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에세이] 무엇이 중요한 건가?

  • 오피니언
  • 시사에세이

[시사에세이] 무엇이 중요한 건가?

  • 승인 2016-06-06 13:14
  • 신문게재 2016-06-07 22면
  • 이동규 대전·충남녹색연합 상임대표이동규 대전·충남녹색연합 상임대표
▲ 이동규 대전·충남녹색연합 상임대표
▲ 이동규 대전·충남녹색연합 상임대표
서울지하철 스크린도어를 수리하던 젊은이가 사고로 죽고 난 다음 되풀이 되는 물음이지만 “지금 우리에게 무엇이 중요한 건지”에 대한 것이다.

분명히 생명에 관련되는 안전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스크린도어 사건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안전의 보루를 지키고 있는 자가 비정규직이며, 안전 규정은 제대로 잘 정비되어 있지만 사건은 터지게 되어 있다고 하니 도대체 귀신이 곡할 노릇이다. 결국, 이 문제도 안전의 논리를 뛰어넘고 있는 이윤의 논리에서 비롯되는 것이 틀림없다.

돈을 더 벌기 위한 먹이 사슬 구조에서는 당초의 입찰자, 즉 원청자는 낙찰만 한 다음 위험을 전문업체에 외주화, 소위 하청(아웃소싱)을 해 버린다. 이 과정에서 원청자가 100에 입찰을 받았다고 해도 실제 일을 하는 하는 최종 하청업자는 60이나 50도 안 되는 돈으로 공사를 하게 되니 당연히 값 비싼 자격자나 정규직 대신에 값싼 무자격자나 비정규직이 투입되고, 돈 때문에 각종 안전조치는 지키기가 어려운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다.

사건이 터지고 나면 원청자는 하청자가 60~50의 돈으로 도저히 감독자까지 두면서 안전조치를 취할 수 없음을 알면서도 규정대로 안전조치를 취하지 못해 생긴 사고이므로 하청자의 책임이라고 발뺌해 버린다.

문제는 이러한 위험 구조가 우리사회의 곳곳에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니 네 시간마다 한 사람이 죽는 OECD 1위의 산업 안전사고가 터지게 되어 있다. 아니나 다를까, 용접전문가가 한 사람도 없이 작업이 이루어진 남양주 지하철 공사현장에서도 1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니 과연 무엇이 중요한가를 다시 한 번 곰곰이 생각해야 할 때다. 국가는 이 체계적인 모순을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우리사회에서 또 중요한 것은 우리의 미래가 달린 자녀 교육문제다. 밥상머리 교육이나 부모의 자식 사랑의 교육이 없어지고 그 대신에 그 자리에 외주(하청) 교육이 들어섰다. 부모는 돈만 내고 모든 교육을 학원과 과외교사 등 사교육자에게 맡겨버린 것이다. 자녀에게 가장 중요한 자녀에 대한 무한한 사랑이나 보살핌이 없어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억지 공부만 하는 아이들은 외로운 하숙생 신세가 되어 버린다. 가정은 서로 간에 대화가 없는 삭막한 장이 됐고, 학교는 배움과 친구를 사귀는 재미있는 곳이 아니라 감옥(학교), 죄수복(교복), 이감 혹은 이송(방과 후) 등 감옥으로 비교되는 가기 싫은 곳이 되어 버렸다.

저명한 미래학자인 앨빈 토플러의 말처럼 한국에서는 미래에 별로 쓸모도 없는 지식을 위해 하루 15시간씩 투자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아이도 행복하지 못하고, 부모나 교사 모두가 행복하지 못한 상황이다. 사랑이 함께 하지 못하고 돈으로만 아이들을 내몰다보니 아이들은 소위 발달성 트라우마에 걸려 부모에게 대들고 욕을 하며 게임이나 스마트폰만 붙들고 산다. 부모는 남이 하는 것 다 해줬는데 왜 아이가 그럴까 하고 서운하게 생각하지만 아이들은 오히려 부모가 아무 것도 해준 게 없다고 여긴다. 누구에게 맡기거나 돈으로 대신할 수 없는 부모의 자식 사랑이 빠지다 보니 자식에게서 부모대접을 받기는 어렵은 상황이 된 것이다. 부모는 이제라도 자녀에게 무엇이 중요한지를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국가는 현재와 같은 10%를 위한 90% 들러리 만들기식 교육시스템을 하루 빨리 바로잡아야 한다.

