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여행] 6-'인절미(引切米)'와 공주떡 '임절미(任絶味)'

  • 문화
  • 맛있는 여행

[맛있는 여행] 6-'인절미(引切米)'와 공주떡 '임절미(任絶味)'

김영복/식생활문화연구가

  • 승인 2023-09-18 10:25
  • 수정 2023-09-18 11:08
  • 신문게재 2023-09-19 8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필자의 고향인 충남 공주에서는 인절미를 '공주떡'이라고 해 크게 자랑한다. 그 이유는 역사적 사실과 관련되어 있어 매우 흥미롭다. 공주에는 백제 때 쌓은 성인 공산성(公山城)이 있다. 공산성의 진남루(鎭南樓)에서 금서루(錦西樓) 쪽으로 언덕길을 조금 올라가면, 쌍수정(雙樹亭)과 쌍수정사적비(雙樹亭史蹟碑)가 있다. 그 옆에 '인절미의 고향 공주' 안내판이 서 있다. 여기에는 '인절미'라는 이름이 붙여진 내력이 적혀있다.

인절미_팻말
인절미를 설명하는 공주시 팻말
서기 1624년(인조 2) 이괄(李适 1587~1624)의 난을 피해 공산성에 온 조선 16대 인조(仁祖) 임금은 이곳에 서 있던 두 그루의 나무[雙樹] 밑에서 반란이 진압되기를 기다렸다. 그때 공주시 우성면 목천리에 사는 임(任)씨가 콩고물에 무친 떡을 진상(進上)했다. 왕은 시장한 참에 연거푸 몇 개를 먹고 나서, 떡 이름이 무어냐고 물었다. 그러나 떡 이름을 아는 사람이 없었다. 왕은 맛있는 떡을 임씨가 진상하였다는 말을 듣고, 그 맛이 빼어나 '절미(絶味, 뛰어난 맛)'이니, '임절미(任絶味)'라고 하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 세월이 지나면서 '임절미'는 발음하기 편하게 '인절미'로 바뀌고, 공주 사람들의 입으로 전해져서 '공주떡'이 되었다고 한다.

인절미3
인절미 만드는 모습.
조선의 제16대 왕인 인조(仁祖) 임금의 재위 연대는 1623~1649년이다. 그리고 이괄(李适 )의 난은 1624년이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인조 임금의 수레가 피란 차 공주로 향한 것은 1624년 2월 13일이며, 공주에 머무른 것은 그해 2월 14일부터 2월 17일까지이며, 2월 18일 공주를 떠났다. 따라서 '임절미(任絶味)' 설이 진짜라면, 당연히 '인절미'라는 말은 1624년 2월 이후 한참 세월이 흐른 뒤에 '임(任)→임→인'으로 변음되었을 터, 아무리 봐준다 하더라도 1624년 2월 이전에는 그러한 말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조선 전기의 어문학자 최세진(崔世珍:1468~1542년)이 1517년에 쓴 '사성통해(四聲通解)'에 '飯餠 今俗呼(고) 인졀미'라는 말이 이미 나온다. 그러니 위 임서방설은 많이 왜곡되었거나 굳이 임절미(任絶味)를 인절미(引節米)로 같다 맞춰 이야기의 신빙성을 떨어트린 것이 된다.

긴인절미1 (1)
인절미 길게 만들기 기록갱신
1690년(숙종 16) 역관(譯官) 김경준(金敬俊) ·김지남(金指南) ·신이행(愼以行) 등이 편찬하여 사역원(司譯院)에서 간행한 '역해유해(譯語類解)'에도 '고 인졀미' 또는 '芝麻餠 인졀미'가 나온다.



조선(영조 42년)에 유중림(1705~1771)이 1766년에 증보한 방대한 종합농업기술서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익(李瀷, 1681~1763)이 쓴 '성호사설(星湖僿說)'에도 콩고물을 묻힌 인절미가 기록되어 있다. 인절미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오주(五洲) 이규경(李圭景 : 1788∼1863 )이 백과사전식으로 찬술한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등에서 증명되는 것처럼 '인절미(引切米)'이며, 찹쌀을 불려 쪄서 떡메로 쳐 찰기가 생긴 떡이므로 매우 부드럽고 쫀득하여 쭈욱~ 늘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잡아당겨 떼어먹으므로 '引(끌 인)'자를 썼고, 잘게 썰어 만들기 때문에 '切=截(자를 절)'자를 쓴 것이다.

긴인절미
인절미 만드는 모습
'인절미(引節米)'는 16세기 문헌에서 '인졀미'로 처음 나타난다. '인졀미'의 제2음절 모음이 단모음화해 20세기에 '인절미(引節米)'로 나타난다. 1895년에 나온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 대역사전 '국한회어(國韓會語)'에 '인졀미'를 '인절병(引切餠)'으로 기록되어 있어 그 만드는 과정을 유추해 한자어로 기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공주 떡에 대한 이야기의 신빙성을 높이려면 '인절미(引切米)'의 유래를 인용하기보다 공주 특산물의 하나인 밤을 소로 한 찹쌀떡 '임절미(任絶味)' 그 자체의 브랜드로도 얼마든지 스토리텔링과 함께 명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러므로 인조(仁祖) 임금이 명명(命名)한 대로 '임절미(任絶味)'로 족하며, 이 '임절미(任絶味)'가 공주 사람들의 입으로 전해져 '공주떡'이 되었다고 하면 된다. 굳이 "세월이 지나면서 '임절미'는 발음하기 편하게 '인절미'로 바뀌고, 공주 사람들의 입으로 전해져서 '공주떡'이 되었다고 한다"는 문장은 필요가 없다.

김영복/식생활문화연구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3.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4.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5.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1.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2.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3.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4. '세종교육 대토론회' 정책 아이디어 183개 제안
  5. ‘몸짱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