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농림부 전경. 사진=중도일보 DB.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하 농관원)은 올해 5월부터 7월까지 국산 밀 292점을 대상으로 곰팡이독소 안전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잔류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사례는 없었다고 5일 밝혔다. 2023년과 2024년에는 이상 기후로 인해 밀 붉은곰팡이병이 확산됐으며, 이는 농가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상황이었다.
이에 농관원과 국립농업과학원은 2024년부터 밀 안전성 관리를 공동으로 추진해왔다. 올해는 붉은곰팡이병 방제 적기인 밀 출수·개화기 전에 현장 지도와 교육을 집중적으로 수행했다. 또 농관원은 수확 전 단계에서 밀 생산단지와 재배농가를 조사하고, 수확 후 부적합 우려 단지에 대해 추가 안전성 조사를 실시하는 예방적 관리를 수행했다.
농관원 박순연 원장은 "기관 간 협력으로 기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밀의 안전성을 확보한 사례"라며 "앞으로도 유관기관 및 농업인과 함께 예방적 관리를 통해 안전한 농산물이 생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