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리포수목원에 국내 최초로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울레미소나무에 열매가 맺었다. 사진은 올레미소나무 모습. 천리포수목원 제공 |
![]() |
천리포수목원에 국내 최초로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울레미소나무에 열매가 맺었다. 사진은 올레미소나무 열매 모습. 천리포수목원 제공 |
천리포수목원(원장 김건호)은 국내 최초로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울레미소나무에 열매가 맺었다고 밝혔다.
수목원 내 희귀·멸종위기식물 전시원에서 자라고 있는 울레미소나무는 국내에서 꽃이 핀 적은 있다고 보고됐으나 열매를 맺은 사례는 처음이다.
이번에 열매를 맺은 울레미소나무는 2006년 묘목의 형태로 천리포수목원에 도입된 개체로, 이후 온실에 옮겨진 뒤 약 4m 크기까지 자랐다. 한 그루에서 암꽃과 수꽃을 동시에 피우는 울레미소나무는 지난해 암·수꽃을 모두 선보인 데 이어, 올해 열매를 맺은 것으로 보인다.
울레미소나무는 약 2억 년 전 중생기 쥐라기 시대에 지구에 서식했으나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1994년 호주의 울레미국립공원에서 발견되었고, 공룡 시대의 나무여서 '살아있는 화석'으로도 불린다.
울레미소나무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 목록 가운데 멸종 위험성이 가장 높은 절멸위급(Critically Endangered, CR)종으로 등록되어 있어 보전 노력이 절실하다.
김건호 원장은 "지난 2006년 울레미소나무를 들여온 이후 열매를 보는 것은 20년 만에 처음"이라며 "살아있는 화석인 울레미소나무의 특별하고 진귀한 열매를 천리포수목원에서 감상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태안=김준환 기자 kjh41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