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충규 대덕구청장이 27일 법1·법2동 주민들에게 대전조차장 복합개발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대전 대덕구) |
대덕구에 따르면 지난 25일 오정동을 시작으로 26일 대화·회덕·중리동, 27일 법1·2동 주민들을 대상으로 대전조차장 복합개발 계획을 설명하고 의견을 청취하는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철도 입체화 특별법 제정과 국토교통부 주관 국가 선도사업 선정이라는 성과를 바탕으로 주민의 이해를 돕고, 향후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지역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한 자리다.
이번 설명회에 참석한 주민들은 철도 입체화와 개발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문화시설, 보행환경, 주차장 등 지역 발전과 향후 개발 방향에 대한 다양한 제안을 쏟아냈다.
구민들은 일대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회덕동 주민 A씨는 "빠르게 개발되는 다른 지역과 달리 이곳은 과거에 머물러 있다"라며 "정주 인구와 유동인구가 늘어나는 활력 넘치는 공간이 될 수 있는 시설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법동에서 음식점을 운영한다는 주민 B씨는 "자영업자들에게는 잠깐 머무르다 가는 문화시설보다 벤처기업, 연구시설 등 직장인들이 많이 유입되는 시설이 들어와야 경제 선순환이 이뤄진다"고 했다.
최충규 대덕구청장은 "연축·신대·회덕에는 고속도로·KTX 고속전철·천변고속화도로·국도 17호선 등 교통망이 집중되면서 요긴하게 쓸 부지가 부족해 지역 발전이 더뎠다"라며 "현재 국토부에서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준비 중으로 알고 있다. 대전시와 지역 정치권 등과의 유기적 협력관계를 통해 모든 과정 하나하나에 세심함과 정성을 담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대전조차장은 대전 동서 단절을 야기해 수십 년간 대덕구의 균형 발전을 저해해왔다.
이미 정주 환경 악화와 토지이용 제한과 소음 및 안전문제까지 겹치며 이전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지만, 사업성 부족 등으로 실현되지 못했다.
그러나 지난 2024년 1월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고, 같은 해 2월 대전조차장 사업이 '1차 철도 입체화 통합개발 국가 선도사업'으로 선정되며 전환점을 맞았다.
철도 입체화 통합개발 사업은 국비 등 총 1조 4295억 원을 투입해 대전조차장을 타 지역으로 이전한 후 기존 약 48만㎡를 대상으로 입체화 통합개발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부 인공지반 조성(데크화)'을 중심으로 한 도심 공간 재구조화 등 단순 철도 지하화에서 입체화로 사업 범위를 확대한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