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내가 쏟은 하얀 피, 하얀 눈물 한데 모여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내가 쏟은 하얀 피, 하얀 눈물 한데 모여

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 승인 2020-06-08 09:51
  • 신문게재 2020-06-09 19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찔레꽃을 보면 왠지 짠한 마음이 듭니다.

전설에 따르면 원나라로 공출된 찔레라는 처녀가 10년만에 고향을 찾아와 병들고 늙은 아버지와 동생의 이름을 부르며 온 산천을 찾아 헤맸지만 결국 찾지 못하고 고향 근처에서 죽고 말았답니다. 그때 찾아 헤매던 골짜기 산 개울마다 찔레의 넋은 흰꽃으로 피어났고 그 목소리와 착한 눈물은 향기가 되었다지요. 그래서인지 보릿고개를 넘어야 했던 어린시절의 추억이 실루엣으로 남아 그 찔레꽃을 보다가 요즘 핫이슈가 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가 오버랩 되는 것은 왜일까요. 울컥하는 안스런 생각에 문득 이해인 수녀의 「찔레꽃」이란 시가 떠올랐습니다.



아프다 아프다 하고/ 아무리 외쳐도// 괜찮다 괜찮다 하며/ 마구 꺾으려는 손길 때문에// 나의 상처는 가시가 되었습니다// 오랜 세월 남모르게/ 내가 쏟은 하얀 피/ 하얀 눈물 한데 모여/ 향기가 되었다고// 사람은 원래 아픈 것이라고/ 당신이 내게 말하는 순간// 나의 삶은/ 누구와도 바꿀 수 없는 축복으로/ 다시 피어났습니다

그럴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는 기구하고도 절절한 사연이 어디 한둘이겠습니까. 미스터트롯이나 아침마당의 예능프로를 봐도 눈물샘을 자극하는데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몸과 마음이 만신창이가 된 할머니들의 피맺힌 절규를 보통사람으로 살아온 우리들이 다 헤아릴 수야 없지만 그렇다고 6월의 낙화로 강물에 흘려보낼 수는 없는 일이지요. 모두가 숨죽이며 내일이 아닌 것처럼 외면할수록 아픈 과거의 상처가 축복이 될리야 없지만 깊고 큰 상처의 향기는 오랫동안 남는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물론 시시비비를 차치(且置)하더라도 정부의 간섭 없이 자발적으로 조직된 비영리시민사회단체인 NGO의 개념이 공식적으로 사용된 것은 1945년 UN헌장에 이 용어가 등장하면서부터입니다. 하긴 2차세계대전 이전에도 반노예협회, 국제적십자사, 아동구호기금 등 세계적으로 700여 개의 NGO가 이미 활동하였으며 우리나라도 독립협회, 신민회, 흥사단, 신간회가 있었지요. 그러나 본격적인 NGO가 출현한 것은 민주화 열기가 뜨거웠던 1987년 6월 항쟁 이후입니다. 경실련, 참여연대 등이 낙천 낙선 운동 촛불시위 등 정치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NGO활동을 주도해 왔습니다. 지금은 만여 개가 넘는 크고 작은 NGO단체가 있으며 우리 대전만 해도 500여개 단체에 회원수만도 15만명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대전시민 10명 중 1명이 비영리단체에서 공익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은 건전한 시민 활동의 튼튼한 뿌리가 정착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반증이라 하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국내 NGO들이 순수성을 잃어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영세하고 열악한 재정으로 자금 흐름이 불투명하고 조직운영이 폐쇄적이라는 우려와 함께 선거철이 되면 NGO의 중심축을 흔드는 정치권의 추파가 커다란 유혹이 되어 NGO와 은밀한 커넥션으로 지나치게 변질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염려스럽습니다. NGO는 본질적으로 비정부 비영리적 비정치적 비종교적 조직으로 사회의 구석진 곳을 비추는 빛과 소금의 역할이 태생적 출발이기 때문에 어떤 특정 집단 또는 개인의 정치적 목적이나 사익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해서는 안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NGO는 스스로 도덕적 중립과 투명성의 생명을 성찰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야 할 것입니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올바른 몸가짐을 하는 지신(持身)으로 예기(禮記)의 '구용(九容)'과 생각과 지혜를 수양하는 논어의 '구사(九思)'를 율곡선생께서는 격몽요결(擊蒙要訣)에 기록하였지요. 이 구용구사 중 눈은 마음의 깃발이고 눈높이와 마음의 높이는 같으니 눈을 단정히 두라는 목용단(目容端)과 옳지 못한 것을 가질 생각을 하지 말라는 견득사의(見得思義)의 정념실덕(正念實德)을 호국보훈의 달 6월에 새겨보는 것은 어떨런지요.

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2.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3.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4.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5. <인사>대전시
  1.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2.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5. [한성일이 만난 사람]김용교 전 아산시 부시장

헤드라인 뉴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27일 오전 우주로 날아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하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알렸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오전 2시 40분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발사 결과를 직접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가 성공했다"며 "오전 1시 13분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발사된 누리호가 고도 601.3㎞ 궤도 속도 7.56㎞/s, 경사각 97.75도로 태양 동기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탑재된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 위성이 모두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에 안착했고 남극 세종기..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