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20년 11월 7일 골령골 유해 발굴 모습 . 중도일보 DB |
골령골 평화공원 조성 과정에서 유해를 신원 확인 없이 화장해 안치하려던 계획을 두고 유가족들의 상처와 반발이 컸던 가운데, 정부가 한 사람 한 사람의 이름을 확인한 뒤 모시기로 하며 방향을 바꿨다.
희생자들은 이제 평화공원에서 늦은 안식을 맞이할 전망이다.
6일 행정안전부와 동구 등에 따르면 대전 산내 골령골에서 학살된 민간인 희생자들을 기리고자 조성되는 '골령골 평화공원'이 내년 착공을 앞두고 있다.
골령골은 6·25 한국전쟁이 발발한 1950년 대전형무소에 수감됐던 재소자와 민간인이 우리 군과 경찰에 의해 집단 학살된 뒤 묻힌 곳이다. 예상 규모만 적게는 3000명에서 최대 7000명이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그 길이만 1㎞에 달해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이라 불린다.
평화공원은 아무런 이유도 없이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해야 했던 피해자들을 기리기고 모시기 위해 추진됐다. 행정 절차부터 예산 증액으로 여러 차례 준공 일자가 밀리면서 공원 조성을 약속한 지 10년이 지나서야 착공 계획이 잡혔다.
다행히 해당 사업은 최근에 들어서 점차 추진 속도를 높이고 있다.
지난해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전국단위 위령시설 조성사업'이 기획재정부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 예산이 기존 478억 원에서 589억 원으로 최종 결정됐다. 재정 기반도 마련했다.
12·3 계엄과 탄핵 영향으로 2025년도 정부안에 평화공원 공사비 예산이 반영되지 못해 난항을 겪었으나, 최근 내년도 정부 예산에 193억 원이 반영되면서 첫 삽을 뜰 수 있게 됐다. 현재 설계 마무리 단계로 올해 총사업비 협의를 마친 뒤 내년 착공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내놓은 안치 방식도 유족의 뜻을 따르기로 변경했다.
행안부는 산내 골령골 평화공원 조성 이후 희생자들의 유해를 화장한 뒤 합동 안장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유가족의 반대 목소리는 거셌다. 신원조차 확인을 오랜 세월 염원해왔으나 이 같은 계획에 가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이 무너진 것이다. 유가족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수천 명에 달하는 반대 서명 운동을 벌이는 등 화장 안치 방식에 반대해왔다.
다행히 최근 정부가 유족과 절충안을 모색, 이를 통해 신원확인을 거쳐 화장한 뒤 안치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세종 추모의 집에 임시 안치된 4000여 명의 유해는 진실화해위원회가 맡아 신원확인 절차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지난 7월 유가족들과 소통을 거쳐 안치 방식을 바꾸게 됐다"라며 "이후 신원확인 절차와 공사까지 담당 기관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해 차질없이 진행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지윤 기자