이처럼 무엇이 소중한 줄 모르고 돈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는 논리가 우리 사회를 지배하다 보니 안전과 인간교육이 모두 뒤로 밀려버렸다. 이제부터라도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제대로 가야 한다.

이동규 대전·충남녹색연합 상임대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전국재해구호협회, 최학래·송필호 전 회장 고문으로 추대
  2. 작은 마을에 큰 희망을… 키르기스스탄에 새마을정신 전파
  3. 산내종합사회복지관,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4.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암 예방 운동 교육
  5. 대전YWCA, ‘2025 대전시 여성친화도시 성과공유회’
  1. 거제시,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본격 추진
  2. '아이들의 미래를 여는 사람들' 김영춘 전 공주대 부총장 체제로 본격 출범
  3. 당진시의 부당한 도로행정, 주민들의 분노 촉발
  4. 임영웅이 뜨자 대전월드컵경기장이 들썩! 대전하나 시즌 최다 관중(영상포함)
  5.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 등 15곳 폐점 보류... 지역선 일단은 안도 분위기

헤드라인 뉴스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 등 15곳 폐점 보류... 지역선 일단은 안도 분위기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 등 15곳 폐점 보류... 지역선 일단은 안도 분위기

내년 상반기 폐점이 예고됐던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과 천안 신방점의 폐점 보류됐다. 홈플러스 대주주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더불어민주당에 매수자가 결정되기 전까지 보류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최근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 비공개로 만난 자리에서 폐점이 결정된 15개 점포와 나머지 점포에 대해 매수자가 결정될 깨까지 폐점은 없다는 약속을 받았다. 이와 관련 당내 'MBK 홈플러스 사태 해결 태스크포스(TF)' 위원인 김남근 의원은 "어떻게 폐점을 안 할 수 있는지 (김 회장과)..

국민 90% 1인당 10만원 추가 지급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22일 스타트
국민 90% 1인당 10만원 추가 지급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22일 스타트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원을 추가로 지급하는 2차 민생회복 소비 쿠폰 신청이 22일부터 시작된다. 21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2일 오전 9시부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소비쿠폰 2차 지급 신청을 시작한다. 1인당 10만원씩 지급하는 2차 소비쿠폰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15만~45만원을 지급한 1차 소비쿠폰과는 달리 소득 하위 90% 국민을 대상으로 한다. 소득 하위 90% 선별은 상위 10%에 해당하는 약 506만명 중 고액 자산가로 판단되는 92만7000가구, 약 248만명을 우선 제외했다. 고..

추석연휴 집 비울때 10명 중 7명 "불안감 느껴"
추석연휴 집 비울때 10명 중 7명 "불안감 느껴"

추석 연휴 동안 장시간 집을 비울 경우 10명 중 7명이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안업체 에스원은 지난 5∼11일 상점·공장 등 보안서비스 이용 고객 1만 866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추석 연휴 안전의식 설문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설문조사에서 '추석 연휴 주요 계획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76%가 '고향 방문이나 국내외 여행, 가족, 친지 모임 등으로 집을 비울 예정'이라고 했으며, '연휴 기간 집을 비울 때 불안감을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67%가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집을 비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천 따라…붉은 꽃무릇 만개 대전천 따라…붉은 꽃무릇 만개

  • 내일부터 2차 소비쿠폰 지급…‘우리 매장에서 사용하세요’ 내일부터 2차 소비쿠폰 지급…‘우리 매장에서 사용하세요’

  • ‘대한민국 명장·장인 작품 다 모였네’ ‘대한민국 명장·장인 작품 다 모였네’

  •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