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소비자물가 넉달 만에 하락했지만…여전히 과일·채소 가격은 높다

  • 경제/과학
  • 대전정부청사

충청권 소비자물가 넉달 만에 하락했지만…여전히 과일·채소 가격은 높다

5일 충청지방통계청 11월 충청지역 소비자물가 동향 발표

  • 승인 2023-12-05 17:00
  • 신문게재 2023-12-06 5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충청권 소비자 물가
11월 충청권 소비자 물가가 넉 달 만에 둔화세로 전환됐다.

물가 상승의 주원인이었던 농축수산물 가격이 전월보다 하락했기 때문인데, 지난해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충청지방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23년 11월 충청지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충청권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대전 3.1%, 세종 2.6%, 충남 3.1%, 충북 3.3% 상승했다. 반면 전월 대비로는 대전 0.6%, 세종 0.5%, 충남 0.8%, 충북 0.6% 하락했다.

물가상승률은 올해 8월부터 3%대를 유지했다. 10월까지 대전(3.7%), 충남, 충북(3.6%)에서는 오름세를 보였지만, 11월에는 상승 폭이 줄어들었다.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농축수산물 가격도 전월보다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은 6.3%, 세종 4.8%, 충남 5%, 충북 4.9% 내려갔다. 과일, 채소 물가를 알 수 있는 신선식품 지수도 전월 대비 대전 9.7%, 세종 8.4%, 충남 8.7%, 충북 7.4% 하락했다.

품목별로는 대전이 시금치(-38%), 귤(-36.4%), 배추(-32.3%), 무(-32.1%) 가격이 하락했고, 세종은 배추(-47.7%), 브로콜리(-36.4%), 상추(-30.9%), 시금치(-29.8%) 가격이 내려갔다. 충남도 시금치(-49.3%), 배추(-49.2%), 브로콜리(-37.4%), 깻잎(-35.5%), 상추(-29.6%)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고 먹거리 물가가 안정된 상황은 아니다. 전월보다는 가격이 하락했지만, 지난해 동월과 비교했을 때는 높은 편이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대전 5.8%, 세종 6.5%, 충남 6.9%, 충북 6% 오른 수치를 보였다. 신선식품지수도 전년 동월 대비로 대전 11.7%, 세종 11.8%, 충남 10.9%, 충북 14.4%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과실 가격이 대전은 전년 동월보다 21.5% 올랐고, 세종은 25%, 충남 24.8%, 충북 26% 상승했다.

생활필수품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도 마찬가지다. 대전은 전월 대비 1% 하락했지만, 전년 동월보다는 3.2% 올랐다. 세종 역시 전월 대비 0.8% 감소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3.1% 상승했고 충남도 전월 대비 1% 하락, 전년 동월보다 3.7% 상승했다. 충북의 생활물가지수도 전월 대비로는 0.9% 하락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 3.6% 오른 수치를 보였다.

국제 유가 하락과 유류세 인하로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가격도 대전은 전월 대비 0.3% 하락했다. 하지만 전년 동월과 비교했을 때는 2.7% 상승했다. 세종도 전월 대비 0.4% 하락,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했으며, 충남도 전월 대비 0.5% 하락, 전년 동월보다 1.8% 상승, 충북은 전월 대비 0.4% 하락, 전년 동월 대비로는 2%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11월 전국 소비자물가지수도 전월 대비 0.6% 하락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3.3% 상승했다. 신선식품 가격은 전월 대비 7.5% 하락, 전년 동월보다는 12.7% 올랐다. 공업제품 중에서는 우유(15.9%), 아이스크림(15.6%), 빵(4.9%) 가격이 많이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5.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1.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사설] 서해 어민 위협할 중국 불법 구조물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