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꽃값 떨어질 줄 알았는데 오히려 치솟아, 왜?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코로나로 꽃값 떨어질 줄 알았는데 오히려 치솟아, 왜?

화훼농가 수요 급감에 팔지 못한 꽃 폐기... 공급 부족 초래
교직원 인사철 맞아 주문량 급증... 가격 상승에 한 몫

  • 승인 2021-03-01 10:54
  • 수정 2021-03-01 13:51
  • 신문게재 2021-03-02 6면
  • 한세화 기자한세화 기자
꽃
둔산꽃도매시장 내부모습.
"예전 같았으면 2만 원짜리 꽃다발인데, 엊그제 4만 원 주고 샀어요."

대전에 사는 직장인 A(45) 씨는 지난주 지인의 전시회에 선물할 꽃다발을 한참 고민한 끝에 겨우 집어 들었다. A 씨는 "2년 전쯤에는 2만 원 정도면 풍성한 꽃다발을 살 수 있었는데, 꽃값이 너무 오른 것 같다"라고 말했다.



남편 대학원 졸업식에 꽃다발을 선물하기 위해 꽃시장을 찾은 주부 B(57) 씨는 결국 빈손으로 돌아갔다. B 씨는 "직접 꽃다발을 만들어 주고 싶었는데, 꽃값이 너무 비싸서 다른 선물을 사야 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졸업과 입학식 등 비대면 행사로 전환하면서 화훼농가가 침체하는 가운데 꽃 가격은 오히려 폭등해 소비자들이 선뜻 지갑을 열지 못하고 있다.



지난 26일 오후 기자가 직접 대전 둔산꽃도·소매센터에 가봤다. 안개꽃 한 다발을 4만 원대에 판매해 지난해 같은 시기 3만5000원보다 가격이 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미도 값이 크게 올라서 한 단에 2만5000원으로 지난해 대비 2배가량 상승했다. 장미 한 송이를 사려면 포장까지 5000원, 꽃만 사도 4000원은 줘야 했다.

지난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화훼유통정보에 따르면 서울 양재동 화훼공판장에서 거래금액·물량 상위 20개 절화류(꺾은 꽃) 품종 중 19개의 평균 단가가 한 달 새 크게 올랐다. 꽃다발에 주로 쓰이는 장미(헤라, 특2)는 지난 1월 평균 단가가 8871원에서 2월 1만1796원으로, 거베라(미니, 특1)는 지난 2달 새 6634원에서 9636원으로 상승했다.

꽃값 상승 원인으로 '코로나19'에 따른 공급 감소가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겨울 코로나19로 행사와 모임이 줄어 꽃 소비량이 급감하자 일부 화훼농가는 팔지 못한 꽃을 불태우거나 트랙터로 밭을 갈아엎은 것으로 전해졌다.

둔산꽃도매시장 상인회 관계자는 "코로나 때문에 졸업식이나 행사 자체가 없어지면서 산지에서는 인건비나 비용 타산이 맞지 않자 꽃물량을 아예 폐기했다"라며 "오히려 시장에서는 공급이 딸려 꽃값이 크게 오르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어 "3월 1일 자로 교직원들 인사발령이 나면서 병설유치원과 일선 학교에서 꽃다발이나 화분 주문이 급증하고 있다"라며 "농가에서는 안 팔린다고 갈아엎고, 시장에서는 공급이 딸려 가격이 오르는 아이러니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5.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1.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2.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3.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4. 화성시, 거점도시 도약 ‘2040년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5. 대전권 14개 대학 '늘봄학교' 강사 육성 지원한다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