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공기관을 사칭한 스미싱 문자. 이런 문자가 왔을 때 URL을 누르면 안 된다. 과기정통부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금융위원회·경찰청·한국인터넷진흥원·금융감독원은 추석 전 다양한 문자결제사기(스미싱) 등 사이버사기에 대한 국민 피해가 우려된다며 28일 피해 최소화를 위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최근 수법으로 공공기관을 사칭해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 또는 쓰레기 무단투기 과태료 조회 등을 유도하거나 명절 선물 구매를 위한 쇼핑몰을 사칭, 명절 선물 택배 배송 조회를 사칭해 돈을 챙기고 있어 유의해야 한다.
당국이 최근 3년간 문자결제 사기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공기관 사칭 유형이 전체 207만여 건으로 절반 이상인 53.4%를 차지한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교통량 증가, 음식물 쓰레기 배출 등 상황을 악용해 과태료나 범칙금 부과 스미싱이 다량 유포될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2024년부터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계정탈취 유형에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소셜미디어와 e-커머스 계정탈취 유형이 2023년 2402건에서 2025년 8월 현재 60만 2319건으로 25배 이상 증가하면서다.
금융결제를 요구하는 사기문자 외에도 정상적인 것처럼 속여 전화나 메신저앱으로 금전이나 상품권, 금융거래 정보를 요구하는 피싱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정부는 과태료·범칙금·택배 배송 조회, 명절 인사, 모바일 상품권·승차권·공연예매권 증정, 지인사칭 문자에 포함된 출처가 불분명한 URL이나 전화번호를 클릭해선 안 되며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이 설치되지 않도록 스마트폰 보안설정을 강화할 것을 당부했다.
![]() |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동통신 3사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와 협력해 가입자에게 추석 연휴 스미싱 문자 주의를 안내하고 있다.
경찰청은 홈페이지를 통해 '인터넷 사기 의심 전화·계좌번호'를 조회해 사기피해 발생 여부 확인을 당부했다. 연휴 중 피해를 입었을 땐 112에 신고를 접수하면 된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