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규 ㈜엠케이바이오텍 대표이사, 77억 투자 유치하다

  • 사람들
  • 뉴스

김민규 ㈜엠케이바이오텍 대표이사, 77억 투자 유치하다

  • 승인 2020-01-20 10:13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엠케이바이오텍
벤처그룹 CEO인 김민규 ㈜엠케이바이오텍 대표이사가 77억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동물용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과 질환모델형질전환동물을 연구하고, 고능력 수정란과 배양액을 개발하는 충남대학교 내 바이오 벤처기업인 ㈜엠케이바이오텍이 77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김민규 대표는 “2018년 연구개발특구일자리창출펀드 2호로 Seed money 투자사인 포스코기술투자, 케이런벤처스로부터 상환전환우선주(RCPS) 방식으로 20억을 투자받았고, 2020년 DS자산운용, 나우아이비캐피탈, 동훈인베스트먼트로부터 같은 투자방식으로 57억을 투자 받아서 총 77억 원 규모의 투자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김민규 대표는 “ ㈜엠케이바이오텍은 충남대학교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에 선정돼 2017년 6월에 창업했고 기술신용보증기금 'U-tech belly' 지원사업에 선정됐다”며 “ 2019년 8월에 ㈜툴젠으로부터 '유전자가위기술' 특허 기술이전체결로 유전자편집기술을 확보했다”고 소개했다. 또 “충남대학교로부터 동물복제와 한우수정란 생산기술 등 4건의 특허와 신기술인증을 기술 이전했다”고 말했다. 특히 “창업 이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2019년 한해에만 국내외 특허 출원 8건, 특허 등록 2건, PCT 출원 3건의 실적을 달성했고, 3개의 연구팀(동물복제팀, 줄기세포팀, 수정란이식팀)을 구성해 기술사업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엠케이바이오텍의 주요 연구개발 및 사업내용은 동물용 줄기세포치료제, 퇴행성 신경질환모델동물, 고능력 한우 및 젖소 수정란 생산으로 동물 바이오업계의 선도적 사업화 모델을 창출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 대표는 "대학에서 개발한 연구 성과물들이 단순히 연구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사업화와 매출이라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향후 이 분야에 진출할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싶었다”며 “우리 회사는 충남대학교 내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으로 미약하게 시작했지만, 투자금을 기반으로 기술개발과 매출에 필요한 시설들을 외형적으로 구축했다”고 말했다. 특히 “내부적으로 전문 인력 채용과 연구개발비 투자를 통해 세계 최고의 연구기술사업화 성공사례를 입증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이규원 포스코기술투자 수석은 "㈜엠케이바이오텍이 보유하고 있는 사람의 퇴행성 신경질환모델 동물과 동물용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을 기반으로 향후 인간의 신약개발과 치료제 연구를 통해 확장 가능한 잠재력을 기대한다”며 “투자를 통해 더욱 더 연구개발과 사업화가 확장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