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광장] 대전 또 하나의 도시이미지 구축 전략 필요

  • 오피니언
  • 목요광장

[목요광장] 대전 또 하나의 도시이미지 구축 전략 필요

박종진 여가공간연구소 소장

  • 승인 2024-03-27 10:22
  • 신문게재 2024-03-28 18면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박종진 여가공간연구소장
박종진 여가공간연구소 소장
대전은 어떤 도시 이미지를 갖고 있을까?

이미지란 오랜 시간을 두고 서서히 형성되며, 유·무형의 모든 요소가 투영된다고 할 수 있다. 현재는 물론 미래가 투영되고 땅과 사람,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인문지리와 과학기술, 그리고 종교가 투영되어 복합적인 것일뿐더러 한번 고착된 이미지는 쉽게 바뀌지 않는다. 옥스퍼드 사전에서는 '직·간접 지각이 아닌, 기억 또는 심상에 의한 정신적 표상(representation) 즉, 마음속의 그림 또는 인상, 대중의 마음에 형성된 인상'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대전시는 오랫동안 '교통의 도시', '과학의 도시'를 표방해왔다. 그러나 얼마 전부터 전국적으로 인지도를 얻은 대전의 빵집으로 관심을 가지면서 대전방문 시 빵을 사가야 하는 이미지가 각인되었다.

대전에서 빵과 함께 추가로 할 수 있는 게 무엇이 있을까?를 고민했지만, 그 해답을 찾지 못하면서 결국 노잼도시라는 이미지도 얻게 됐다.



대전시가 아무리 교통의 도시, 과학의 도시라고 외쳐본들 대전의 이미지는 2030세대에게는 빵사면 할 게 없는 노잼도시 이미지로 각인이 되었다. 이제 대전의 도시 이미지를 바꿔 빵과 함께 즐길 수 있고, 노잼이 아닌 긍정적 이미지를 살릴 수 있는 신규 이미지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포츠 도시' 이미지 전략을 제안해 본다.

얼마 전 프로야구 개막을 앞두고 국내 최초 메이저리그 개막전 경기가 한국에서 개최되었다. 야구의 열기는 코로나 이후 지속적인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특히 2023년 서울의 연고이면서 국내 많은 팬층을 보유하고 있는 LG팀의 우승은 전국적인 관심이 되었다. 올해 가장 큰 이슈는 메이저리거 류현진 선수의 한화이글스 이적이다. 이로 인해 시범경기의 매진, 암표 등장 등 화젯거리를 몰고 다녔다. 특히 한화를 연고로 하는 대전시민 팬들은 한화의 성적과 관계없이 '보살팬'이라는 애칭도 얻고 있다. 한화의 승패와 관계없이 꾸준히 진심 어린 응원을 보내주는 팬층으로 각인되고 있다.

대전시가 인식되길 원하는 이미지가 아니라 다른 지역 사람들이 생각하는 대전시의 이미지는 어떨까? 국민은 대전시와 연상되는 어떠한 이미지를 가장 먼저 떠 올릴까? 그 가운데 대전의 야구 관람 문화와 야구가 한몫할 것으로 생각한다. "대전에는 승패와 관계없이 진정으로 야구를 즐기는 시민이다. 그런 의미에서 대전은 진정한 스포츠 도시"이다. 라는 이미지를 통해 대전의 새로운 이미지화 전략을 제안해 본다. 야구뿐 만이 아니다. 대전의 프로축구팀은 2부 리그로 강등된 뒤 몇 년 동안의 노력 끝에 1부리그로 승격되어 축구 또한 앞으로 많은 팬들을 매료시킬 수 있는 또 하나의 스포츠 자원이다.

