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 인간의 마음은 묘하다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 인간의 마음은 묘하다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 승인 2021-03-22 11:07
  • 신문게재 2021-03-23 19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인간의 마음이란 참으로 묘하다. 마음을 잘 쓰면 지혜와 행복을 주지만 잘못 쓰면 어리석음과 불행을 초래한다. 그런데 흐리다가 갑자기 맑아지고 춥다가 따스해지며 종잡을 수 없이 변하는 날씨처럼 하루에도 수십 수백 번씩 변화무쌍한 것이 우리의 마음이다. 마음이 내 몸 안에 있지만 수시로 드나들어 상상의 나래를 펼치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어디든지 갈 수도 있다. 마음은 대상에 따라 화나기도 하고 즐겁기도 하고, 좋아하기도 하고 싫어하기도 한다. 좋은 물건을 보면 욕심을 내기도 하고 불쌍한 사람을 보면 측은한 마음이 일기도 한다. 이처럼 마음 작용은 신묘하고 변화무쌍하여 헤아리기가 어렵다.

마음은 보이지도 않고 냄새도 없고 형체도 없다. 그래서 별것 아닌 것 같지만 사실은 우리 몸과 언행을 운용하는 주인이다. 성리학에서는 마음에 작용하는 근원적인 존재로 두 가지를 제시한다.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으로 대변하는 본성과 신체 또는 몸이라고 불리는 기질(氣質)이다. 이 두 가지는 누구나 가지고 있다. 그래서 사람은 근본적으로 선한 존재인 동시에 기질로 인해 누구든지 외물(外物)의 유혹에 빠져 악해질 수 있다. 악으로 빠져들지 않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수양해야 한다. 그 수양의 시초가 바로 마음이다.

마음 수양의 핵심은 감정의 조절이다. 자신의 마음속에서 인의예지의 본성을 자각하고 그것에 의해 희노애락의 감정을 조절하여 발산함이다. 내 감정이 발생하게 된 근본 원인을 객관적으로 사사로운 감정인지 인의에 맞는 공적인 감정인지 파악하고 감정 발산의 수위를 조절하는 일이다. 평상시에는 자율적으로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있다지만 지나친 감정이 일면 그것을 쉽게 잃어버릴 때가 많다. '대학'을 보면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하지 못하는 원인을 네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화나고 원망하는 마음, 두렵고 위태롭게 여기는 마음[恐懼], 좋아하고 즐기는 마음[好樂], 걱정하고 근심하는 마음[憂患]인데 이를 사유(四有)라고 한다. 내 마음속에 네 가지가 들어 있으면 사람이 올바른 마음을 잃는다는 것이다.

또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차별하는 것도 상대방에 대한 선입견 때문에 발생한다. 《대학》을 보면 사람이 친하고 사랑하는 사람[親愛], 천시하고 증오하는 사람[賤惡], 두려워하고 공경하는 사람[畏敬], 슬퍼하고 불쌍히 여기는 사람[哀矜], 오만하고 게으른 사람[敖惰]에게 차별행동을 하는데 이를 오벽(五僻)이라고 한다. 이 다섯 가지에 해당하는 사람을 만나면 내 마음에서 이는 감정이 편벽되게 작용하고 차별행동이 나온다.



사유와 오벽은 나를 잃게 만들고 다른 사람에게 엄청난 상처와 불행을 준다. 그러나 내 마음이 평상심을 항상 유지하고 선입견이 없이 사람을 상대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끊임없이 자신 마음을 반성하지 않으면 누구나 사유와 오벽 속에 갇힌다. 그래서 우리는 아무 이유 없이 잘못된 감정을 발산하고 있으며, 잘못된 지식과 선입견으로 다른 사람을 멋대로 재단하며 산다. 그것이 결국 자신의 잘못인지도 모르고 남의 탓, 사회 탓만 하기에 바쁘다. 내가 다른 사람의 감정풀이 대상이 되고 차별을 받는다면 좋아할 사람은 하나도 없다. 그것이 정말로 싫다면 나부터 이런 행동을 조심해야 하지 않을까. 적어도 제정신을 가진 사람이라면.

요즘 뉴스를 보면 국내외에서 인종차별과 분노조절장애, 증오 범죄 사건을 심심치 않게 접하고 있다. 서양인이 아시아인이라는 이유로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총격을 가하고 폭력을 행사했다는 소식을 듣는다. 우리 사회에서도 그런 행동이 많이 일어난다.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로 서로 비방하며, 태어난 곳이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한다. 사람의 재주와 능력은 천차만별인데도 좋은 대학을 나왔다는 이유로 우월감을 가지며, 좋은 직장에 다니고 높은 지위에 올랐다는 이유로 남을 무시한다. 별의별 이유로 다른 사람을 차별하고 무시하며 유형무형으로 폭력을 행사한다.

