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춘호 작가 신간, '검은 꽃, 시詩로 피우다' 표지 |
원 사진작가는 지붕을 잇는 기와 장인인 와공이었던 아버지를 생각하며 기와 사진을 오브제로 삼고 있고 있다. 원 작가의 사진에 이 시대의 진정한 선비이자 철학자로 꼽히는 최재목 시인의 평론 시는 시와 사진이 만나는 경계에서 다시 예술과 철학의 꽃을 피워내고 있다는 평이다.
월간 사진예술 윤세영 편집주간은 "사진을 악보 삼아 시로 연주하니 시가 울림이 되어 사진을 생동하게 한다"며 "원래 시와 사진은 이미지의 형상화라는 점에서 동질감이 있지만 최재목 시인과 원춘호 작가의 이번 사진집에선 유독 그 어울림이 깊이를 더한다. 고요한 아름다움에 스며들게 하는 사진집이다"라고 말했다.
평론 시를 쓴 최 시인은 "원춘호의 기와 사진은 그 무게와 깊이를 꽁꽁 숨긴 채, 단순 간결한 멋을 보여준다"며 "시간차를 두고 보내온 사진을 가만히 쳐다보노라면 각기 다른 성품과 이력, 슬픔과 기쁨의 성정을 솔직하게 알려주었다"라며 원 작가의 사진이 주는 상징성을 설명해 주었다.
원 작가는 "마치 다른 세상의 언어와 표현들로 가득한 최 시인의 번뜩이는 글은 기와 사진을 철학과 서사가 있는 심오한 예술 세계로 안내한다"고 소개하며 "짧지만 귀한 인연으로 만나 이젠 최재목은 원춘호, 원춘호는 최재목이 되었다"라는 말로 기와를 통해 인생을 녹여낸 서사를 전하고 있다.
![]() |
원춘호 작가 신간, '검은 꽃, 시詩로 피우다' 중 내용 일부 |
원춘호 사진작가는 파인아트와 다큐멘터리를 병행하고 있는 사진가로 자신의 '시그니처'라 할 수 있는 기와를 20여 년 넘게 담고 있다. 서울의 5대 궁궐을 비롯해 사찰, 서원 등 기와가 있는 곳이면 전국을 다니며 전통을 아름다움을 현재적으로 해석한 <천년 와(瓦)> 시리즈와 기와의 해체와 수리 복원 등을 다큐멘터리 작업으로 구분해서 기록하고 있다. <굴레방 연가>, <천년와(瓦)>, <마디 마디 흰 그림자>를 비롯하여 21회 개인전과 6권의 작품집을 발행했다. 케냐 나이로비국립박물관, ROTC 중앙회, K&L 뮤지엄, 우란문화재단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김의화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