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일 세종시교육청(교육감 최교진)에 따르면 학교보건법과 학교 환경위생·식품위생 관리 매뉴얼에 따라 3월 7월까지 전체 유치원·초중고·특수학교 등 172교를 대상으로 미세먼지, 라돈, 총부유세균 등 20개 항목에 대한 학교 실내공기질 측정을 실시했다.
학교 실내공기질 점검은 교육청이 전문 측정업체와 일괄 계약을 체결해 매년 상·하반기 두차례 추진하고 있다.
특히 신축·증축 건물, 새로운 기자재가 반입된 135개 학교에 대해서는 폼알데하이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항목도 추가로 측정해 기준치 초과 여부를 확인했다.
점검 중 개선이 필요한 경우 베이크아웃, 공기정화장치 가동 등의 조치를 신속히 취했으며, 최종 측정 결과 전체학교가 '적합' 판정을 받았다.
세종시교육청은 앞서 7월 25일 2025년 제1차 학교실내공기질개선위원회를 개최해 학교 실내환경 개선 방향과 향후 추진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위원회에서는 여름철 에어컨 사용 환경에서 환기·청소 등 일상관리 철저, 미세먼지 대응·실내공기질 관리에 대한 홍보 확대, 흙먼지털이기 사업 확대 추진에 대한 전문가 자문이 제시됐다.
교육청은 하반기에도 쾌적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전 학교를 대상으로 실내공기질을 점검하고, 미세먼지 대응과 공기질 관리를 포함한 교육환경 종합관리에 대한 언론 공동 캠페인을 추진할 계획이다.
세종시교육청 관계자는 "공기 중 유해물질 지속 흡입 땐 학생들의 건강과 학습 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보다 철저하게 공기질을 측정하고 기준치 초과 시 개선 방안을 마련해 체계적으로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