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대신 '사람을 만나는 도시'...송민철 저자의 해법은

  • 문화
  • 문화/출판

자동차 대신 '사람을 만나는 도시'...송민철 저자의 해법은

9월 20일 이 같은 문제 인식 담아 도시의 현주소 진단부터 해법까지 제시
행복청-국무조정실 근무 경험 토대로 '길의 중요성' 인식...3대 요소 강조
사람들로 북적이는 거리 만들기가 궁극적 목표...머물고 싶은 공간 희망

  • 승인 2024-10-01 09:25
  • 수정 2024-10-01 09:36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50243546625.20240910085922
송민철 과장이 직접 써낸 '사람을 만나는 도시'. 사진=교보문고 갈무리.
자동차에 대부분의 공간을 빼앗긴 도시. 더 나은 환경에서 살아갈 권리를 찾을 방법은 없을까.

이미 자동차와 왕복 6차선 이상의 대로로 포화 상태에 이른 대부분 도시에 적용하기란 이상에 가깝다. 이제 12년 차 세종특별자치시는 그래도 이상을 현실로 만들 수 있는 최적의 도시로 통한다.

9월 20일 출간된 '사람을 만나는 도시(저자 송민철, 효형출판)'가 눈길을 끄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자동차에 빼앗긴 장소를 되찾는 도시설계 지침서로 세상에 선보이고 있다. 국가공무원이 더 나은 도시를 누릴 권리를 찾기 위해 책을 썼다. 주인공은 행복도시건설청을 거쳐 현재 국무조정실 특별자치시도 지원단에 재직 중인 송민철 과장.

저자는 온라인 교보문고의 책 소개를 통해 우연한 만남 대신 단절된 이웃만 있고, 목적 있는 의사소통만 존재하는 원인을 자동차 중심의 도시설계에서 찾았다. 도시민들은 반복되는 교통 지·정체에 불만을 토로하면서도, 어느새 이 환경에 순응하며 문제를 문제로 보지 않게 된다고 봤다.



현주소 아래 해법은 '길의 중요성'에서 찾았다. 길을 통해 사람이 만나고 걷게 하는 도시로 만들어야 하고, 이를 위해 ▲만남 장소 확보(Secure) : 보행로와 공공공간 ▲만남을 방해하는 요소의 분리(Separate) ▲만남을 촉진하는 요소 더하기(Serve)까지 3대 요소를 제시했다.

궁극적인 목표는 '사람들로 북적이는 거리 만들기'로 향한다. 보행로와 차도, 대중교통 정류장과 광장 등을 우선 마련하고, 이후 머물고 싶은 아름다운 공간으로 만드는 과정을 필수 단계로 뒀다.

해외 사례로는 기차 노선을 중심으로 자전거 도로와 보행로를 자동차 도로와 분리하는 교통망을 만들어 운용 중인 네덜란드 하우턴을 소개했다. 이곳에선 자전거 타기가 자동차보다 시간과 비용 면에서 합리적인 선택지다.

저자 송민철 씨는 "아름다운 골목과 거리로 손꼽히는 도시들은 하나같이 걷기 좋은 환경을 통해 우연한 만남을 불러일으킨다. 사람들이 길을 오가며 자연스레 교감하고 연결되는 바람직한 환경을 만들어낸다"며 "우리도 각자의 호흡과 리듬으로 서로가 공감하며 어깨를 맞대는 도시 풍경을 그려내야 한다. 이는 결국 삶의 질을 높이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될 때, 매일 100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길을 걷다가 교통사고를 당하고 일부는 영원히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안타까운 일도 사라질 수 있다고 봤다.

저자는 그 대안 도시로 세종시를 직접적으로 지목하진 않았다. 그럼에도 세종시는 저자가 지목한 '사람을 만나는 도시'로 나아갈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크게 지닌 도시임에 틀림이 없다.

설계 시점부터 폐쇄형 버스 전용차로를 적용하며 도로 위 지하철인 비알티(BRT)를 도입했고, 50km/h 속도 제한과 단지 내 지상 주차장 없는 도시, 차로 만큼 보행로와 자전거 도로를 확보, 이응패스(버스+자전거 정액권) 시행 등이 대표적 사례다. 저자의 바람이 2030년 완성기를 앞둔 세종시에서 실현되길 기대해본다.

한편, '사람을 만나는 도시' 목차는 1부 우리는 안녕한가와 2부 안녕으로 가는 길, 3부 무엇을 해야 하는가, 4부 어떻게 해야 하는가로 구분되고, 각 주제를 뒷받침하는 19개의 이야기로 구성됐다. 새로운 도시를 만드는 3S, 보행 공간 확보, 광장 및 차도 망 계획, 필지 구획, 가로 및 상가, 공원 계획 등이 주요 내용이다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5 국감] "출연연 이직 대책 마련 시급… 연봉보단 정년 문제"
  2. 밀양시 홍보대사, 활동 저조 논란
  3. 응원하다 쓰러져도 행복합니다. 한화가 반드시 한국시리즈 가야 하는 이유
  4. "대전 컨택센터 상담사님들, 올 한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5.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1.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여성 장애인들 대상 가을 나들이
  2. 김태흠 충남도지사, 일본 오사카서 충남 세일즈 활동
  3. "행정당국 절차 위법" vs "품질, 안전 이상없어"
  4. 박경호 "내년 지선, 앞장서 뛸 것"…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도전장
  5.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 국감서 `0시 축제` 예산 둘러싸고 격돌

대전시 국감서 '0시 축제' 예산 둘러싸고 격돌

2년 연속 200만 명이 다녀간 대전시 '0시 축제' 운영 재정을 둘러싸고 여당 의원과 보수야당 소속인 이장우 대전시장이 24일 뜨겁게 격돌했다. 이날 대전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전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선 민간 기부금까지 동원 우회 재정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 광역단체장인 이 시장은 자발적 기부일 뿐 강요는 아니라고 해명하면서 여당 주장에 대해 정면 반박했다. 민주당 한병도 의원(익산을)에 따르면 3년간 0시 축제에 투입된 시비만 124억 7000만 원, 외부 협찬 및 기부금까지 포함..

[갤럽] 충청권 정당 지지도… `더불어민주당 51%, 국민의힘 29%`
[갤럽] 충청권 정당 지지도… '더불어민주당 51%, 국민의힘 29%'

충청권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24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21~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정당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대전·세종·충청에서 더불어민주당은 51%, 국민의힘은 29%를 기록했다. 이어 개혁신당 4%, 조국혁신당 2%, 진보당 1%로 나타났다. 무당층은 14%에 달했다. 전국 평균으론 더불어민주당 43%, 국민의힘 25%, 조국혁신당 3%, 개혁신당 2%, 진보당 1%, 기본소득당 0.2%, 사회민주당 0.1%, 무당층 25%로 조사됐다. 충청권에서 이재명 대통령 직무수..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태적 가치를 고스란히 간직한 충남도의 명산과 습지가 지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는 힐링 여행지로 주목받고 있다. 청양 칠갑산을 비롯해 예산 덕산, 공주 계룡산, 논산 대둔산, 금산 천내습지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자연환경과 생태적 특성을 간직하며 도민과 관광객에게 쉼과 배움의 공간을 제공한다. 가을빛으로 물든 충남의 생태명소를 알아본다.<편집자 주> ▲청양 칠갑산= 해발 561m 높이의 칠갑산은 크고 작은 봉우리와 계곡을 지닌 명산으로 자연 그대로의 울창한 숲을 지니고 있다. 칠갑산 가을 단풍은 백미로 손꼽는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