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등 지역 거점국립대 1인당 교육비…서울대 절반도 못 미쳐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충남대 등 지역 거점국립대 1인당 교육비…서울대 절반도 못 미쳐

지난해 학생 1인당 교육비 서울대는 6302만원
지역 국립대 9곳 1인당 교육비 평균 2530만원
중도탈락 학생 비율 충남대, 충북대 4%대 높아
정부 '서울대 10개 만들기' 격자 문제 해소할까

  • 승인 2025-08-31 17:57
  • 신문게재 2025-09-01 10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GettyImages-jv12511884
사진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충남대와 충북대 등 충청권을 포함한 전국 9개 지방거점국립대의 학생 1인당 교육비가 서울대 1인당 교육비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새 정부가 대선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해 내년부터 9000억 원에 가까운 예산을 거점국립대에 투입하기로 결정해 수도권 대학과 지방 국립대의 격차 문제가 조금이나마 해소될지 관심이 쏠린다.

31일 교육부가 '대학알리미'에 공시한 학생 1인당 교육비(국·공립대, 국립대 법인, 특별법 국립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서울대 학생 1인당 교육비는 6302만 1143원으로 조사됐다.

반면 지역 거점국립대 9곳 학생 1인당 교육비 평균액은 2530만 원으로 나타났다.



학교별로는 충남대 2325만 576원, 충북대 2486만 282원, 경상대 2350만 6518원, 전남대 2648만 3123원, 부산대 2722만 754원, 제주대 2631만 1876원, 경북대 2708만 2775원, 전북대 2507만 6414원, 강원대 2397만 3254원이다.

이는 서울대 1인당 학생 교육비의 40% 수준에 그치는 것이다.

특히 충남대, 충북대 등 충청권 대학의 1인당 학생 교육비는 전국 거점 국립대 평균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생 1인당 재학생 장학금 수혜 역시 서울대가 349만 9102원이지만 충남대는 259만 4443원, 충북대 301만 716원, 경상대 315만 3568원, 전남대 331만 4028원, 부산대 323만 4952원, 제주대 302만 6141원, 경북대 310만 6796원, 전북대 326만 915원, 강원대 301만 391원 등으로 격차를 보였다.

재적 학생 대비 중도 탈락 학생 비율은 서울대 2.2%, 충남대 4%, 충북대 4.4%, 강원대 3.1%, 경북대 3.6%, 부산대 3.8%, 전북대 3.9% 등으로 차이가 났다.

특히 충남대와 충북대의 중도탈락 학생 비율은 2023년에 이어 지난해도 4%대로 전국 거점 국립대 중 높은 수치를 보였다. 학생 중도탈락 비율은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기업들이 몰려 취업이 상대적으로 쉬운 서울대 등 수도권 대학으로의 유출 현상도 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서울대 10개 만들기'는 학생 1인당 투입되는 교육비를 서울대생 1인당 교육비의 70% 수준으로 맞춰 교육 여건을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골자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교육부는 지난 8월 29일 국무회의에서 내년도부터 본격적으로 서울대를 제외한 전국 9개 거점 국립대에 약 87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2025년 예산(3956억 원)의 2배가 넘는 규모다. 거점국립대학을 지역 기술주도성장을 견인하는 교육·연구 허브로 육성하겠단 계획이다. 이런 계획이 지역 거점대학 경쟁력을 강화할지 귀추가 주목되는 부분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를 착실히 추진하기 위해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라며 "2026년도 예산을 마중물 삼아 지역교육 혁신으로 지역 인재를 양성하고, 인공지능 디지털시대의 미래 인재를 양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2. 밀양시 아리랑대축제, 시민 빠진 무대 '공감 부재' 지적
  3.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4. 유성선병원 변승원 전문의, 산부인과내시경학회 학술대회 우수상
  5. 자치경찰제 논의의 시작은..."분권에 의한 민주적 통제 강화"
  1. 대전시의사회, 성분명 처방 의무화 반대 성명…"의약분업의 기본 원칙 침해"
  2. 아산시 소재 고등학교에 나흘 사이에 2번 폭발물 설치 허위 신고
  3. 세종 장애인승마 이종하 선수, 국가대표 선발
  4. 세종TV, 창립 15주년 기념식 열어 새 비전 제시
  5. 골프존 GDR아카데미, 신규고객 첫 구매혜택 프로모션

헤드라인 뉴스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간선급행버스체계인 BRT '바로타' 이용자 수가 지난해 1200만 명을 돌파, 하루 평균 이용객 3만 명에 달하며 대중교통의 핵심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행복청은 '더 나은 바로타'를 위한 5대 개선 과제를 추진해 행정수도 세종을 넘어 충청권 메가시티의 대동맥으로, 더 나아가 세계적 BRT 롤모델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강주엽·이하 행복청)은 행복도시의 대중교통 핵심축으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한 BRT '바로타'를 세계적 수준의 BRT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17일 밝혔다. 행복청에 따르면..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육군 제32보병사단은 10월 16일 세종시 위치한 예비군훈련장을 첨단 ICT(정보통신기술)를 융합한 훈련시설로 재개장했다. 제32보병사단(사단장 김지면 소장)은 이날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세종 과학화예비군훈련장 개장식을 갖고 시설을 점검했다. 과학화예비군훈련장은 국방개혁 4.0의 추진과제 중 하나인 군 구조개편과 연계해, 그동안 예비군 훈련 간 제기되었던 긴 대기시간과 노후시설 및 장비에 대한 불편함, 비효율적인 단순 반복형 훈련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추진됐다. 제32보병사단은 지난 23년부터..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