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OX] 어둠 속에 아침열고 눈짓하는 한글이여!

  • 문화
  • 우리말OX

[우리말OX] 어둠 속에 아침열고 눈짓하는 한글이여!

[김용복의 우리말 우리글] 제388강 '한글'과 '한글날'에 대하여

  • 승인 2018-10-12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2018년 10월9일은 훈민정음이 반포 된지 572돌 되는 날입니다. 세종대왕께서는 훈민정음을 1443년 창제하여 3년 동안의 실험을 거친 뒤 1446년에 반포하셨습니다.

처음에는 닿소리 17자와 홀소리 11자로 총 28자를 만들었는데 닿소리 ㅿ(반시옷), ㆁ(옛이응), ㆆ(여린히읗)과 홀소리 ·(아래아)의 4글자를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한글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면서 제외시켜 현재 24자만 쓰이고 있습니다.

창제 동기는 〈훈민정음〉 서문에 나타난 자주, 애민 실용정신입니다. 첫째, 우리말이 중국말과 다른 데도 중국글자를 쓰므로 불편한 점이 많아 우리말에 맞는 새 글자를 만들게 되었다는 것인데, 여기에는 세종대왕의 강한 민족자주정신의 나타나 있습니다. 둘째, 어리석은 백성이 쉽게 글자를 배워 문자생활을 편하게 하기 위해 만든다고 했으니 어기에는 민본주의가 나타나 있습니다.

그리고 창제 원리는 자음을 어금닛소리·혓소리·입술소리·잇소리·목소리의 5가지로 나누고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 떠 만들었으며, 그 세기(강,약)에 따라 획을 더해 만드셨습니다.



모음은 천지인(天地人)의 세 가지(·, ㅡ, ㅣ)를 기본으로 이를 조합하여 모음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를 만들었습니다.

한글은 정음, 언문, 반절 등으로 불렸으나 19세기 말에 국문이라 불리게 되었고 1910년대부터 한글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어느 한 시기에 창제되어 일시에 반포·사용되고, 이후 약 600년 가까이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문자는 세계에서 오직 한글밖에 없다고 하겠습니다.

스마트 폰에서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한글이 소리글자이면서 낱글자이기 때문입니다. 한글의 기계화는 타자기의 자판에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다가 점점 발달되어 컴퓨터는 물론 스마트폰에서도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자랑스럽습니다.

우리가 만든 우리 글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자랑스럽고, 그 글자가 소리글자라는 게 자랑스럽고, 글자 수가 가장 적은데도 표현하지 못하는 말이 없다는 것이 자랑스러우며, '언제, 누가, 어떤 방법'으로 만들었다고 확실히 알 수 있는 것이 자랑스럽습니다.

아시죠? 문화민족. 우리가 만든 우리 글자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자랑스러운 문화민족인 것입니다.

김용복 한말글 사랑 한밭모임 회원



GettyImages-jv10985536
♣ 이 시조 감상해 보시겠어요?



한글날에

유준호/ 시조시인

어둠 속에 아침열고

눈짓하는 한글이여!



한 우주를 껴안은 가장 고운 꽃송이



그대는 오늘도 그윽한 향을

뭇 가슴 가슴에 풍겨





모레 글피 그글피까지

깨우침 줄 한글이여!



한때는 시샘어린 비바람에 부대꼈지만



그대는 배달 핏줄을 밝히는

오래 느꺼울 혼불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거점국립대 첫 여성총장… 미래인재 육성·교육 균형발전 기대
  2. [사건사고]물놀이 50대 다이빙 후 하반신 마비호소…교통사고 70대 운전자 사망
  3.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4.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5. 갑천 국가습지 보전대책 본격화…교란식물 제거·울타리 설치
  1.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2.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7차 지역정책포럼
  3.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4.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5.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헤드라인 뉴스


일제시대 보문산별장 복원… 한·일교류 상징시설 될까

일제시대 보문산별장 복원… 한·일교류 상징시설 될까

일본인이 조선의 온돌과 일본의 다다미를 결합해 보문산에 지은 별장의 복원 공사가 완료됐다. 별장 주변에 나무를 심어 조경 복원만 남겨두었으며, 쓰지 만타로의 아들이면서 대전에서 나고 자란 쓰지 아츠시(87) 씨의 바람대로 일본과 한국 교류의 상징이면서 시민 휴식시설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전시 공원관리사업소는 보문산 야외음악당에 오르는 길목에 있는 쓰지 만타로(1909~1983)가 지은 근대식 별장의 복원을 최근 마쳤다고 밝혔다. 보문산 중턱에 정남향으로 세워진 2층 건물로 현관과 햇볕 잘 드는 테라스를 겸한 복도, 침실 1·..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대전시 스포츠 마케팅 매력에 `흠뻑`
대전시 스포츠 마케팅 매력에 '흠뻑'

지역 연고 프로야구단인 한화이글스의 성적과 인기가 치솟으면서 대전시가 이를 활용한 도시마케팅에 적극 나서고 있어 주목을 끈다. 6월 30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7월 1일 한화이글스 소속 류현진 선수를 대전시 홍보대사로 위촉한다. 이와함께 류현진·오상욱 선수-꿈씨패밀리 굿즈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홍보대사는 도시브랜드 위상을 높이고 대내외 시정 홍보를 강화하기 위해 지정한다. 대전시는 펜싱황제 오상욱과 트롯가수 김의영, 축구선수 황인범, 배우 이필모 등 20여명을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메이저리그에서도 뛰어난 활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사랑카드 7월1일부터 본격 운영 대전사랑카드 7월1일부터 본격 운영

  • 더위 피하고 밥값 아끼고…구내식당 ‘북적’ 더위 피하고 밥값 아끼고…구내식당 ‘북적’

  • 무더위 날리는 물줄기 무더위 날리는 물줄기

  • ‘장마철 타이어 점검은 필수입니다’ ‘장마철 타이어 점검은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