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정년연장 위해 업체 규모·직군·연령별 맞춤형 정책 필요

  • 정치/행정
  • 국회/정당

65세 정년연장 위해 업체 규모·직군·연령별 맞춤형 정책 필요

법정 정년과 국민연금 수급 연령 사이 5년 소득 공백 문제가 핵심
노동계 ‘임금 삭감 없는 연장’ VS 경영계 ‘재고용, 직무와 성과 중심 임금개편’
고령 근로자와 청년, 국회, 전문가 참여 사회적 대화 필요…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

  • 승인 2025-08-05 11:15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AKR20250321089500518_02_i_P4
65세 정년 연장의 안정적인 추진을 위해선 사업체 규모별, 직군별, 연령대별 등 실정을 다양하게 파악해 세심하게 접근하고 단계적으로 시행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노동계의 '법정 정년연장'과 경영계의 '재고용 방식' 등 노사 간 이견이 뚜렷한 점을 고려해 고령 근로자와 청년 대표, 국회, 전문가 그룹이 함께하는 사회적 대화의 필요성도 제안했다.

GYH2025032100040004400_P4
국회입법조사처가 발간해 5일 공개한 ‘정년 65세 시대를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보고서에서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2025년 현재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돌파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0.75명의 최저 합계 출산율과 생산 가능 인구 급감(2025년 3591만 명→2070년 1737만 명) 등에 따른 사회경제적 문제에 대응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했다.



보고서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 출생)의 본격적인 은퇴와 최저 수준의 출산율로 인한 노동력 부족이 심화하면서 고령자의 경제활동 연장과 이를 통한 소득 공백 해소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현행 법정 정년(60세)과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65세) 사이의 5년간 소득 공백 문제가 고령층 빈곤과 연금재정 불안정을 초래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2024년 5월 기준)를 근거로 전체 고령층(55~79세)의 69.4%가 장래 일하기를 희망하는 등 고령자의 계속 근로 의지가 높다는 현실도 반영했다.

특히 노동계는 법정 정년을 65세로 연장해 연금 수급 개시 연령까지 일하기를 희망하면서도 일방적인 임금 삭감이나 임금피크제 도입에 반대하지만, 경영계는 재고용 등 노사 자율 방식을 선호하며 직무와 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과 노동시장의 유연화가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런 점을 감안해 보고서는 정년연장 논의의 핵심 쟁점으로 정년연장 방식(법정 정년연장 vs 재고용), 정년과 연금 수급 연령 연계 방안, 임금·근로시간 등 근로조건의 결정, 정년연장의 경제·사회적 효과 등 4가지를 꼽았다.

PYH2024120307080001300_P4
2024년 12월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 계단에서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조합원들이 65세 정년연장 법제화 국회입법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쟁점 해결을 위한 방안도 4가지로 제안했다.

우선 정년연장이 다양한 이해관계가 복합적으로 얽힌 의제라는 점에서 당사자인 고령 근로자와 청년 대표, 국회, 전문가 그룹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 대화를 제시했다.

또 사업체 규모별, 직군별, 연령대별로 정년 연장의 영향이 다를 수 있어 임금·근로시간 등 노동조건 조정 기준 제시와 맞춤형 정책 지원 등 세심하게 접근하고 단계적으로 시행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중소기업의 현실을 감안해 고용지원금 확대와 세제 혜택, 임금체계 개편 컨설팅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병행하고, 청년 신규 채용이 위축되거나 조기퇴직 증가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는 대책도 제안했다.

0003427412_003_20220510030248225
8월 1일 기준, 22대 국회에는 법정 정년을 60세에서 65세로 연장하되, 2033년까지 단계적으로 시행해 연금 수급 개시 연령과 연계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한 다수의 고령자고용법 개정안이 제출돼있다.

대부분의 관련 개정안이 올해 7월 1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상정됐고, 돌아오는 정기국회에서 심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주요국들은 정년 상한 폐지(미국·영국)와 연금 수급 연령 상향(독일·프랑스), 단계적 고용연장 의무화(일본) 등 다양한 정책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기업 규모별 맞춤형 접근과 중소기업 지원, 청년고용 보호 대책 등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트램 공사로 인한 교통제도 개편
  2. [시리즈] 대전의 미래, 철도굴기로 열자 ②
  3. 경찰 압수수색 중 피의자 투신…대전 재개발 전 조합장 사망
  4. 한 발짝 남은 본지정… 대전지역 글로컬 소외 없어야
  5. [오늘과내일] 대전에도 시민이 있어요
  1. 충청권 시도지사, 이 대통령 만나 지역 현안 건의
  2. [중도초대석] 허정두 국가독성과학연구소장 "변경된 명칭에 부합하는 미래 비전을"
  3. 충청 정가, 여야 전당대회 결과 따라 정치지형 변화?
  4. 대전 서구, 정림동 붕괴위험지역 위험 수목 제거
  5. 대전시, 국토부'제3차 드론특별자유화 구역' 선정

헤드라인 뉴스


`대통령 세종 집무실`, 2029년까지 새 정부 신속 과제 추진

'대통령 세종 집무실', 2029년까지 새 정부 신속 과제 추진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이 이재명 정부의 신속 추진 과제로 추진된다. 완공 시기는 2029년으로 예상하고 있다. 박수현 국정기획위원회 산하 균형성장특별위원장은 8월 5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3층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와 관련한 내용을 설명했다. 이 자리에는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과 강주엽 행복청장, 조상호 국정기획위원 등이 함께 했다. 2022년 여·야 합의로 행복도시법 개정안이 통과되고 집무실 건립의 법적 근거가 마련된 만큼, 행정수도 완성의 첫 단추로 건립 절차를 보다 신속하게 착수하겠다는 취지를 담았다. 박수현 위원장..

대전 전 연인 살해 피의자 7일 만에 대면조사…경찰 체포영장 재집행
대전 전 연인 살해 피의자 7일 만에 대면조사…경찰 체포영장 재집행

대전 괴정동에서 전 연인을 살해하고 음독을 시도한 피의자의 건강 상태가 회복돼 경찰이 체포영장을 재집행하고 대면조사에 나섰다. 5일 대전서부경찰서는 지난 7월 30일 살인 혐의로 붙잡힌 20대 남성 A씨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해 충북 진천에 입원 중이던 그를 서부경찰서로 신병을 옮겨 조사를 시작했다. 통원 치료가 가능할 정도로 A씨의 몸 상태가 호전됐다는 의료진의 소견에 따른 조치다. 경찰은 이날 A씨를 상대로 구체적인 범행동기와 사실관계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이후 구속영장을 신청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A씨는 지난 7월 29일..

태안출신 문양목 애국지사 유해 국내 돌아온다…13일 대전현충원 안장
태안출신 문양목 애국지사 유해 국내 돌아온다…13일 대전현충원 안장

태안 출신이면서 미주 항일운동에 헌신한 문양목(1869~1940) 애국지사의 유해가 국내로 옮겨져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된다. 4일 문양목선생기념사업회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 파크뷰 공동묘지에 안장된 애국지사 문양목 지사의 유해를 8월 13일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유공자 묘역에 안장한다. 캘리포니아 주 산호퀸카운티 지방법원의 유해발굴 청원 승인 명령에 따라 배우자와 동시에 국내 봉환 노력에 결실을 맺게 됐다. 문양목 지사는 1894년 동학농민운동에 참여하고, 1905년 을사보호조약 체결로 한국이 사실상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하자, 국..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