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6학년도 9월 모평 지원 현황 (자료=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9월 3일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 2154개 고등학교와 533개 지정 학원에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9월 모의평가를 일제히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모의평가에는 51만 5900명이 지원했으며 재학생은 41만 210명, 졸업생 등 수험생은 10만 569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9월 모평보다 전체 지원자는 2만 7608명 늘었다. 재학생은 2만 8477명 증가한 반면 졸업생은 869명 줄었으나, 졸업생 응시자 수는 최근 3년 연속 10만 명을 넘어서며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입시 전문가들은 11월 본 수능에선 졸업생 응시자가 전년도 수능(18만 1893명)과 비슷하거나 소폭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종로학원은 올해 고3 학생 수 증가로 학교 내신이 우수한 재학생이 지난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올해 재수생의 경우 수시 지원에 지나친 상향지원 경계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정시도 재학생 수능 고득점자가 전년보다 늘어날 수 있어 재수생들은 정시 지원에서 보수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 |
2026학년도 9월 모평 영역별 응시자 수 (자료=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 같은 접수자 추이를 볼 때 전문가들은 본 수능에서도 '사탐런'이 입시 최대 변수로 부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응시자가 줄어드는 과탐 과목에서 수시에 필요한 수능 최저를 맞추기 어렵고 정시에서의 점수 예측도 난항이 예상된다.
이밖에 영역별 지원자는 국어 영역 51만 5431명, 수학 영역 51만 2341명, 영어 영역 51만 5215명, 한국사 영역 51만 5900명, 직업탐구 영역 6529명이며,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2만 3844명으로 집계됐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사탐, 과탐 과목별 유불리 상황이 매우 커질 것으로 예상 된다"라며 "의대 등 이과 최상위권 학생들도 수시에서 수능 최저 확보, 정시 점수 예측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수시 지원에서 최상위권, 중위권대 이르기까지 지원 전략 짜기도 어려워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교육부는 이번 9월 모평 출제, 채점 과정에서 개선점을 찾아 2026학년도 수능에 반영할 계획이다. 성적은 내달 30일에 수험생에게 통보될 예정이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