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등 지역 거점국립대 1인당 교육비…서울대 절반도 못 미쳐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충남대 등 지역 거점국립대 1인당 교육비…서울대 절반도 못 미쳐

지난해 학생 1인당 교육비 서울대는 6302만원
지역 국립대 9곳 1인당 교육비 평균 2530만원
중도탈락 학생 비율 충남대, 충북대 4%대 높아
정부 '서울대 10개 만들기' 격자 문제 해소할까

  • 승인 2025-08-31 17:57
  • 신문게재 2025-09-01 10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GettyImages-jv12511884
사진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충남대와 충북대 등 충청권을 포함한 전국 9개 지방거점국립대의 학생 1인당 교육비가 서울대 1인당 교육비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새 정부가 대선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해 내년부터 9000억 원에 가까운 예산을 거점국립대에 투입하기로 결정해 수도권 대학과 지방 국립대의 격차 문제가 조금이나마 해소될지 관심이 쏠린다.

31일 교육부가 '대학알리미'에 공시한 학생 1인당 교육비(국·공립대, 국립대 법인, 특별법 국립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서울대 학생 1인당 교육비는 6302만 1143원으로 조사됐다.

반면 지역 거점국립대 9곳 학생 1인당 교육비 평균액은 2530만 원으로 나타났다.



학교별로는 충남대 2325만 576원, 충북대 2486만 282원, 경상대 2350만 6518원, 전남대 2648만 3123원, 부산대 2722만 754원, 제주대 2631만 1876원, 경북대 2708만 2775원, 전북대 2507만 6414원, 강원대 2397만 3254원이다.

이는 서울대 1인당 학생 교육비의 40% 수준에 그치는 것이다.

특히 충남대, 충북대 등 충청권 대학의 1인당 학생 교육비는 전국 거점 국립대 평균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생 1인당 재학생 장학금 수혜 역시 서울대가 349만 9102원이지만 충남대는 259만 4443원, 충북대 301만 716원, 경상대 315만 3568원, 전남대 331만 4028원, 부산대 323만 4952원, 제주대 302만 6141원, 경북대 310만 6796원, 전북대 326만 915원, 강원대 301만 391원 등으로 격차를 보였다.

재적 학생 대비 중도 탈락 학생 비율은 서울대 2.2%, 충남대 4%, 충북대 4.4%, 강원대 3.1%, 경북대 3.6%, 부산대 3.8%, 전북대 3.9% 등으로 차이가 났다.

특히 충남대와 충북대의 중도탈락 학생 비율은 2023년에 이어 지난해도 4%대로 전국 거점 국립대 중 높은 수치를 보였다. 학생 중도탈락 비율은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기업들이 몰려 취업이 상대적으로 쉬운 서울대 등 수도권 대학으로의 유출 현상도 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서울대 10개 만들기'는 학생 1인당 투입되는 교육비를 서울대생 1인당 교육비의 70% 수준으로 맞춰 교육 여건을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골자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교육부는 지난 8월 29일 국무회의에서 내년도부터 본격적으로 서울대를 제외한 전국 9개 거점 국립대에 약 87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2025년 예산(3956억 원)의 2배가 넘는 규모다. 거점국립대학을 지역 기술주도성장을 견인하는 교육·연구 허브로 육성하겠단 계획이다. 이런 계획이 지역 거점대학 경쟁력을 강화할지 귀추가 주목되는 부분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를 착실히 추진하기 위해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라며 "2026년도 예산을 마중물 삼아 지역교육 혁신으로 지역 인재를 양성하고, 인공지능 디지털시대의 미래 인재를 양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생의 수를 놓다’ 졸업식
  2. 세이브더칠드런 중부지역본부, 2025 차노을 전국투어 대전 수익금으로 지역아동센터 생활학습 환경 지원
  3. 이동진 건양사이버대 총장, 원대협 14대 회장 취임 “원대협법 국회통과 총력"
  4. 백석대 레슬링팀, 제49회 전국대학레슬링선수권대회 '메달 싹쓸이'
  5. 천안시청소년재단-이천시청소년재단 업무협약 체결
  1. 천안법원, 만취 상태서 충돌사고 내고 도주한 30대에 '징역 1년'
  2. 천안시립교향악단, 9월 3일 신진연주자 '협주곡의 밤' 개최
  3. 천안도시공사 북부스포츠센터, '시니어 트로트댄스' 조기 마감
  4. 천안동남경찰서, 동천안우체국 직원 대상 교통안전교육 실시
  5. 단편영화인과 대전시민들의 축제 개막…31일까지 엑스포시민광장서 상영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정기국회 돌입 충청 현안관철 골든타임

李정부 첫 정기국회 돌입 충청 현안관철 골든타임

1일부터 이재명 정부 첫 정기국회에 돌입하면서 충청 발전을 견인하기 위한 골든타임에 돌입했다는 지적이다. 행정수도특별법과 대전충남특별법 등 연내 통과는 물론 대정부질문을 통해 이재명 정부를 상대로 충청 현안 관철을 확답받을 수 있도록 지역 민·관·정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전 트램 등 현안 예산 증액도 이번 정기국회에서 발등의 불인데 한층 가팔라진 여야 대치로 충청 현안들이 뒷전으로 밀리는 것은 경계해야 할 지점이다. 국회는 1일 오후 2시 본회의장에서 정기국회 개회식을 열고 100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한다. 같은 달 9·1..

국회·대통령실 플러스 `디지털 미디어단지` 약속은 어디로?
국회·대통령실 플러스 '디지털 미디어단지' 약속은 어디로?

세종시 누리동(6-1생활권) 입지만 정한 '디지털 미디어단지(언론단지)'. 문재인·윤석열 전 정부로 이어지면 정책 공약으로 남겨져 있으나 빈 수레가 요란한 형국이다. 당초 계획상 토지 공급은 2025년 올해였다. 2021년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수도권 일간지 4개사와 방송 7개사, 통신 1개사부터 지방까지 모두 17개사가 너도나도 양해각서만 체결했을 뿐, 실체는 온데간데 없다. 당시만 해도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 완공이 2027년을 향하고 있었으나 이마저도 각각 2033년, 2029년으로 미뤄져 앞날은 더더욱 안개..

여야 대전시당, 내년 지방선거 앞 `잰걸음`
여야 대전시당, 내년 지방선거 앞 '잰걸음'

내년 제9회 지방선거를 앞둔 여야 대전시당이 조직 정비와 인재 양성 등 지선 체제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지방권력을 차지하려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뿐만 아니라 지역에 3당 구도 안착을 목표로 한 조국혁신당까지 공격적으로 나서면서 경쟁에 불이 붙는 모양새다. 먼저 조국혁신당 대전시당은 8월 31일 중구문화원 뿌리홀에서 대전·세종 제2기 정치아카데미를 개강했다. 2기 아카데미에는 내년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 등 80여 명의 수강생이 등록했다. 첫 강의는 최강욱 전 국회의원이 '이로운 보수, 의로운 진보'라는 주제로 수강생들과 만났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