내 후손이 건전한 사회에서 사람답게 살게 하려면 이런 버릇은 나부터 고쳐야 한다. 차별과 무시는 대물림을 해서는 안 된다.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자신을 반성하는 동시에 사람이란 존재가 무엇인지 진정으로 깨닫고 존중하는 것이 예의이며 수양이다. 그래서 신묘한 마음을 잘 알고 천리에 맞게 운용하는 사람이 우리의 스승이며 진정으로 공부한 사람이다. 이는 학벌과 상관이 없으며 오로지 나에게 달린 일이다. 책만 보는 것이 공부의 전부가 아니다.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산림아카데미재단 울진군 임업사관학교 입학식
  2. 대전시노인복지관협회. 한국주택금융공사 대전지사, 어르신 복지 증진 맞손
  3. "함께하는 한 끼, 이어지는 우리"
  4. 음악의 감동과 배움의 열정으로, 어르신 삶에 새 활력을!
  5. 천안법원, 허위 보조금 신청한 60대 남성 '벌금 500만원'
  1. 한밭로타리클럽, 동구아름다운복지관과 '주거환경개선 사업'
  2. 대한노인회대전시연합회 노인 일자리 참여자 4차 합동교육
  3. 백석문화대, 충남형 계약학과 공유·협업 워크숍 개최
  4. 연암대, LG와 함께하는'2025 LG Day'개최
  5. 아산시의회 탄소중립을 위한 특별위, '중이 없는 회의 개최

헤드라인 뉴스


부석사불상, 한·일서 복제중… 청동불상 기술 견줄 시험대

부석사불상, 한·일서 복제중… 청동불상 기술 견줄 시험대

일본 대마도에 돌려준 서산 부석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이 일본 현지에서 그리고 국내에서 각각 동일한 모양의 불상을 제작하는 복제에 돌입했다. 일본 측은 대마도박물관에 보관 중인 불상을 관음사로 모셔 신자가 친견할 수 있도록 복제 과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충남도에서는 상처 없는 약탈 이전의 온전한 불상을 제작하는 중으로 1330년 고려시대 불상을 원형에 가깝게 누가 만들 수 있느냐 견주는 시험이 시작됐다. 11일 중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2025년 5월 일본 관음사에 돌려준 부석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쓰시마(대마도)박물관에 보관 중이다...

도심 온천관광 랜드마크 `유성온천 문화체험관` 첫 삽
도심 온천관광 랜드마크 '유성온천 문화체험관' 첫 삽

대전 도심 속 온천관광 랜드마크인 '유성온천 문화체험관'이 첫 삽을 뜬다. 11일 유성구에 따르면 유성온천 문화공원 두드림공연장 일원(봉명동 574-5번지)에 '유성온천 문화체험관' 건립 공사를 오는 15일 착공한다. 이번 사업은 지난 2020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한 '온천지구 관광 거점 조성 공모 사업'에 선정된 이후 추진됐으며, 온천 관광 활성화와 지역 대표 축제인 '온천축제'와의 연계를 통해 유성온천의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문화체험관은 국비 60억 원을 포함한 총 198억 원을 투입해 지하 1층, 지상 2층(연면..

국회 세종의사당 연결하는 `신설 교량` 입지 확정… 2032년 개통
국회 세종의사당 연결하는 '신설 교량' 입지 확정… 2032년 개통

국회 세종의사당과 금강 남측 생활권을 잇는 '금강 횡단 교량'이 2032년 수목원로~국토연구원 앞쪽 도로 방향으로 연결된다. 김효정 행복청 도시계획국장은 9월 11일 오전 10시 e브리핑 방식으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금강 횡단 교량 추가 신설은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완공 시점에 맞춰 원활한 교통 소통의 필수 인프라로 꼽혔다. 국책연구단지 앞 햇무리교를 사이에 두고 이응다리 쪽이냐, 반곡·집현동 방향에 두느냐를 놓고 여러 검토가 이뤄졌다. 햇무리교와 금남교는 현재도 출퇴근 시간대 지·정체 현상을 마주하고 있다. 행복청은 이날 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

  • ‘내 아이는 내가 지킨다’ ‘내 아이는 내가 지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