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시 송악면 행정복지센터와 기초생활거점센터를 연계한 '복합청사' 건립 사업이 대안 검토 과정에서 행정복지센터를 별도로 이전 신축하자는 의견이 제기되면서 주민들 간 의견 대립으로 난항이 예상된다.
1일 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2022년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농촌협약 대상 자치단체로 선정된 시는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 일환으로 송악면 복합청사 건립을 추진 중이다. 이에, 현 행정복지센터 인근 역촌리 일원에 복합청사 건립을 목표로, 시는 한국농어촌공사와 위수탁 협약을 체결하고 지난해 8월 지방재정투자심사와 공공건축심의를 마쳤다.
그러나 해당 토지주와 매수 협의가 불발되고, 대안 부지 확보도 난항을 겪으면서 기본계획 재수립이 불가피해졌다.
이같은 상황에서 마을 이장단을 중심으로 행정복지센터를 하천 인근 평촌리 쪽으로 이전·신축하고, 기존 행정복지센터 건물을 기초생활거점센터와 노인돌봄·청소년 공간 등으로 활용하자는 의견과 함께, 행정복지센터 이전에 따른 불편은 노선버스 운행과 무인 민원발급기 활용하는 방안이 대두됐다.
그러나, 역촌리 주민들이 복합청사 건립이라는 사업 취지에 정면 배치되는 것은 물론, 허허벌판에 행정복지센터를 옮기는 것은 주민 불편만 가중될 것이 뻔하다면서 행정복지센터(면사무소) 이전 반대투쟁위원회를 결성하고 곳곳에 현수막을 내걸었다.
역촌리 한 주민은 "기존 소재지에 인접해 있던 우체국·농협 등과 연계성이 떨어지고, 인근 상권에도 부정적 영향만 줄 것"이라며 "노인 인구가 많은 지역 특성상 노선버스와 무인 민원발급기만으로는 행정 서비스 제공에 한계가 명확하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시 당국은 복합청사를 건립할 대안 부지가 없는 상황에서 행정복지센터 건물의 단독 신축도 걸림돌이 많아 뚜렷한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행정복지센터 별도 이전 신축은 충남도 승인을 받아야 하는 데다, 기존 예산을 나눠 사용할 수밖에 없어 규모를 줄이거나 청사관리기금을 통해 자체 예산을 추가로 확보해야 하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별도 이전 신축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 현재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며 "복합청사가 아닌 별도로 지을 경우 농정 관련 예산이 빠질 수밖에 없다. 농어촌공사와 위수탁 협약도 합의를 통해 해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산=남정민 기자 dbdb822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