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김광석 23주기 추모콘서트, 대전에서도

  • 문화
  • 공연/전시

故 김광석 23주기 추모콘서트, 대전에서도

4~6일 대흥동 프리버드에서 3일간 이어져
대전지역 뮤지션 대거 참석해 추모의 시간
김광석, 김현식 다녀간 대전의 대표 소극장

  • 승인 2019-01-04 23:02
  • 수정 2019-01-05 10:20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김광석
故 김광석 23주기 2019년 추모콘서트가 대전 대흥동 프리버드에서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이어진다.

추모콘서트는 2013년부터 대전 지역 뮤지션들이 참여하는 100% 라이브 공연이다.

올해 라인업은 통기타 듀오 어쿠스타, 기타리스트 김지희, 이경섭&성백돈, 제이해밀, 안재옥, 목진오, 손범석, 목진설, 윤선미, 혜경&메이다. 이들은 김광석의 대표곡을 부르고 연주할 예정이다.

프리버드 서동훈 대표는 “김광석 형님의 추모일을 맞아, 3일간 대전에서도 추모콘서트를 연다. 100% 라이브 공연으로 추모공연이지만, 김광석을 기억하는 시간으로 만들어보고 싶다”고 말했다.



3일간 공연은 지역 인터넷방송국인 CAM방송이 촬영하고 유튜브에 배포된다. 또 페이스북 실시간 생중계로도 볼 수 있다.

90년대 초중반 프리버드는 우드스탁이라는 상호였다. 당시 우드스탁은 김현식과 유재하, 김광석 등 대한민국 최고의 뮤지션이 종종 다녀간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프리버드는 30년 간 상호를 여러 차례 바꾸기는 했지만, 대전 지역예술가들의 아지트로 손꼽힌다.

한편 고 김광석은 1989년 첫 음반을 발표했고, 1995년 1000회 공연의 기록을 세운 싱어송라이터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글로컬대학 30 본지정 발표 임박…충청권 대학 운명은?
  2. 대전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증차에도 시민불편 여전
  3. 신임 대전경찰청장에 최주원, 충남 임정주, 충북 이종원 임명
  4. 영유아 육아 돕는 친족에 월 30만원… 충남도, 내달부터 가족돌봄 지원사업 시행
  5.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1. '교육자료'된 AI디지털교과서, 앞으로 갈 길은? 대전미래교육연구회 토론회
  2. 대전교육청 "제동장치 없는 픽시 자전거 타지 마세요"… 경찰 단속도
  3. 닥치는 대로 '무전취식' 50대 법원서 징역형 선고
  4. 30년 만에 폐지 수순 밟는 PBS… 정책변화 방향은?
  5.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 탈출한 대전시… 전국서 찾는 ‘잼잼도시’로

노잼도시 탈출한 대전시… 전국서 찾는 ‘잼잼도시’로

대전은 과거 '노잼도시'이미지를 탈출하고 '잼잼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단순히 과학도시, 교통의 중심지, 그리고 정부 청사가 있는 행정도시로만 인식되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 대전은 필수 방문지로 탈바꿈했다. 노잼'은 부정어 'No'와 '재미'의 합성어다. '노잼도시'는 말 그대로 재미없는 도시를 말한다. 민선 8기 대전시는 0시 축제를 비롯해 성심당의 인기로 인한 빵의 도시 이미지, 대전 엑스포 마스코트였던 꿈돌이를 재해석한 꿈씨패밀리 브랜드화 등의 정책을 폈다. 효과는 고무적이었다. 대전은 '성심당'이라는 강력한 킬러콘텐츠를 갖고..

대전 석면 제거완료 학교 비율 전국 하위권… 세종은 100%
대전 석면 제거완료 학교 비율 전국 하위권… 세종은 100%

전국적으로 학교 석면 제거 공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대전의 제거 완료 학교 비율이 전국 하위권으로 나타났다. 세종은 전국 유일하게 100% 제거 완료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문정복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702개 학교 건물 내 석면이 철거되지 않았다. 충청권은 대전 71·충남 170·충북 102개 학교가 앞으로 석면 제거가 필요하다. 석면 제거 완료 전국 평균은 87.2%로, 대전은 78%에 그친다. 대상 학교가 가장 많은 경기도는 현재까지 1274개 학교 석면 제거를 완료했지만 여전히 451곳..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파업과 치료 중단 사태를 빚은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를 위해 국가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과 대전시의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와 공공재활 의료 개선과제 국회토론회’에서다.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대전 국회의원 7명과 충남의 이재관 의원(천안시을), 국힘 김예지 의원(비례),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비례),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비례)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토론회에서는 연간 92억원을 투자하고도 68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점을 강조하며 국가가 운영비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