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이전 연 손실액 최대 1500억 원… 세종 시민 "헌법소원 청구"

  • 정치/행정
  • 세종

해수부 이전 연 손실액 최대 1500억 원… 세종 시민 "헌법소원 청구"

해수부 지킴이단 등 시청서 기자회견
"국민 기본권 침해… 법적 판단 구할 것"
연 1035억 경제 생산유발 감소 '치명타'
"국민적 합의 결과인 행복도시법 위배"

  • 승인 2025-07-29 16:32
  • 신문게재 2025-07-30 3면
  • 이은지 기자이은지 기자
KakaoTalk_20250729_153139524
해수부 지킴이단과 소상공인·상가 소유주들은 29일 세종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법소원 청구를 예고했다. /사진=이은지 기자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방침과 관련 충청권의 반발이 이어지는 가운데 세종지역 시민단체가 29일 헌법소원 청구를 예고했다.

해수부 시민지킴이단과 소상공인·상가 소유주들은 이날 세종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으로서 보장받아야 할 헌법적 권리에 반하는 해수부 이전 결정에 대해 헌법소원 청구를 통해 법적인 판단을 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지킴이단은 이재명 대통령이 부산 타운홀 미팅에서 해수부 뿐 아니라 세종 소재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과 중앙해양안전심판원, 한국항로표지기술원도 이전시키겠다고 약속한 것을 언급하며 "이는 세종시를 비롯한 충청권 시민들의 의견과 지역 경제에 미칠 파장을 전혀 반영하지 않은 졸속 이전이자,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국민의 기본권마저 간과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중앙행정기관의 소재지를 변경하는 정부의 결정을 중대한 공권력 행사로 봤다. 구체적 집행행위를 거치지 않고 그 자체로 직접 기본권을 침해한 경우 헌법소원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전문가 데이터를 근거로 들어 해수부 이전이 상가 공실과 최악의 폐업률을 보이는 지역 경제에 치명타를 입힐 것이라며 자족기능이 갖춰지지 않은 정부주도 도시가 자멸할 수 있음을 우려했다.

이들이 의뢰한 분석 자료에 따르면 해수부 공무원 850명, 유관기관 종사자를 691명으로 봤을 때, 해수부 이전으로 발생하는 생활경제 손실(소비지출 감소액)은 연간 869억 원, 지방세 수입감소 연간 30억 원, 부동산 시장손실은 연간 254억~604억 원으로 연간 총 손실액이 1153억~1503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 생활경제 및 재정손실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 생산유발 감소 효과는 연간 1035억 원, 부가가치 유발 감소 효과 연간 417억 원, 취업유발 감소 효과도 연간 1066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킴이단은 또 해수부 재이전 방침이 행복도시법 제16조 및 시행령을 위반했다고도 주장했다. 이들은 "해수부가 타 지역으로 재이전 하는 것은 국민적 합의와 절충의 결과물인 행복도시법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며 "단순 법률 위반을 넘어 국가의 중대한 헌법적 합의를 행정부가 일방적으로 훼손한 행위"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헌법소원을 통해 해수부 이전의 부당함에 대한 판결을 받고, 해수부 이전 저지와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서구 괴정동서 20대 남성 전 연인 살해 후 도주
  2. 폭염에 서해안 해수욕장 피서객 사고 급증… 물놀이·해루질 '주의'
  3. 건양대병원 노조원 500명 총파업 돌입… 환자들은 '걱정태산'
  4. 전 직장 이차전지 핵심기술 유출한 40대 이직자 구속 기소
  5. 첫 교육전문박물관 '대전한밭교육박물관' 신축 이전 중투심 통과
  1. 조로증 치료 시대 열리나… 생명연 김선욱 박사팀, 원인 억제하는 치료법 개발
  2. 대전·세종·충남 연일 폭염경보… 불볕더위에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 2명
  3. 충남 지역 이상기후 지속… "홍수·가뭄 대응 위해 지천댐 꼭 필요"
  4.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1호점애 생활용품과 식료품 후원
  5. "세종형 유보통합 첫걸음" 교육·보육 맞춤지원 사업 추진

헤드라인 뉴스


정부 광역교통사업 예산도 `수도권 쏠림` 심각

정부 광역교통사업 예산도 '수도권 쏠림' 심각

수도권과 지방 양극화가 갈수록 심각해 지는 가운데 도로와 철도 등 정부의 광역교통사업비 80% 이상이 수도권 사업에 집중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재명 정부가 국토균형발전을 국정 기조 중 하나로 삼고 있는 만큼 지역경제 마중물 역할을 하는 충청권 등 비수도권 SOC 사업에 대한 예산 투입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대전중구)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광역교통 시행계획 사업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재 진행 중인 사업은 모두 122개, 총사업비는 92조 9318억 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수도권 사업은 74..

자율주행 버스, 집 앞까지… 세종시 이달 말 도입
자율주행 버스, 집 앞까지… 세종시 이달 말 도입

세종시가 자율주행차를 타고 집까지 갈 수 있는 획기적 대중교통시스템을 도입한다. 29일 세종시에 따르면 7월 30일부터 정부세종청사를 순환하는 자율주행차(셔틀)를 종촌동 주거단지와 연계하는 노선으로 시범운행한다. 자율주행차는 어진중학교를 기점으로 종촌동 종합복지센터~어진동 대형마트∼정부청사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등 약 9개 정류장을 거쳐 4.9㎞를 하루 11회 순환한다. 해당 노선은 매월 첫번째 금요일을 제외하고 평일 오후 12시 50분부터 오후 8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 시는 국내 최초 광역형 자율주행버스 운행과 더불어 주거단..

머크, 대전 바이오생태계 앵커기업 역할 기대
머크, 대전 바이오생태계 앵커기업 역할 기대

글로벌 기업 머크(Merck) 가 급성장하는 대전 바이오 생태계의 앵커기업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28일(현지시각) 독일 다름슈타트에 위치한 머크(Merck) 본사를 방문해, 쟝-샤를 위르트(Jean-Charles Wirth) 신임 라이프 사이언스 CEO와 만나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방문은 대전에 아시아태평양 바이오프로세싱 생산센터를 건립 중인 머크와의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고, 대전을 글로벌 바이오 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시장은 먼저 지난 6월 취임한 쟝·샤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물감을 푼 듯 녹색으로 변한 방동저수지 물감을 푼 듯 녹색으로 변한 방동저수지

  •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

  • 아이들 웃음소리 가득한 명랑운동회 아이들 웃음소리 가득한 명랑운동회

  • 폭염에 쉴 새 없이 돌아가는 에어컨 실외기 폭염에 쉴 새 없이 돌아가는 에어컨 실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