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9일 대전세종충남넥슨후원공공어린이재활병원 모습. 중도일보DB |
이장우 대전시장은 30일 오전 시청 기자실을 찾아 차담회를 갖고 공공어린이재활병원 파업 사태에 대한 '정부 책임론'을 강조하며 논란에 선을 그었다. 이 시장은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대전과 세종, 충남 권역 병원인데 타 지자체에서는 예산을 내지 않고 있다"며 "권역형 병원은 정부에서 예산을 주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지난해에 35억원 정도 적자였는데 정부에서 예산을 줄 수 있도록 지역구 의원인 장종태 의원(서구 갑·더불어민주당)이 법안도 내고 열심히 뛰고 있어 내년부터 국비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올해는 지켜보고 내년에도 국비를 안 준다면 적자 폭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지역을 대전으로 한정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대전시는 매년 수십억 원의 적자가 쌓이고 있는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의 예산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대전만이 아닌 광역 개념의 공공병원 운영에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 시장은 내년 지방선거 대전시장 출마를 선언하고 공세를 퍼붓고 있는 장철민 국회의원(동구·더불어민주당 )에 날을 세우기도 했다.
앞서 장 의원은 이날 공공어린이재활병원 노조와 함께 대전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0시 축제와 많은 치적사업에는 그렇게 많은 돈을 쏟아부으면서 공공어린이재활병원에는 1억도 못 쓰는 건지 답답한 마음"이라며 "이장우 시장은 뭐하는 것인지,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 시장은 "이런 상황(국비 확보 노력)에서 숟가락을 얹으려고 하는 사람이 있다. 지역구나 똑바로 챙기라고 말하고 싶다"면서 "정치는 말로 하는 게 아니고 행동으로 하는 것이다. 정치를 잘 못 배워서 그렇다"고 말했다.
허태정 전 대전시장도 이날 공공어린이재활병원 파업 현장을 찾았다. 허 전 시장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병원 건립을 추진했던 사람으로서, 이곳의 투쟁의 현장이 된 모습을 보니 마음이 무겁고 참담하다"면서 "지금 열악한 임금과 근무환경, 인력 부족으로 의료진이 떠나고, 대전시는 재정부담을 이유로 외면하고 있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우리 아이들과 가족들에게 돌아가고 있다"면서 대전시의 책임있는 자세를 요구했다.
한편, 공공어린이재활병원 노조는 25일 공공성을 담보한 병원 운영을 촉구하며 무기한 파업에 돌입했다. 개원 후 2년 여 동안 34명이 퇴사했고, 인력 공백이 길어지면서 만성적인 파행 운영이 지속되는 등 최소한의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노조가 요구한 것은 ▲정근수당 50% 신설 ▲위험수당 신설 ▲보수교육비 현실화 등이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