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 이야기] 대둔산을 품은 항전지… 6.25때 북한군 숨어들기도

[조영연의 산성 이야기] 대둔산을 품은 항전지… 6.25때 북한군 숨어들기도

제15회 달이산성(達伊山城, 수락리산성-충남 논산시 벌곡면 수락리)과 6.25공비토벌, 곰티재

  • 승인 2017-09-2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4-1달이산성-동에서본
동쪽에서 본 달이산성/사진=조영연


달이산성은 대둔산 북쪽 충남 논산시 벌곡면 수락리에서 양촌면 오산리로 넘어가는 계곡의 능선 600m 험준한 산 위에 있는 둘레 약 1800m의 장방형 테뫼식 석축산성이다. 고개를 향해 200m쯤 오르면 수락재길 옆 성의 수구이자 남문지가 자리한 계곡 양 옆으로 쌓은 성벽이 있다.

월성봉 정상에서 남쪽으로 난 계곡을 둘러쌌으며 현재 서쪽 능선 정상부, 동쪽 능선에 군데군데 석재들이 산재해 있으며 1~2m 3,4단씩 부분적으로 남은 곳을 통해서 보면 자연석 막돌을 허튼층으로 축조한 모습이 발견된다. 그러나 워낙 고지에 위치했으며 사방이 급절벽으로 둘러싸여 그 자체만으로도 천연 성벽을 이뤘다.

암벽에서 떼어낸 자연 할석을 활용 내탁 외축했으나 성벽은 거의 붕괴돼 흔적만 찾을 수 있을 뿐이다. 자연 암벽을 이용했으며 현재 통행로를 제외하고는 문지나 어떤 특별한 시설물은 발견되지 않는다.



거대한 대둔산을 배경으로 그 줄기에 설치됐기 때문에 더 이상 물러날 수 없는 항전지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적은 군사로 산 속에 숨어들어 유격전을 벌일 수도 있는 곳이다. 그런 상황은 최근의 6?25 당시의 모습에서도 엿볼 수 있다. 아군의 총공세에 쫓겨 밀려나던 북괴군들이 숨어 반항하다 우리측 경찰과 군인들에 의해 2년여 만에야 겨우 평정된 사실이 그를 입증한다. 그런 사실이 수락리 맑은 계곡변 승전탑에 기록으로 남았다.

4-2대둔산승전비2
대둔산 승전비/사진=조영연


수락 계곡에서 머지않은 곳에 자리한 영은사 전설은 백제 말기에도 그런 상황이 전개됐을 가능성을 유추하게 해 준다. 그에 따르면 이 일대에서 계백의 백제군과 김유신의 신라군들이 치열한 접전을 벌여 계백과 관창 등이 죽어 이 절에서 그 때 죽은 이들의 넋을 위로했다는 것이다. 그 당시 수적 열세에 놓였던 백제군들이 묵산리산성을 통과해 곰티, 신양리산성 방면으로 진입하는 적 대군에 대항할 수 있는 것은 오직 험고한 요충지를 활용하는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수락산성을 서정석은 고려 때 축조한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 그런 군사적 요지라면 어떤 형태로든 신라군과의 싸움에서도 작용했을 공산이 크다.

곰티산성(벌곡면 검천리 2구)이 있는 곰티재는 진산과 연산이 각각 20리의 위치에 있어 논산과 금산의 딱 중간 지점이다. 지형상으로는 대둔산과 수락산의 북쪽 줄기 가장 낮은 지점으로 이 산맥상 가장 넘기 수월한 곳이어서 과거 이곳을 통과하는 교통로는 서쪽에서 동쪽 내륙으로 통하는 군사?경제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곰티재에서 보면 건너편 산직리산성과 나리실재가 지방도와 호남고속도로를 사이에 두고 발아래 굽어보이며 지호지간으로 여겨진다.

산성은 곰티재 남쪽 표고 270m 산봉우리에 둘레 약 300m 정도로 토석 혼축한 테뫼식이다.

오작실이 있는 검천리에서는 서진하는 곰티재길은 소위 신라군의 사비 진격 3도 중 중앙길로 추정되는 것이다. 그 중 과거의 곰티재는 군사나 경제적인 면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요충지에 자리했다.

4-3곰티재1
곰티재 모습/사진=조영연


그 줄기는 비록 높이는 그리 높지 않지만 양쪽이 칠팔십도 급경사를 이뤄 정상은 마치 칼날 같아 방어선으로는 천연적 요새다. 고갯길은 금산-사비 지름길로 폭도 좁아 많은 군사와 말들이 통과하기에는 어렵다. 그런 여건들을 고려해 볼 때 이 일대를 흥수 등이 이야기하듯이 한 장부(丈夫)가 만 명을 대적할 만하다고 한 탄현으로 가정해 봄 직도 한 곳이다. 신라군이 금산 방면으로 들어왔다는 소식을 듣고 부랴부랴 계백을 보냈을 때는 이미 적은 가까이 이르러 시간이 촉박한 편이었지만 계백은 그래도 산직리성이나 이 근처에서 용감히 막아 초기에는 4전 4승을 했던 것이다. 그런 흔적들은 이 일대 도처에 남은 전설들이 대변해 준다.

4-4논산곰티주막거리
곰티재 주막거리/사진=조영연


현재도 곰티재 고개 정상 양쪽에는 이삼 미터 높이의 바윗돌이 폭 2미터 가량 버티고 서 있어 자연스레 성문과 통로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느티나무 거목과 성황당 흔적이 남아 옛 모습을 짐작게 한다. 폭이 약 2미터 정도 되는 옛길의 흔적이 희미하게 보인다.

오작실 주민 이영규(77세) 옹의 증언에 의하면 1960년대까지도 오작실-곰티-나리실재-연산길은 사람과 우마의 통행이 번성했고 고개 동편 아래에 그들이 쉬어 가던 주막들이 여러 개 있었으며 고개 너머 산직리성 인근에는 주막거리까지 형성됐었다 한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조영연-산성필자2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