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주택 매매가격전망 소비자 응답비중 추이. 사진=부동산R114 제공. |
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0월 22일부터 11월 2일까지 전국 1458명을 대상으로 '2026년 상반기 주택시장 전망' 조사를 한 결과, 국민 52%가 내년 상반기 주택 가격이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상승 전망 비율은 2021년 하반기 조사(62%)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하락 전망은 14%, 보합은 34%였다.
가격 상승 전망 이유로 '핵심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35.37%)이 가장 많았고, 이어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12.63%), '서울 등 주요 도심 공급 부족 심화'(10.9%), '정부의 주요 규제에 따른 매물 잠김'(8.91%), '급매물 위주로 실수요층 유입'(8.78%), '대출규제에 따른 풍선효과'(6.52%) 등이다.
현 정부 출범 이후 6·27 대책부터 최근 10·15 대책까지 다양한 수요 억제 조치를 발표했음에도 서울과 수도권 중심으로 신고가 현상이 이어지며 수요층의 불안 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가격 하락 전망 이유로는 '대출규제로 매수세 약화'(38.16%), '경기침체 가능성'(15.94%), '대출금리 부담'(10.63%), '가격 부담에 따른 수요 감소'(8.21%), '규제지역 확대 영향'(7.25%) 등이 꼽혔다.
![]() |
| 2026년 상반기 임대차 시장 가격 전망. 사진=부동산R114 제공. |
전세가격이 오른다는 응답자 중 34.8%는 매수심리 위축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강화된 대출규제로 위축된 매수 심리가 상대적으로 전세 수요를 늘려 가격 상승 압박을 높인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어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물건 공급 부족'(23.75%), '서울 등 주요 인기 지역 입주 물량 부족'(14.73%), '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9.74%) 등 순이었다.
전셋값 하락 이유로는 전세대출 보증비율 하향 조정과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 제한 등 '정부의 전세시장 안정대책 효과'(23.7%)가 가장 많은 응답을 얻었다. 이어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역전세) 리스크'(20.74%), '전세대출 부담에 따른 월세시장 이탈'(13.33%), '일부 지역 입주물량 증가'(12.59%), '전세보증 가입 요건 강화'(11.11%) 등이 뒤를 이었다.
상반기 부동산 시장 핵심 변수로는 '대출 세금 등 부동산 규제환경 변화 여부'(17.01%)가 가장 많은 응답을 기록했고 이어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 여건'(16.8%),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및 인하 여부'(14.75%) 등 순으로 나타났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조훈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