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 인간의 마음은 묘하다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 인간의 마음은 묘하다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 승인 2021-03-22 11:07
  • 신문게재 2021-03-23 19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인간의 마음이란 참으로 묘하다. 마음을 잘 쓰면 지혜와 행복을 주지만 잘못 쓰면 어리석음과 불행을 초래한다. 그런데 흐리다가 갑자기 맑아지고 춥다가 따스해지며 종잡을 수 없이 변하는 날씨처럼 하루에도 수십 수백 번씩 변화무쌍한 것이 우리의 마음이다. 마음이 내 몸 안에 있지만 수시로 드나들어 상상의 나래를 펼치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어디든지 갈 수도 있다. 마음은 대상에 따라 화나기도 하고 즐겁기도 하고, 좋아하기도 하고 싫어하기도 한다. 좋은 물건을 보면 욕심을 내기도 하고 불쌍한 사람을 보면 측은한 마음이 일기도 한다. 이처럼 마음 작용은 신묘하고 변화무쌍하여 헤아리기가 어렵다.

마음은 보이지도 않고 냄새도 없고 형체도 없다. 그래서 별것 아닌 것 같지만 사실은 우리 몸과 언행을 운용하는 주인이다. 성리학에서는 마음에 작용하는 근원적인 존재로 두 가지를 제시한다.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으로 대변하는 본성과 신체 또는 몸이라고 불리는 기질(氣質)이다. 이 두 가지는 누구나 가지고 있다. 그래서 사람은 근본적으로 선한 존재인 동시에 기질로 인해 누구든지 외물(外物)의 유혹에 빠져 악해질 수 있다. 악으로 빠져들지 않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수양해야 한다. 그 수양의 시초가 바로 마음이다.



마음 수양의 핵심은 감정의 조절이다. 자신의 마음속에서 인의예지의 본성을 자각하고 그것에 의해 희노애락의 감정을 조절하여 발산함이다. 내 감정이 발생하게 된 근본 원인을 객관적으로 사사로운 감정인지 인의에 맞는 공적인 감정인지 파악하고 감정 발산의 수위를 조절하는 일이다. 평상시에는 자율적으로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있다지만 지나친 감정이 일면 그것을 쉽게 잃어버릴 때가 많다. '대학'을 보면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하지 못하는 원인을 네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화나고 원망하는 마음, 두렵고 위태롭게 여기는 마음[恐懼], 좋아하고 즐기는 마음[好樂], 걱정하고 근심하는 마음[憂患]인데 이를 사유(四有)라고 한다. 내 마음속에 네 가지가 들어 있으면 사람이 올바른 마음을 잃는다는 것이다.

또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차별하는 것도 상대방에 대한 선입견 때문에 발생한다. 《대학》을 보면 사람이 친하고 사랑하는 사람[親愛], 천시하고 증오하는 사람[賤惡], 두려워하고 공경하는 사람[畏敬], 슬퍼하고 불쌍히 여기는 사람[哀矜], 오만하고 게으른 사람[敖惰]에게 차별행동을 하는데 이를 오벽(五僻)이라고 한다. 이 다섯 가지에 해당하는 사람을 만나면 내 마음에서 이는 감정이 편벽되게 작용하고 차별행동이 나온다.



사유와 오벽은 나를 잃게 만들고 다른 사람에게 엄청난 상처와 불행을 준다. 그러나 내 마음이 평상심을 항상 유지하고 선입견이 없이 사람을 상대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끊임없이 자신 마음을 반성하지 않으면 누구나 사유와 오벽 속에 갇힌다. 그래서 우리는 아무 이유 없이 잘못된 감정을 발산하고 있으며, 잘못된 지식과 선입견으로 다른 사람을 멋대로 재단하며 산다. 그것이 결국 자신의 잘못인지도 모르고 남의 탓, 사회 탓만 하기에 바쁘다. 내가 다른 사람의 감정풀이 대상이 되고 차별을 받는다면 좋아할 사람은 하나도 없다. 그것이 정말로 싫다면 나부터 이런 행동을 조심해야 하지 않을까. 적어도 제정신을 가진 사람이라면.

요즘 뉴스를 보면 국내외에서 인종차별과 분노조절장애, 증오 범죄 사건을 심심치 않게 접하고 있다. 서양인이 아시아인이라는 이유로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총격을 가하고 폭력을 행사했다는 소식을 듣는다. 우리 사회에서도 그런 행동이 많이 일어난다.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로 서로 비방하며, 태어난 곳이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한다. 사람의 재주와 능력은 천차만별인데도 좋은 대학을 나왔다는 이유로 우월감을 가지며, 좋은 직장에 다니고 높은 지위에 올랐다는 이유로 남을 무시한다. 별의별 이유로 다른 사람을 차별하고 무시하며 유형무형으로 폭력을 행사한다.

내 후손이 건전한 사회에서 사람답게 살게 하려면 이런 버릇은 나부터 고쳐야 한다. 차별과 무시는 대물림을 해서는 안 된다.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자신을 반성하는 동시에 사람이란 존재가 무엇인지 진정으로 깨닫고 존중하는 것이 예의이며 수양이다. 그래서 신묘한 마음을 잘 알고 천리에 맞게 운용하는 사람이 우리의 스승이며 진정으로 공부한 사람이다. 이는 학벌과 상관이 없으며 오로지 나에게 달린 일이다. 책만 보는 것이 공부의 전부가 아니다.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3.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부동산 가격이 지역별로 뚜렷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대전과 충남 집값은 여전히 하락세를 이어간 반면, 세종은 오름폭을 키우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충북은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은 0.07% 올랐다. 전주(0.06%)보다 0.01%포인트 오른 수치인데, 서울과 수도권, 지방 모두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충청권에선 대전의 집값은 0.02% 내렸다. 올해 들어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며 누적 하락률이 2.11%를 기록했..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국회 패스트트랙(Fast Track: 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당시 대표였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 11부(장찬 부장판사)는 19일 오후 2시 특수공무집행방해와 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황교안 전 총리와 나경원 의원,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등 26명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나 의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벌금 2000만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사상 첫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한 대전 대덕구 법동 으뜸새마을금고가 불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수사를 벌인 경찰은 최근 사전 선거 운동 혐의 등으로 올해 7월 당선된 이사장 A씨를 검찰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올해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이사장에 선출된 A씨는 공식 선거 운동 예정일 전부터 실질적인 선거유세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2021년 제6대 선거까지 간선제로 진행됐지만, 올해 치러진 제7대 선거는 금고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회원이 투표에 참여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