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물류센터 작업중지... 지역 '물류 대란' 오나?

  • 경제/과학
  • 지역경제

CJ대한통운 물류센터 작업중지... 지역 '물류 대란' 오나?

하루 평균 1600여 명 근로자, 25t화물차 650여대 가동
작업중지 장기화 될 경우 고객 피해 클듯

  • 승인 2018-10-31 17:31
  • 수정 2018-10-31 18:27
  • 신문게재 2018-11-01 5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910147748
Ch[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망사고가 발생한 대전 대덕구 CJ대한통운 물류센터에 대한 전면 작업중지 명령으로 '물류 대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전국 15개 물류센터가 운영되고 있지만, 대전은 허브 물류센터로 1일 25t 화물차 600여 대가량이 물동량을 실어 나르고 있기 때문이다.

대전노동청은 사망사고가 발생한 CJ대한통운 대전 물류센터에 대해 작업중지 명령을 30일 내렸다. 의약품과 식료품 등 긴급한 일부만 출고를 허용했다. 기존에 쌓인 물류까지 출고가 완료되면, CJ대한통운 허브 물류센터에선 작업이 중단된다.

CJ대한통운도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31일부터 11월 4일까지 개인택배 예약 서비스를 중단한다는 공지문을 올렸다.



대전 물류센터의 하루 평균 근로자 수는 1600여명(주간 1200명·야간 400명), 물동량은 화물차 650대 분량을 소화하고 있다. 야간 근무자를 위해 외지에서 데려오는 고속버스도 24대나 된다.

CJ대한통운을 비롯해 롯데글로벌로지스와 한진, 로젠, 우체국 등 국내 택배시장의 연간 물동량은 2017년 기준으로 23억개에 달한다. 이 중 CJ대한통운이 차지하는 비율은 45%에 달한다.

이렇게 따지면, CJ대한통운은 지난해에만 10억3500만개에 달하는 물량을 소화했으며, 하루에만 283만6000개에 달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택배 대란이 불 보듯 뻔하다는 얘기다.

CJ대한통운 측은 대전 인근의 옥천과 청원, 곤지암 등 물류센터를 통해 피해 최소화할 계획이지만, 녹록지 않다.

작업 중단 해제도 예측할 수 없는 데다, 요일별 소화 물량도 달라 특정 일에는 제품이 하루 이틀 늦어질 수도 있다. 특정 물류센터를 통해 물품을 몰아 처리하더라도 원가부담이 지속될 경우 자금을 언제까지 투입할 지도 미지수다.

고객들은 벌써부터 걱정하고 있다.

오류동에 사는 최모 씨는 "최근 쇼핑몰을 통해 제품을 구매했는데, 대전 물류센터 작업중지 명령 소식에 언제 물품을 받을 수 있을지 확인해 봐야겠다"고 말했다.

CJ 대한통운 물류센터 관계자는 "작업중지 명령으로 물류대란이 일어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고객들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찾아 해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일과 중 가방 메고 나간 아이들, 대전 유치원서 아동학대 의혹
  2.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이장우 "0시축제 3대하천 준설…미래위해 할일 해야"
  5.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3.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4. 1년치 단순통계 탓에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현저한 의료격차 만들어"
  5.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헤드라인 뉴스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을 포함해 전국 도시철도가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액이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뒷짐을 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 정책에 따라 법정 무임승차를 이어오고 있지만, 정부는 수십 년간 요청됐던 국비 보전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재정 문제는 지자체와 운영기관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8일 대전을 포함해 전국 6개 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철도운영기관 무임승차 손실액은 7228억 원에 달했다. 대전은 지난해 125억 원으로 4년 전(76억 원) 대비 약 64.4%나 늘어난 셈이다.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도시철..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지원자가 전년보다 3만1504명 늘어나며 55만 명을 넘어섰다. 또 응시자 10명 중 6명은 사회탐구(사탐) 영역을 선택하면서 '사탐런'이 이번 수능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8일 발표한 원서접수 결과에 따르면 올해 수능 응시생은 55만4174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52만 2670명)보다 3만1504명 늘었다. 이는 2007년 '황금돼지 해' 출생자가 올해 고3에 진학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번 수능은 고3 재학생이 37만 1897명(67.1%), 졸업생 15만 9922명..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항일 독립운동 폄훼와 친일 논란을 빚고 있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8일 국회를 찾았다고 혼쭐이 났다. 8·15 광복절 기념사 왜곡과 광복회원 농성의 부당성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혔지만, 독립운동가 후손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사면서 쫓기듯 국회를 벗어날 정도였다. 김 관장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은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주선했다. 김민전 의원은 12·3 비상계엄 후 올해 1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키겠다’며 한남동 공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자신들을 ‘백골단’으로 소개한 ‘반공청년단’의 국회 소통관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