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흥원의 공공 창업기획자 등록은 지역의 우량 스타트업이 수도권 남부나 서울 등으로 이전하지 않고도 고양시에서 투자를 받아 지속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진흥원은 작년 3월 투자청 신설 이후부터 창업기획자 자격 취득을 위해 인력, 시설 등을 보완했고, 중소벤처기업부의 서류·현장심사 등을 거쳐 지난 9월 1일 최종 등록을 마쳤다.
창업기획자는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창업보육 및 투자 전문 자격으로, 유망 창업기업을 선발해 초기 자금 투자에서 멘토링, 교육, 판로 개척에 이은 후속 투자 연계까지 종합 지원한다. 2025년 9월 현재, 전국의 창업기획자는 490개 기업(기관)이며 이 가운데 공공분야 창업기획자는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을 포함 22개(4.4%)에 불과하다.
작년 3월 고양투자청 발족을 계기로 진흥원은 AI, 콘텐츠, 바이오 등 전략산업 분야의 창업기업 발굴과 보육, 국내외 투자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펀드 참여 등, 창업 및 투자 생태계의 성장 토대를 다져왔다.
작년 12월에는'고양 스텝-업 성장펀드'1호에 LP(유한책임출자자)로 참여해 총 67억 원 규모의 펀드를 결성했고, 이후 AI 및 콘텐츠 분야 유망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진행 중이다. 오는 10월에는 국내외 벤처캐피털과 액셀러레이터, 해외 투자기관, 스타트업 등이 참여하는'고양 글로벌 투자 서밋 2025(Global Investment Forum Summit 2025)'을 개최한다.
한동균 원장은"고양시가 글로벌 투자 네트워크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고양=염정애 기자 yamjay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