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논뚝 허물어 골칫거리였던 드렁허리 "보양식" 으로 대두

  • 전국
  • 부여군

과거 논뚝 허물어 골칫거리였던 드렁허리 "보양식" 으로 대두

부여군 세도면 임승성씨 양식 '성공'...새로운 농촌 소득 모델

  • 승인 2019-08-17 19:23
  • 김기태 기자김기태 기자
KakaoTalk_20190817_072140339
논뚝을 허물 정도로 기력이 대단했던 드렁허리(웅어·사진)가 양식에 성공하면서 미식가들의 식탁에 오르고 있다.

부여군 세도면 청포리에 사는 임승성(78)씨는 2015년 자신의 논 200여 ㎥에 우리나라 최초로 드렁허리를 양식을 시작했다. 처음 시작할 당시 과연 판로가 있을까? 걱정했지만 요즘 구입 문의가 잇따르면서 양식 면적을 넓힐지 행복한 고민에 빠졌다.



임씨의 논에는 500여 마리가 양식되고 있으며, 매일 미꾸라지 등을 주며 드렁허리의 몸집을 불리고 있다.

현재 거래되는 싯가는 1kg 당 4만 원선으로 전국 소수의 식당과 한의원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철인 3종경기 선수들이 자주 먹고 있다.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는 고급 요리로 사용되고 있으며, 캔으로도 판매되고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드렁허리는 습냉으로 말미암은 관절통을 다스리고 허손을 보호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야사에는 중국의 사신이 신라를 방문했을 때 선물로 주기도 했다고 한다.

과거에 논뚝을 허물어 농사일에 방해가 됐던 드렁허리 음식이 일부 방송과 미식가들의 입소문으로 퍼지면서 판로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한편 임승성 씨는 "농사일과 병행하며 소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던 중 드렁허리 양식을 시작했다"며 "양식장 옆에 방죽에서 미꾸라지를 잡아 먹이를 주고 있어 양식에 큰 어려움이 없다"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