 접고 입장하는 이들의 손에는 포토카메라와 스마트폰이 먼저 들려 있었다.

지난 6월 9일 개막한 이 전시는 오픈 5주차인 7월 13일 기준, 누적 관람객 약 2만 9000명을 기록했다. 하루 평균 평일 500여 명, 주말에는 1000여 명이 다녀가는 인기 전시로 자리잡았다.



전시는 총 다섯 구역으로 구성돼 있다. 입구를 지나면 꿈돌이의 상징색인 노란색으로 꾸며진 전시장이 관람객을 맞는다. ▲꿈돌이 및 꿈씨패밀리 포토존 ▲미디어아트존 ▲굿즈존 ▲엽서 꾸미기 체험 공간 등 다채로운 콘텐츠가 준비돼 있다.

그 중 가장 많은 관람객이 몰리는 곳은 미디어아트존. '꿈돌이: Journey to Earth'라는 제목의 몰입형 영상이 3면 스크린을 통해 상영되고 있다. 꿈돌이가 우주선을 타고 우주를 돌아 대전으로 향하는 여정을 시네마틱하게 담아냈으며, 영상 속에는 한빛탑과 엑스포다리 등 대전의 상징물도 등장한다.

전시가 더욱 특별한 이유는 짱구와의 콜라보다.

스토리에 따르면, 꿈돌이는 우주 여행 중 짱구가 사는 떡잎마을에 불시착해 짱구 친구들과 만나게 된다. 전시장 곳곳에는 짱구 탈을 쓴 꿈돌이, 꿈돌이 복장을 한 떡잎마을 친구들이 등장하는 포토존이 마련돼 있고, 이 설정을 기반으로 한 굿즈도 함께 전시·판매되고 있다.

실제로 현장에서는 콜라보 굿즈를 구매하려는 손길이 줄을 이었다. 현재까지 꿈돌이-짱구 굿즈 6000여 개가 판매됐으며, 꿈돌이라면·냄비받침 세트 등도 500세트 이상 소진됐다. 일부 품목은 조기 품절되기도 했다.

KakaoTalk_20250717_161217832
2025 꿈돌이 팝업전시 'Yellow Dream' 포토존./사진=이승찬 기자
이날 경주에서 전시를 방문하러 대전을 찾은 이유정(24·여) 씨는 "최근 SNS에서 대전 성심당과 꿈돌이가 크게 인기가 있어 직접 경험해보고자 대전을 들렀다"며 "전시도 귀엽고 굿즈도 만족스럽다. 대전역 근처에서 본 꿈돌이 라면도 꼭 먹어볼 생각"이라며 웃었다.

부산에서 가족과 함께 대전을 찾은 서희정(59·여) 씨는 "20대 시절 대전엑스포에서 꿈돌이를 만났던 기억이 있다"며 "이번에 스무 살 된 아들에게 그 시절 꿈돌이를 보여주고 싶어 대전에 여행을 왔다"고 말했다.

이처럼 전시는 어른에게는 추억을, 아이와 젊은 세대에게는 새롭고 친근한 경험을 제공하며 세대를 아우르는 공감대를 만들어가고 있다.

대전 시민인 남소현(27·여) 씨는 "오래전부터 꿈돌이를 알고지냈지만 잊혀오래전부터 꿈돌이를 알고 있었지만 잊혀져 있었는데, 최근 '꿈씨패밀리'로 캐릭터가 확장되고 굿즈가 다양해지면서 다시 주목하게 됐다"며 "짱구와의 콜라보라는 재미있는 설정 덕에 전시 자체는 만족스럽지만, 공간이 다소 협소하고 인기 굿즈 물량이 부족한 점은 아쉽다"고 말했다.

한편 해당 전시는 오는 7월 26일까지 계속된다. 일~목요일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8시까지, 금·토요일은 오후 9시까지 운영된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산을 비롯한 서해안 '물폭탄'… 서산 420㎜ 기록적 폭우
  2. [우난순의 식탐] 열대의 관능과 망고시루의 첫 맛
  3. 세종시 북부권 중심으로 비 피해...광암교 붕괴
  4. 김석규 대전충남경총회장, 이장우 대전시장과 경제발전방안 논의
  5. [대전다문화] 아이들의 꿈과 열정, 축구
  1. 국민연금공단 대전·세종본부, 취약계층 아동 지원
  2. 세종시, 에너지 자립 스마트시티로 도약 선언
  3. [대전다문화]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사례관리 신청하세요!!
  4. 한밭대 성백상·이주호 대학원생, OPC 2025 우수논문상
  5.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헤드라인 뉴스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16일 밤부터 17일 오후까지 충청권에 500㎜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곳곳에서 인명사고 등 비 피해가 속출했다. 시간당 110㎜ 이상 기록적 폭우가 내린 서산에선 2명이 사망했고, 당진에서도 1명이 물에 잠겨 숨지는 등 충남에서 인명사고가 잇따랐으며, 1800건이 넘는 비 피해가 접수됐다. 세종에서는 폭우로 인해 소정면 광암교 다리가 일부 붕괴 돼 인근 주민 30명이 식당으로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17일 충청권 4개 시·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까지 충남 지역에만 1883건, 충북 222건, 세종 48건,..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가져올 효과는 과연 세종시 잔류보다 100배 이상 크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객관적 분석 자료에 근거한 주장일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충청 타운홀 미팅,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가 14일 청문회 자리에서 연이어 강조한 '이전 논리'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효과 분석' 지표는 없어 지역 갈등과 분열의 씨앗만 더욱 키우고 있다. 사실 이는 최소 6개월 이상의 용역(가칭 해수부의 부산 이전 효과)을 거쳐야 나올 수 있을 만한 예측치로, 실상은 자의적 해석에 가깝다. 해수부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