스포츠 도시를 이미지 전략으로 세우는 것이 단순한 도시의 이미지를 재정립하자는 의미만 있는 것은 아니다. 스포츠 경기, 그리고 이를 관람하는 것은 타지역 방문객을 유입시키고 지역 내 상권의 활성화와 지역내 소비를 통해 부가가치 창출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스포츠 산업의 발전과 함께 관련 인프라의 육성으로 관련 기업의 유치와 일자리 창출은 부가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효과이자 성과일 수 있다.

스포츠마케팅은 경제, 경영, 홍보, 스포츠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분야이다. 스포츠는 긍정적인 힘을 갖고 있으며, 대회, 경기 등은 타지역 방문객을 유입시키는 효과와 경기에 따라 의무적으로 숙박을 유도하는 매력적 관광상품이 될 수 있다.

우리가 아무리 교통과 과학을 얘기한다고 해서 그러한 이미지로 각인되는 것이 아니다. 교통과 과학은 산업적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문화적 관점의 신규 이미지 전략이 필요하다. 이미지란 연결고리가 만들어지고, 누구나 인정될 수 있는 이미지가 생성되어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빵과 함께 칼국수를 먹으며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도시, 이제 돈 안되는 이미지 말고 대전시민에게 실질적,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도시 이미지로 익사이팅하고 활력이 넘치는 스포츠 도시 대전 이미지로의 대전환 전략이 필요하다.

/박종진 여가공간연구소 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전 반대 "정치권 힘 있는 움직임 필요"
  2. 보문산 동굴 굴착흔적 또 나와… 바위에 구멍과 임도
  3. 대전유일 학교돌봄터 간식 부실 논란… "단가는 올랐지만 질은 떨어져"
  4. 대전 유성구서 자격증 빌려 장애인 활동지원사로 근무, 급여 부정수급 사례 발각
  5.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1. 2025년 국가 R&D 예산 논의 본격화… 출연연 현장선 기대·반신반의
  2. ‘대상포진 무료 예방접종 하세요’
  3. 지지부진한 서남부 특수학교 설립… 통폐합 부지 확보 대안될까
  4. [썰: 기사보다 더 솔깃한 이야기] 최규 대전 서구의원, 더불어민주당 복당?
  5. 농번기 앞두고 모종시장 북적

헤드라인 뉴스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교원들 "업무부담 여전"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교원들 "업무부담 여전"

원활한 학생 출결 관리를 위해 도입한 온라인 출결 시스템에 대한 현장의 반발이 거세다. 미흡한 체계 때문에 여전히 교원이 직접 서류를 처리하고 출결과 관련된 학부모 민원까지 받는 상황으로 제도 개선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학생들의 출결 관련 업무처리는 나이스(NEIS) 온라인 출결 관리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해당 시스템은 교원들이 1차로 학생에게 결석 인정 사유서, 진단서 등 서류를 받고 2차로 나이스(NEIS)온라인 시스템에 교원들이 일일이 기록해야 하는 구조다. 교원들은 학생이 제출한 증빙 서류가 미비..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대입에서 충청권 의과대학 7곳이 기존 421명보다 389명 늘어난 810명을 모집한다. 올해 고2가 치르는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안 대로 970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전지역 의대는 199명서 156명이 늘어난 355명을 2025학년도 신입생으로 선발하고, 충남은 133명서 97명 늘려 230명, 충북은 89명서 136명 증가한 225명의 입학정원이 확정됐다. 2일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과 함께 '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제출 현황'을 공개했다.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증원 총..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는 민원인이 담당 공무원과 전화 통화를 하며 폭언하는 경우 공무원이 먼저 통화를 끊어도 된다. 기관 홈페이지 등에 공개돼 이른바 '신상털기(온라인 좌표찍기)'의 원인으로 지목돼 온 공무원 개인정보는 '성명 비공개' 등 기관별로 공개 수준을 조정한다. 행정안전부는 2일 국무총리 주재 제38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악성민원 방지 및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3월 악성민원에 고통받다 숨진 채 발견된 경기 김포시 9급 공무원 사건 이후 민원공무원 보호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