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다문화] 갓, 세계 속의 신문화로 우뚝!

  • 다문화신문
  • 공주

[공주다문화] 갓, 세계 속의 신문화로 우뚝!

  • 승인 2025-09-30 13:48
  • 신문게재 2025-01-11 30면
  • 충남다문화뉴스 기자충남다문화뉴스 기자
[10-5] 박진희 명예기자
말(言語)의 유래와 어원 중에는 예상외의 사물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너무나 뜻밖이거나 기가 막히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어처구니없다'를 일례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어처구니란 기와를 올린 한옥의 용마루 끝과 처마 끝에 마무리하는 십장생의 동물 형상을 말한다. 혹은 곡물을 갈 때 쓰는 기구인 맷돌의 손잡이도 '어처구니'라고 한다. 어느 쪽이 됐든 '어처구니 없다'는 중요한 것을 잊거나 빠뜨렸다는 의미로 통용된다.

'트집 잡다'라는 말도 있다. 공연히 남의 조그만 흠을 들추어내거나 없는 흠집을 만들어내어 불평하거나 말썽을 부릴 때 쓰는 표현이다. 옛날 어른이 된 남자(선비)가 머리에 쓰던 의관의 일종인 '갓'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기술자들이 갓에 난 구멍을 수선하면서 많은 흠집을 잡아내어 수리비를 비싸게 받으려 한 데서 생겨난 말이다.

한국말의 어원이 되는 '갓'은 한국 남자의 전통 두식(머리쓰개)이다. 그 밖의 것으로는 망건, 탕건, 충정관, 정자관, 동파관, 와룡관, 상투관, 흑립(黑笠), 백립(白笠), 면류관(冕旒冠)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갓은 4세기 고분 벽화에서 원형을 찾을 수 있을 만큼 오래전부터 사용됐다.

갓의 재료는 말의 갈기나 꼬리털인 '말총'이 주로 쓰였으나 점점 공급이 줄어들면서 구하기 어려운 고급 재료가 되었다. 또한 갓은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여 둥근 테(양테)를 짜는 일이 24개 과정, 원통형 모자(총모자)를 짜는 일이 17개 과정, 이 두 개를 짜 맞추는 입자 일이 10개 과정으로 총 51개 과정을 거쳐야 완성된다. 재료와 공정에 따라서는 완제품이 만들어지기까지 1년여의 긴 시간이 필요하다고 한다.



전 세계에 모자는 많고 많지만, 갓과 같은 반투명의 모자는 흔치 않다. 200년 전 갓을 쓴 한국인이 그려진 그림에 매료된 프랑스의 나폴레옹은 "조선에 꼭 가보고 싶다."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최근 들어 각양각색의 한국 모자에 세계인의 관심이 집중되는 건 폭발적으로 사랑받는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케데헌>에서 촉발된 듯하다. 작품 속에 등장한 가상의 보이 그룹, '사자 보이즈(Saja Boys)'가 도포에 갓을 쓴 이국적인 모습이 외국인의 눈에는 예사롭게 보이지 않았나 보다.

1895년(고종 32) 11월 15일, 김홍집 내각이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고 서양식 머리를 하도록 내린 단발령(斷髮令)에 따라 '갓'은 낡은 것으로 치부되었다. 시나브로 잊혀가던 '갓'은 100여 년 만에 당당히 세계 문화와 패션의 중심에 우뚝 서 있다. 부모로부터 받은 신체를 소중히 여겨 외세의 강요와 내각의 일방적 개혁 의도에 저항하며 긍지를 잃지 않고자 한 한국인의 기상도 세계로 힘차게 뻗어나가길 바란다.
박진희 명예기자(대한한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글로컬대학 선정 충남대-공주대 3500억 수혜…향후 통합 관건
  2. 교육부 글로컬대학 7곳 선정… 충남대-공주대·순천향대·한서대 포함
  3. [문화 톡] 국제 장애인 문화예술축제장의 그 열기
  4. 대전월드컵경기장 주차요금 대폭 완화
  5.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결핍과 상상력
  1. 유성구민 70% "기후위기가 일상생활에 영향 미친다"
  2. 서철모 서구청장, 명절 물가 점검 및 전통시장 이용 독려
  3. 충청권투어패스, 추석맞이 9900원 한정 판매
  4. K-water연구원, 추석 맞아 지역 내 소외계층과 ‘사랑 나눔’
  5. 행정통합 기원 대전·충남 파크골프대회 성료

헤드라인 뉴스


‘5극 3특’ 국토재편 확정… 대한민국 성장지도 바꾼다

‘5극 3특’ 국토재편 확정… 대한민국 성장지도 바꾼다

수도권 일극 체제를 극복하고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대한민국 성장지도가 ‘5극 3특’으로 바뀐다.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위원장 김경수)는 30일 오후 세종시 지방시대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이끄는 국민주권정부 출범 후 첫 본회의를 열고 대한민국 성장지도 ‘5극 3특 국가 균형성장 전략’(균형성장 액션플랜)을 확정하고 추진방안을 제시했다. 회의에는 김경수 위원장을 비롯해 주요 부처 차관 등 14명과 지방 4대 협의체 회장 3명(1명 불참), 신규 위촉위원 등 17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선 ‘5극 3특 국가균형성장 추진전략..

10월 4일은 ‘제1회 동물보호의 날’… 반려동물 산업 현장을 가다
10월 4일은 ‘제1회 동물보호의 날’… 반려동물 산업 현장을 가다

국내 반려인구 1500만 명. 대한민국 국민 10명 중 3명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시대다. 짝이 되는 동무, 반려(伴侶)라는 사전적 의미처럼 인간과 동물은 같은 지붕 아래 함께 정을 나누며 삶을 공유한다. 이에 발맞춰 국내·외 반려동물 연관 산업도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5년 10월 4일, 첫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동물보호의 날'을 맞아 반려동물의 건강한 삶을 위한 먹거리와 마지막 순간까지 존엄을 지키는 장묘문화를 살펴본다. <편집자 주> 1. 마지막 순간까지 '웰다잉'… 천안 반려동물 장묘업체 '21그램' '사람이..

88년 행정의 심장에서 ‘충북도민 문화의 정원’으로
88년 행정의 심장에서 ‘충북도민 문화의 정원’으로

충북도는 29일 충북도청 본관 정원에서 '그림책정원 1937' 기공식을 열고, 도민 성금으로 세워진 근대문화유산을 도민 품으로 되돌려주는 새로운 도약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김영환 충청북도지사, 이양섭 도의회 의장, 김태형 부교육감, 이범우 공무원노조위원장을 비롯해 문화예술·교육계 인사, 도민 등 100여 명이 함께해 자리를 빛냈다. 이번 사업은 김영환 도지사가 지난해 2월 "도청 본관을 도민에게 돌려드리겠다"는 결심을 밝힌 뒤, 1년 반 동안 정책연구용역과 도민 설문조사, 기본계획 수립, 전 국민 네이밍 공모 등 차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행정서비스 일부 제한 안내문 붙은 구청 민원실 행정서비스 일부 제한 안내문 붙은 구청 민원실

  • 2025 안전 골든벨 주인공은 나! 2025`Safe 대전 어린이 안전골든벨` 퀴즈왕의 탄생 2025 안전 골든벨 주인공은 나! 2025'Safe 대전 어린이 안전골든벨' 퀴즈왕의 탄생

  •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차 합동감식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차 합동감식

  •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