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5일 충남대 제2학생회관 식당에서 학식을 먹고 있는 학생들 모습. (사진=정바름 기자) |
그나마 이곳 학생 식당의 중식 가격은 4500원. 최근 한국소비자원이 '외식비 가격 동향'에 공시한 대전 지역 김치찌개 백반 가격(1만 800원)과 비교하면 2배 이상 저렴한 편이다. 한서 씨는 "물가가 오르다 보니 요즘 학생 식당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난 걸 체감하고 있다"며 "외부인도 와서 학식을 먹는 모습을 종종 봤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최근 치솟는 물가에 대전권 대학가에서도 학식 가격 인상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올해 식자재 값 상승에 지역 대학 2곳 학사 식당들이 가격을 올리면서 학식 백반 한 끼 가격이 5000원을 넘긴 것으로 파악됐다. 대부분의 대학 학식이 5500원에서 6000원 수준으로 책정되다 보니 학생들 사이에선 가격이 더 오를까 걱정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6일 대전권 4년제 대학별 학사 식당 가격(중식 백반 기준)을 조사한 결과 충남대 4500원, 한남대·배재대 5000원, 국립 한밭대·대전대·우송대·목원대는 5500원이다. 충남대와 목원대 학사 식당 중에는 백반 가격을 6000원까지 받는 곳도 있었다. 대학별로 단품 메뉴 가격은 5000원에서 7000원 선이었다.
올해 초, 우송대 학사 식당은 백반 가격을 5000원에서 5500원으로 올렸다. 다른 단품 메뉴들도 500원씩 인상된 상태다. 목원대의 경우에도 학생회관 식당(5500원)을 제외한 학사 식당인 '오병이어' 백반 가격이 5500원에서 6000원으로 올랐다.
3년 전 코로나 19 여파 이후로 가격 인상이 속출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보통 학사 식당은 대학에서 외부 업체에 외주를 맡겨 운영하는데, 학생·교직원 이용에 따른 운영 수익으로 충당하다 보니 최근 식자재값 부담이 커진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4일 발표된 '10월 충청 지역 소비자 물가 동향'을 살폈을 때 지난달 식료품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8% 상승했다.
주머니 사정이 어려운 학생 입장에선 학식 가격마저 오르는 것이 달갑지는 않다. 대전권 4년제 사립대에 다니는 박진우(25학번·가명)씨는 "원래 학생 식당 가격이 작년만 해도 5000원이었다고 들었다"라며 "퀄리티는 고등학교 급식 수준인데 가격만 올라서 편의점에서 사 먹는 게 더 낫다고 생각될 때도 있다. 군대 다녀오면 학식이 7000원~8000원까지 오를까 걱정된다"라고 토로했다.
이렇다 보니 현재 농식품부의 '천원의 아침밥' 제도를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온다. 현재 대전에선 9개 대학이 농식품부와 대전시의 지원금, 대학 예산, 기부금을 투입해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대학별로 재정 사정이 달라 식수 가능 인원이 제각각 인데다, 실질적으로 학식 이용률이 가장 높은 점심 시간대가 아닌 아침에 1시간 동안만 운영되고 있다.
곽현근 대전대 행정학과 교수는 "학령인구감소에 대학 재정이 어려워지면서, 캠퍼스 내 행정 서비스 비용까지 줄여가는 상황 속에 대학들이 자체적으로 천원의 아침밥을 중식, 석식까지 확대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가 젊은 세대에게도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는 가치 판단을 갖고, 수요를 따져 국가 재정을 통해 지원을 늘려간다면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정바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