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군상 속으로 걸어가듯 생생하네… 고암과 미디어 아트가 만나다

  • 문화
  • 문화 일반

[르포] 군상 속으로 걸어가듯 생생하네… 고암과 미디어 아트가 만나다

이응노미술관 감각의 교감:오감으로 만나는 이응노 예술 특별전
'보는' 작품이 아니라 '체험'하는 작품, 인터랙티브 기술 접목해

  • 승인 2019-07-15 17:55
  • 신문게재 2019-07-16 17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KakaoTalk_20190715_155355101
마르코폴로 애니메이션 모습.
KakaoTalk_20190715_155502697
인터랙티브 센서를 활용해 사람의 이미지를 읽어 군상의 하나가 되는 모습.
"고암의 그림이 눈 앞에서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고 있어요."

"마치 내가 군상 속으로 걸어 들어온 듯한 기분이네요."



고암 이응노의 그림과 과학기술의 하나인 '인터랙티브'가 만나 미술의 새로운 영역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이응노미술관은 16일부터 '감각의 교감:오감으로 만나는 이응노 예술' 특별전을 기획했다.

15일 기자간담회에서 먼저 체험해 본 이번 특별전은 한마디로 '과거와 현재의 인사'로 압축할 수 있다. 대나무와 군상, 문자추상 등 고암을 대표하는 작품 50개가 KAIST 문화기술대학원의 손 끝에서 생생한 미디어 아트로 새롭게 태어났기 때문이다.



전시실은 총 4개로 구성돼 있다. 1전시실은 고암의 시기별 작품을 함축적으로 담았다. 죽사라는 호를 사용했을 만큼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대나무부터 문자추상의 첫 시작, 동백림 사건 연루 이후 사람에 대한 탐구에서 출발한 군상까지 한 곳에 전시했다.

1전시실에서는 마르코폴로와 고암 이응노를 다룬 애니메이션이 상영된다. 1분30초의 영상에는 마르코폴로가 유럽에서 동양으로 향하는 여정인데, 이 장면 뒷배경에는 고암의 1980년대 작품인 '마르코폴로'가 생생하게 살아 움직인다.

2전시실의 키워드는 '군상'이었다. 군상 그림 앞에 서면 센서가 내 몸짓을 읽는다. 양팔로 하트를 그리고 점프를 하니 금세 움직임을 따라하며 혼연일체가 된다. 그리고는 내 몸짓은 군상 속 하나의 매개체가 되어 그림의 일부가 된다.

곽영진 이응노미술관 학예사는 "바로 이 기법이 인터랙티브다. 사람의 몸짓을 센서가 읽고 반응하도록 하는 원리"라며 "이곳에 오는 모든 사람들이 고암의 대표작인 군상이 되는 체험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직접 찍은 사진과 글자로 관람객의 흔적을 남길 수 있는 체험 코너도 있었다. 메모버드 어플을 다운 받아 현장에 있는 사진 출력기와 블루투스로 연결하면 곧바로 사진이 인쇄된다. 이 사진은 2전시실 오른편 벽면에 붙일 수 있는데, 이는 곧 관람객이 만든 군상이 된다.

3전시실에서는 고암의 그림을 과감하게 터치할 수 있는 감각의 전시실이었다. 고암의 수묵화 이미지를 꼴라주 방식으로 재구성한 풍경 미디어다. 벽에 비친 그림이 다가가 강아지를 터치하자 '왈왈왈' 소리를 내며 폴짝 뛴다. 대나무는 바람 방향에 따라 '샤라락' 흔들리고, 원숭이와 소는 벌판을 뛰어다닌다.

터치 한 번으로 살아있는 영상을 보듯 한가로운 전원의 풍경을 느낄 수 있었다.

4전시실은 휴식공간이자 인터랙티브 기술을 이용한 미디어 아트의 진수를 보여준다. 스크린에는 클레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배고픈 고양이 야미'가 의자에 앉아 있는데, 관람객이 야미의 공간으로 들어가 움직이면 야미가 생선을 먹기 위해 점프를 한다. 동작의 움직임에 따라 최소 세 번에서 대 여섯번의 동작을 해야만 먹이 사냥에 성공할 수 있다.

류철하 이응노 미술관 관장은 "현대 예술에서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이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이다. 과학도시인 대전이 일반대중에게 예술을 전달하는 방법을 고안하기 위해 마련된 전시"라며 "미디어아트와의 접목을 통해 이응노와 관람객의 예술적 교감을 이루고, 나아가 이응노와 함께 만들어가는 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전시는 2015년 '행복한 우리가족 얼굴 모아모아 애니메이션' 이후 두번째 미디어아트 전시다.
이해미 기자·김소희 수습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