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 전경 |
'일류도시'를 기치 (旗幟)로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과 양질의 일자리 확보, 실질적인 청년 지원 정책, 0시축제와 꿈돌이 브랜드 마케팅 등 경제, 복지, 삶의 질 개선 등 전방위적 노력이 이끈 결과다. 대전시가 150만 인구 회복의 신호탄을 쏘고, '과학수도'로서의 가치를 입증해 나가고 있다.
25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2025년 8월 말 현재 전국 인구는 5115만4981명으로 지난해 말(5121만7221명)보다 6만2240명 줄었다. 시·도 별로는 서울·부산 등 12개 시·도 인구가 줄었다. 서울 인구는 932만1863명으로 지난해 12월 933만1828명보다 9965명 감소했다. 대전과 비슷한 규모인 광주는 1만650명 감소해 140만 이하(139만7772명)로 떨어졌다.
반면, 대전시 인구는 144만1596명으로, 지난해 말 대비 2439명이 늘어났다. 특히 5월 이후 4개월 연속 순유입을 기록하며 인구 증가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대전시는 광역시 출범 이후 지난 2014년 8월 처음으로 인구가 줄더니 4년여 만인 2018년 결국 심리적 마지노선인 150만명이 붕괴됐다. 이후에도 지속 감소세를 보이며 2020년(12월 기준) 146만3882명, 2021년 145만2251명, 2022년 144만6072명, 2023년 144만2216명, 2024년 143만9157명을 기록했다.
대전 인구 반등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지속성을 가질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하지만, 일시적 인구 증가도 반가울 수 밖에 없다. 1~8월 누적 기준 타 지역에서 5만8226명이 전입했고 5만4411명이 전출해, 순유입 인구는 3815명에 달한다.
인구 감소는 지역경제 기반의 붕괴를 야기하는 심각한 경고 신호다. 지방의 인구 감소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특히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은 지방 위기를 가속화하는 큰 일이다. 대전이 인구 감소는 출산율 감소와 청·장년층의 세종특별자치시와 수도권 이주가 주 요인으로 분석됐다.
전입 사유로는 취업·사업 등 직업 요인이 가장 많았다. 가족(결혼·합가·분가), 교육, 주택·주거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자리 창출, 정주 여건 개선, 교육·주거 지원 확대 등 대전시 정책이 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전시는 청년 일자리와 교육, 주거 지원을 강화하면서 젊은 세대가 선택하는 도시로 변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해석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대전의 인구 증가세는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며 "청년층 전입이 늘고 있다는 점은 대전이 미래세대가 꿈꾸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증거"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일자리·주거·문화 전 분야에서 투자를 이어가 시민 모두가 살고 싶은 도시, 선택받는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